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외계"(으)로 총 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미래 화폐 최강자를 가린다? 암호화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우리는 지폐, 동전 같은 현금이나 카드를 주로 쓰지만, 태평양의 작은 섬 ‘얍’에선 돌덩이도 화폐로 사용됐다는 사실, 알고 있니? 심지어 과거엔 동물 이빨이나, 보리 같은 것도 화폐가 됐어. 그렇다면 무엇이 미래 화폐의 자리를 차지할까? 최근 뜨거운 관심을 받는 ‘암호화폐’가 유력한 후 ... ...
- [JOB 터뷰] 우주과학자? 기업가? 당신의 본캐는? 컨텍 이성희 대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계십니다. 바로, 컨텍 이성희 대표님이에요. 최근엔 새 연재 만화 ‘우리 별로 돌아갈래! 외계 친구 메태’를 통해 어과동 독자들에게 우주 산업을 전할 수 있길 기대하고 있지요. 대체 무슨 사연일까요? 제주도에 최초의 민간 지상국을 세웠어요!“컨텍은 2019년 국내 민간 기업 최초로 제주도에 ... ...
- 우주 끝에 한 걸음 더, 차세대 탐사선 3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천문학’ 10월 18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50-021-01494-x테스는 항성 앞을 지나는 외계행성이 항성면을 통과할 때 항성이 내는 빛이 줄어드는 현상을 포착해 행성의 존재를 파악한다. 같은 방법으로 행성의 크기와 공전주기도 파악한다. 이번에도 TW 픽토리스 백색왜성의 별빛이 변하는 것을 보고 ... ...
- [SF소설] 대합창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주파수로 이런 통신문을 보내게 됐다는 거야.”“R426 말고 다른 전파 신호는요? 다른 외계인들이, 다른 시대에 보낸 통신문 내용 중에도 해독된 게 있어요?”“몇 개 더 있어. 내용은 비슷해. 은하계 문명의 거의 보편적인 법칙처럼 생각해도 될 정도야.”“보편적이라면 다들 비슷비슷하다는 거예요? ... ...
- [특집] 우주 탐험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웹 우주망원경은 ‘코로나 그래프’라는 관측 방식으로 주변의 밝은 별빛을 가린 채 외계 행성의 대기나 표면을 정밀하게 관측할 계획이에요. 이를 통해 지구와 비슷한 행성에서 생명체 신호를 직접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답니다. 특징1. 정육각 거울을 벌집 구조로! 제임스 웹 ... ...
- [매스미디어] 세상을 구할 태초의 수호자, 이터널스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지구에서 제거했어요. 7000년 전, 셀레스티얼이 이터널스를 지구에 보낸 이유는 또 다른 외계 종족인 ‘데비안츠’로부터 인간들을 지키기 위해서였습니다. 하지만 어쩐 일인지 미지의 에너지에 힘입어 모습을 감췄던 데비안츠가 지구로 돌아왔어요. 타노스의 시련에도 꿈쩍 않던 이터널스는 ... ...
- [과학뉴스] 숨겨진 행성 존재 암시하는 전파 발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설명이 현재로서는 가장 합리적”이라며 “추가 연구를 통해 이것이 행성으로 밝혀지면 외계행성을 전파로 찾아낸 최초의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과 ‘천문학 저널 레터스’ 10월 11일자에 ... ...
- [SF소설] 바키타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쓰레기를 먹어 치우는 바키타를 없앨 수 없다고 주장하는 무리, 혹은 진정으로 낯선 외계생명체를 친구로 받아들인 인간들도 있었겠지만 어쨌거나 있었을 거라는 겁니다. 평화와 사랑을 외친 자들이. 저희가 지구를 떠날 때까지만 해도 두려움의 대상이었던 바키타는 어느새 삶에 섞여든 자연스러운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외계인 찾는 디지털 협업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절구통을 물어간다’가 생각났어요. 비록 개인용 컴퓨터의 성능을 미미하지만, 협력하면 외계인을 탐사할 수 있을 정도의 슈퍼컴퓨터가 될 수 있어요. 세티 앳 홈은 대표적인 ‘디지털 협업’의 사례 중 하나였죠.‘디지털 협업’이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미디어를 사용하여 미션이나 ... ...
- [과학뉴스] 중심별의 죽음에서 살아남은 행성 발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살아있는 행성이 발견됐다. 조슈아 블랙맨 호주 태즈메이니아대 자연과학부 연구원팀은 외계행성 MOA-2010-BLG-477Lb가 백색왜성의 주변을 공전하면서도 여전히 생존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0년부터 미국 하와이의 켁(Keck) 천문대 망원경으로 포착한 미시중력렌즈 현상(microlensing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