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국
동맹국
연맹
동맹
합동
합병
유니언
d라이브러리
"
연방
"(으)로 총 527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은 세계에선 나지! 마이크로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지난해 11월에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로봇이 발표됐어요.주인공은 스위스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의 제이미 백 교수가 만든 ‘트라이봇’이에요. 형상기억합금은 특정 온도에서 모양이 변했다가 원래 모습을 기억해 돌아오는 금속인데, 트라이봇은 두 다리 사이 마다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을 ...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온라인 백과사전인 ‘우키피디아’가 있을 정도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스위스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로잔공대)의 한 연구팀은 2016년에 우키피디아에 정리된 데이터를 ‘그래프 이론’으로 분석해 스타워즈 인물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혔다.그래프 이론은 대상들 사이의 관계를 점과 선의 연결로 ... ...
[과학뉴스] 로봇 우주비행사 임무 준비 완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7호
로봇 ‘페도르(FEDOR)’가 곧 우주로 떠나요.(8월 21일 기준) 8월 13일, 러시아
연방
우주국은 우주 여행 직전에 페도르가 훈련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공개했어요. 동영상에서 페도르는 손으로 물건을 잡았다가 놓고, 핀셋으로 작은 물건을 집으며, 핸들을 돌려 가상 운전을 하지요. 훈련을 마치고 8월 2 ... ...
로봇공학전공 홀로그램 기술과 딥러닝이 만나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이미징 기법으로 세포를 자동으로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해 2012년부터 스위스 로잔
연방
공대(EPFL), 로잔의대 등과 공동 연구를 진행해왔다. 이를 통해 적혈구와 심장근육세포의 상태 변화와 약물 반응성 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가령 홀로그래피로 적혈구를 촬영해 위상정보를 복원한 ... ...
[과학뉴스] 지진 분류하는 신호등 시스템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지진이 얼마나 강력할지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취리히
연방
공대 스위스지진학서비스(SED) 연구팀은 지진의 규모와 횟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텐베르크-리히터 법칙’에 등장하는 상수인 b값의 변화에 주목했다. 같은 횟수의 지진이 발생할 때 b값이 클수록 지진의 ... ...
[검시관사건노트] 물속에서 떠오른 억울한 죽음 수중시체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지문을 팽창시켜 채취하는 기법이다. 우리나라 과학수사계가 자체 개발한 기법으로, 미국
연방
수사국(FBI) 등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기법이다.수사팀은 고온습열처리법을 이용해 수중시체에서 지문을 채취했다. 그리고 피해자가 사라진 택시기사임을 확인했다. 이미 형사팀은 살인 및 시체유기 ... ...
나로호 프로젝트 본격 시동 협력 파트너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흐루니체프 사이의 협력을 공식 승인했다. 2004년 4월 19일 러시아
연방
우주청은 “러시아 정부는 KSLV-I 사업의 공식적인 협력 기관이 흐루니체프임을 확인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 보내왔다.이후 다섯 차례에 걸친 정부 차원의 협상, 열여섯 차례에 걸친 ... ...
산호와 맹그로브의 천국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꿈을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못하는 드넓은 태평양에는 수많은 섬이 각기 국가를 이루고 있다. 그중 미크로네시아
연방
공화국(FSM·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은 태평양 서쪽 600여 개의 섬을 품고 있는 도서국이다.미크로네시아에서도 가장 많은 인구(약 1만3000명)가 사는 웨노섬은 오랜 전통이 그대로 이어진 추장 중심의 사회와 ... ...
[과학뉴스] 외계 전파 위치, ‘원샷 원킬’로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배니스터 호주
연방
과학산업연구기구(CSIRO) 책임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이 고속전파폭발(FRB)의 위치를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FRB는 우주에서 오는 짧지만 강력한 전파 신호로, 나타났다가 수ms(밀리초) 만에 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발생 위치와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다. 연구팀은 ‘호주 스퀘어 ... ...
기회는 지금이야 당장 달려볼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단백질이 기억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연방
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근육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인 이리신(irisin)이 늘면 *시냅스 가소성이 증가하면서 장기기억력이 좋아진다는 사실을 ‘네이처 메디신’ 1월 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