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산암
이토
페이드아우트
화산암층
d라이브러리
"
용암
"(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산 오늘도 뜨겁게 부글부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출동할 중비를 마쳤다고 하네요. 볼케이노봇 같은 탐사 로봇이 발전하면, 지진파나 굳은
용암
을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밖에 없었던 화산 폭발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 수 있을 거예요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2007년 채집했다. 지의류가 붙어 있는 어두운 색의 돌은 제주도에 흔한 화산암이었다.
용암
이 굳어져 만들어진 바위 표면에, 마치 흙 알갱이처럼 달라 붙어 숨죽인 채 살아가는 작은 생명체. 이 작은 생명체에도 이름이 있고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는 게 신기하고 기특했다.“이미 지의류를 봤거나 알고 ... ...
총알보다 빠른 혜성에 착륙하라! 로제타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혜성 안에 얼어 있던 가스와 먼지가 녹으면서 밖으로 나오는 거지.활화산에서 가스와
용암
이 나오는 것처럼 말이야. 하지만 가스가 언제 분출할지도 모를 뿐만 아니라, 가스 분출로 혜성이 폭발할 수도 있어. 또 만약 폭발로 혜성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면 함께 있던 탐사로봇도 혜성에서 멀리떨어져 ... ...
현무암에서 화석 찾지 말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2호
사체가
용암
속에 들어가면 바로 타 버릴 거예요. 만에 하나 타지 않고 남았다고 해도,
용암
은 지상의 공기를 만나면 짧은 시간 안에 식어서 굳어요. 생물이 돌이 될 만큼 오래 품고 있을 수가 없답니다.그럼 화석은 어디에서 나올까요? 만화를 본 친구들이라면 잘 알겠죠? 화석은 흙이나 모래 같은 ... ...
[과학뉴스]
용암
보다 더 치명적인 화산재 공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들이마시면 호흡기관이 녹아내리면서 숨을 못 쉬게 되어요. 전문가들은 조만간 이곳에서
용암
도 터져 나올 가능성도 있다며 피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답니다 ... ...
달에 까만 토끼가 살고 있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그래서 검게 보여요. 하지만 달의 뒷면은 지각이 두꺼워 운석에 부딪히더라도 현무암질
용암
이 바깥으로 나오지 않았지요. 달의 뒷면에는 검은 바다는 없지만 운석에 부딪히면서 생긴 크레이터와 계곡 때문에 표면이 울퉁불퉁하답니다.달에 운석이 부딪혀 짙은 부분이 생겼다니 놀랍구나!어쩌면 ... ...
[화보] 자연의 경이로운 순간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지면으로 흐르는 모습이다. 지상에 나오자마자
용암
의 표면은 빠르게 식어 굳는다.
용암
내부는 여전히 뜨겁기 때문에 굳기 시작한 표면은 엿가락처럼 길게 늘어나 마치 대리암처럼 무늬를 만든다. _브라이언 로리]맨눈으로는 볼 수 없다반지름 6400km의 지구는 인간이 맨눈으로는 절대 볼 수 없을 ... ...
[과학뉴스] 목성 위성 유로파도 ‘판구조론’ 따른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이웃한 얼음 지각 아래로 들어가 사라졌다고 해석했다. 사라진 지각은 녹아 마치 차가운
용암
처럼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런 결과를 종합해, 연구팀은 유로파가 지구와 비슷한 판구조론을 따르는 태양계 유일한 천체라고 결론 지었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지오사이언스’ 9월 7일자에 실렸다 ... ...
PART1. 동해 해저에 거대 화산이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일본이 강한 힘으로 끌려가면서 지각이 얇아졌고, 이 틈을 타 얕은 바다의 이곳저곳에서
용암
이 치솟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동해에는 섬이 울릉도와 독도, 달랑 두 개지만 과거에는 다도해마냥 화산섬이 즐비했을지도 모른다. 이번에 조사한 우리나라 수역뿐 아니라 재팬분지, 야마토분지 ... ...
PART2. 일본까지 화산재 날려보낸 젊은 화산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이뤘다.네 번째 분화가 끝날 무렵에는 폭발력이 감소하면서
용암
이 샘처럼 솟아오르는 ‘
용암
분천형 분화’로 변한다. 이 기간 완전히 식지 않은 분출물이 분수의 물방울처럼 포물선 궤적을 그리며 인근 지역으로 흩어져 서로 달라붙고 굳었다.울릉도의 마지막 분화가 언제 일어났는지는 아직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