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리"(으)로 총 3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7년 07호
- 특히 이 고양이를 예뻐했다. 가끔은 고양이가 시킨 대로만 말하고 행동하기도 했는데, 영리한 고양이는 이를 이용해 남들이 이 성과 땅의 주인을 청년으로 착각하도록 만들었다. 덕분에 우연히 영주의 성에 들른 국왕도 속아 고양이의 주인인 청년을 영주로 착각했다. 그리고 청년을 자신의 딸과 ... ...
- [Info] “ 인플루엔자, 대비만 잘하면 위험한 존재 아냐”과학동아 l2017년 03호
- 2월 11일, 150여 명이 동아사이언스 용산 사옥을 가득 메웠다. 생태계에서 가장 영리한 존재이자, 인류의 영원한 적인 ‘인플루엔자’에 대한 궁금증을 풀기 위해서였다.과학동아의 독자 초청 과학 토크콘서트 ‘과학동아 카페’ 32번째 주제는 과학동아 2월호 특집인 인플루엔자였다. 최근 조류 ... ...
- [Future] 갤럭시노트7 430만 대의 운명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액정에는 수은이 있고, 배터리나 충전기에도 유독 물질이 있다. 실제로 2012년 미국의 비영리 환경기관 에콜로지센터가 휴대폰 36종을 조사한 결과, 거의 모든 스마트폰에서 납, 브롬, 염소, 수은, 카드뮴이 나왔다. 만약 불법 매립되면 중금속이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고, 야외에서 소각할 경우 ... ...
- [Origin] 족보 꼬인 원숭이의 영리한 공동육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마모셋과 타마린 원숭이는 남미 열대우림에 사는 신세계원숭이다. 대부분 성체 몸무게가 500g을 넘지 않는 소형원숭이다. 얼핏 보면 작은 너구리나 다람쥐 같다. 바로 앞에서 눈을 바라보고 정교하게 움직이는 손가락을 관찰해야만 비로소 우리와 같은 영장류라는 확신이 생긴다.그런데 이들 원숭이 ... ...
- [재미] 마왕의 등장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더 이상 여기 있는 수학자 같은 사람이 나오지않게 했어야 하니까 싹부터 잘라내야 했지. 영리하다고는 생각했지만 탑 꼭대기까지 올라올 줄은 몰랐는데….”마왕은 체념한 표정으로 말했다. 그 순간 탑이 무섭게 무너져 내리기 시작했다.쾅쾅쾅쾅.“잘 가라, 녀석아! 이번에는 내가 물러나지만 이게 ... ...
- C 에코브릭, 환경을 지키는 블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쌓아 환경을 지키는 에코 브릭을 소개할게.쓰레기로 만든 블록, 학교가 되다!미국의 비영리단체인 ‘허그 잇 포워드’는 과테말라에 학교를 짓는 일을 하고 있어요. 그런데 이때 약 6500개의 페트병을 이용해 건물을 짓는답니다. 어떻게 페트병으로 건물을 짓는 걸까요?과테말라 같은 개발도상국에는 ... ...
- 미션 1. 먼 바다의 쓰레기를 치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아이디어를 후원하는 사람들의 도움으로 ‘디오션클린업(TheOceanCleanup)’이라는 비영리 회사까지 만들어졌고, 아이디어는 실행에 옮겨지기 시작했지요.이 프로젝트는 올 봄 일본 대마도 지역에서 실험을 거친 뒤, 2020년부터 전 바다의 쓰레기를 청소하는 ‘쓰레기 청소 대작전’에 본격적으로 사용될 ... ...
- [Tech & Fun] ‘CSI: 과학수사대’와 ‘알몸 절도 사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눈썹 모양을 결정하는 유전자 마커 등을 상세히 밝혔습니다. 지난해에는 홍콩의 비영리단체 홍콩클린업이 길거리에 버려진 담배꽁초나 침으로부터 DNA를 추출해 얼굴을 복원하는 작업을 하기도 했습니다. 즉, 비교할 DNA 정보가 없다고 하더라도(초범이라 할지라도) 대략적인 몽타주 작업을 할 수 ...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뇌에 대해 연구한 사례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1950년대부터 동물이 얼마나 영리한지 검사하기 시작했는데, 검사를 받은 동물은 대부분 포유류였다. 그러니까 파충류는 아예 지능에 대한 정보 자체가 부족했다.그나마 검사를 받은 파충류가 몇 종 있었지만 이들이 받은 검사들은 모두 ... ...
- [과학뉴스] 아카이브(arXiv)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물리학, 천문학, 컴퓨터과학, 통계학 분야 등의 ‘출판 전’ 논문을 수집하는 비영리 웹사이트다. 미국국립과학재단(NSF)의 지원을 받으며 코넬대가 1991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최근 송유근 UST 박사과정 연구원과 박석재 한국천문연구원 전 연구위원이 이곳에 올린 논문이 표절 의혹을 받으면서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