d라이브러리
"유일"(으)로 총 1,925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회전하는 우주기지에서 중력을 느끼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NASA 대변인은 “ISS는 그동안 인류가 안정적으로 미세중력 환경에서 실험을 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인만큼 이곳에 인공중력을 구현할 필요가 없었다”고 말했습니다.이제 우주는 실험 공간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사람들이 더 안전하고 편안하게 살 수 있는 생활의 공간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또 ... ...
- [SF 소설]톨리의 숲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축소판 에코버스에 자기의 카피가 없다는 사실을, 톨리는 알고 있었다. 자기가 온 우주에 유일하다는 것이 뿌듯하기도 했지만, 세계가 복사될 때 용량이 부족해 잘려나간 컨텐츠에 자기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슬프기도 했다. 다른 서브 AI들도 모두 톨리와 같이 테세우스에게서 나와 보육 ... ...
- [SF 소설]신을 비추는 거울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드릴까, 기계인 게 티 나도록 할까?’‘티 팍팍 내줘!’스승이 그 사람에게 물어본 유일한 질문이었다. 스승은 작업하는 내내 콧노래를 흥얼거렸다. 오래간만에 들어온 일이어서, 돈을 벌어서 기분이 좋은 게 아니었다. 자기 딴에는 큰돈을 내놓으면서 만들어질 의수에 대해 전혀 간섭하지 않고,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 음성 연구하던 박사 AI 성우로 창업하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없는 분야로 여겨졌다. LG전자에 입사했던 이유도 음성 관련 연구 부서가 있는 사실상 유일한 기업이었기 때문이다.2010년대 중반, AI가 이용된 기술이 여러 분야에서 잇따라 실용화됐다. 카메라 얼굴이나 물체 인식 기술 발전, 고흐의 화풍을 따라 그리는 기술 등이 ‘사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 ...
- [인터뷰] “해리포터 같은 사람 이라고 생각해요”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가장 비슷한 사람부터 찾아봤다. 미국 플로리다주 변호사 헤일리 모스가 유일했다. 8월 2일, 화상 인터뷰로 그를 만났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봤다는 헤일리 모스 변호사는 드라마와 현실을 비교하며 자신의 경험을 공유했다. Q. 과학동아 독자에게 자기소개를 해줄 수 있나요?안녕하세요. ... ...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① 서울 한복판 ‘아포칼립스’ 빗물터널은 도시를 홍수에서 구원할까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용산구 일대가 있다. 현재 서울시에는 2020년 완공된 양천구의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이 유일하다. 빗물저류배수시설(대심도 터널)은 폭우가 올 때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했다가 내보내는 시설이다. 32만 t(톤) 규모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의 경우, 시간당 95~100mm의 폭우를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우리나라 최고의 화석 지층, 제주도 서귀포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주로 어두운 현무암만 보이지만, 이곳 서귀포시 천지동 해안에는 제주도에서 유일하게 서귀포층이 드러나 있어 직접 지층을 관찰할 수 있죠.서귀포층의 또 다른 특징은 물을 잘 흡수하지 않는다는 거예요. 그래서 제주도에 내린 비는 땅속으로 스며들다 서귀포층 위에 고여 지하수층을 이룹니다. ... ...
- 연속한 두 소수 문제의 획기적 발전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약수가 1과 p밖에 없는 1보다 큰 자연수입니다. 1보다 큰 모든 자연수가 소수들의 곱으로 유일하게 표현되므로 소수의 성질을 이해하는 것은 정수론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소수를 연구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소수의 불규칙성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연속한 두 소수의 차이인 pn+1-pn은 ... ...
- [SF소설] 나 홀로 지구에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이제는 침대에 누워 지내는 신세라 더 심해졌다. 자기는 살날이 얼마 남지 않았으니 피차 유일한 친구인 그녀가 자기를 절대적으로 받아줘야 한다는 논리였다.“오늘은 귀찮아서 미뤘네. 몸은 어때?”『어제랑 비슷해. 아직 고민 중이야. 나 어떻게 할까?』엠마 스톤은 아바타를 만들지 말지 ... ...
- 주목! 한국 수학계를 이끌 차세대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연구 분야 : 편미분방정식, 미분기하학수상 : 젊은수학자상(2020) 밀레니엄 문제 중 유일하게 풀린 ‘푸앵카레 정리’와 관련한 연구는 필즈상 텃밭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이 문제에서 주요 성과를 낸 네 명의 수학자가 필즈상을 받았습니다. 최경수 교수는 이러한 푸앵카레 정리를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