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담
벽
장벽
장애물
담장
울
칸막이
d라이브러리
"
울타리
"(으)로 총 148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등학생이 제시한 우주쓰레기 해결방안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친구로 만나 올 1월에 짜여졌다. 이들 초등 두팀의 학생들은 모두 학교가 달랐다. ‘학교
울타리
’라는 제한조건이 붙어있는 여느 초중고학생 대회와는 다른 특징이다. 이에 대해 대회진행자인 한국과학기술원 산업공학과 박상찬 교수는 “대회에 참여하고자 하는 학생이라면 누구든지 참가할 수 ... ...
생명공학자가 되려면 어느 과를 가야 할까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핵물리,원자물리,천체물리,응집물리 등으로 구성된 것처럼 말이다.이로 인해 한
울타리
안에 있는 사람들조차 세분화된 분야가 다르면 서로 대화가 되지 않을 정도다.그러나 생명이라는 상당히 복잡한 주제를 단순하게 한 분야로면 바라봐서는 그 전모를 밝힐 수가 없다. 공동연구 통해 시너지 효과 ... ...
별걸 다 찾아주는 검색엔진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료를 직접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해 ‘개인 대 개인’ 관계로 법적인
울타리
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하지만 얼마전 냅스터는 미국 법원으로부터 음악저작권을 침해했다는 이유로 폐쇄결정이 내려졌다. 비록 개인 대 개인일지라도 인터넷을 통해 파일이 공유돼 ... ...
우리 속 동물들의 스트레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사인은 탈수였다. 잦은 배뇨로 체내수분이 동이 난 때문인데, 자신의 영역에 오줌으로
울타리
를 칠 수 없게 된 천산갑이 받은 스트레스가 정도를 넘어선 것이다.고슴도치 모양이면서 토끼만한 호저(표큐파인)는 성적으로 흥분하면 대량의 오줌을 싸 상대방을 흠뻑 적신다. 기린은 막 떨어지는 암컷의 ... ...
멸종위기 동물 어떻게 되살리나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채 자란 월악산 산양에게도 이런 현지 적응훈련은 필수였다.보통은 방사지역에 설치한
울타리
안에서 주변 환경에 익숙하도록 만든 다음 방사를 한다. 하지만 월악산 산양은 동물원에서 바로 산 정상까지 헬기로 옮겨졌다. 이런 경우를 적응훈련을 거친 후 방사하는 ‘부드러운’(soft) 방사에 ... ...
남극 세종기지 특명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12월 16일부터 남극기지 건설이 시작됐다. 다른 국가에게 눈치는 보이지만 주인없는 땅에
울타리
를 치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았다. 두달 뒤인 1988년 2월 17일 남극과학기지가 완성돼 준공식을 가졌다. 이름은 공모에 의해 세종기지로 정해졌으며, 그곳에는 ‘남극의 한국 세계의 평화, 대통령 ... ...
Ⅰ. 생명의 국경선 생체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내용물과 세포를 둘러싼 환경 사이에는 근원적인 차이가 유지된다. 세포막은 수동적인
울타리
의 구실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것만 골라 통과시키는 고도의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세포 안팎의 이온 농도를 다르게 유지한다. 또 세포의 활동에 필요한 물질은 세포 속으로 받아들이고 노폐물은 세포 ... ...
유전자 조작 식품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이미지가 많이 깨졌다는 점이 흥미롭다. 과 학기술자의 주장 역시 허점이 많았고, 자신의
울타리
안에서만 지내온 탓에 자신만이 옳다고 생각 하는 편견이 종종 눈에 띄었기 때문이다. 시민 패널은 과학기술자들이 좀더 '열린' 마음으로 상대편의 입장을 받아들이고 함께 편하게 의논할 수 있는 ... ...
4. 자연법칙에 반하는 공중부양, 반중력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공중으로 떠올라 양손을 천장에 대는 재주를 보였다. 한번은 정원
울타리
너머로 9m나 날아간 적이 있다고 한다. 이탈리아 카멜리트의 수녀인 성녀 테레사는 공중부양을 행했다. 코페르티노의 수도사 성요셉은 22살 때 갑자기 공중부양을 익히게 되서 교황을 알현할 때도 ... ...
여인의 봉숭아물이 더 진해지는 까닭은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이와 관계가 있다. 또한 우리 조상들은 집안에 침범하는 악귀나 병귀를 막으려는 뜻으로
울타리
밑에 봉숭아를 심었다. 장독대에 봉숭아뿐만 아니라 분꽃 등을 심은 것도 이 꽃들이 뱀이나 해충들을 막아준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꽃의 붉은 색과 향기를 해충들이 피한다는 생각이었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