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engineer
앤지니어
기관수
기관사
d라이브러리
"
엔지니어
"(으)로 총 57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할까. 처음 KVN을 건설할 당시 전파를 디지털 신호로 바꿔주는 수신기를 만들 수 있는
엔지니어
는 2명뿐이었다. 2명 모두 전파망원경용 수신기를 개발한 경험이 없었을 뿐더러, 값비싼 수신기를 해외에서 사 올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 결국 우리가 만들어내야만 했다. 하나하나 몸으로 부딪치는 수밖에 ... ...
음성인식으로 말귀 알아듣고 전자 코로 냄새 맡는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하는 말의 의미를 파악하는 기술입니다. 음성 인식 기술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 정말 많은
엔지니어
들이 오랫동안 연구를 해왔습니다. 현재 사용되는 방식은 지난 호에 소개했던 컴퓨터 신경망 프로그램입니다. 지난 호에는 사진을 학습했다면 이번에는 소리를 학습하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인이 된 의사 로버트 써스크(Robert Thirsk)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20)에서 비행
엔지니어
로 일하는 모습이다.2009년 두 번째 임무에서는 소유스 TMA-15의 비행
엔지니어
를 맡아 약 6개월간 ISS에 머무르며 무중력이 장기적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의사와 공학자의 역할을 넘나드는 이런 활약은 그의 배경과도 관계가 깊었다. 처음에는 그가 의사 출신 ... ...
아폴로 11, 연습만이 살 길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왼쪽)과 버즈 올드린(가운데 앉은 사람)이 달 착륙 이후 상황을 연습하기에 앞서
엔지니어
의 설명을 듣고 있다. 연습만이 살 길우주복 착용부터 발자국 찍기까지. 연습, 또 연습이다. 아폴로 11호의 우주비행사들은 무중력 훈련뿐 아니라 월석 샘플을 옮기는 법, TV 생중계를 위한 장치 설치 등 달에서 ... ...
[수학 THE LOVE] 어디서나 사랑받는 팔방미인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말했다. 그는 “어려운 수학을
엔지니어
가 쉽게 쓸 수 있도록 만드는, 수학자와
엔지니어
의 연결고리가 되고 싶다”는 포부도 밝혔다. *미하엘리스-멘텐 식효소 반응의 해석에 쓰이는 기본적인 반응속도식.*손실함수(loss function)학습을 통해 얻은 데이터 추정치와 실제 데이터간의 차이를 ... ...
국내 첫 삼성전자 계약학과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에 가다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집중적으로 학습한다. 3~4학년이 이수해야 하는 수업 중 일부는 삼성전자에 소속된 현직
엔지니어
가 진행한다. 전 학과장은 “반도체를 산업적인 관점에서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로 나누지만, 기본 교육 프로그램에서 이 둘을 나눠서 가르치는 건 아니다”라며 “메모리도 하나의 ... ...
보잉 737에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augmentation systems)이 대표적입니다. 이번에 논란이 된 MCAS도 그중 하나입니다. 보잉의
엔지니어
들은 날개의 형상이 바뀌면서 양력 변화로 기수가 들려 받음각이 커질 것에 대비해 MCAS를 달았습니다. MCAS는 양력이 커지거나 비행기의 받음각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커지면 자동으로 수평 꼬리날개의 ... ...
스스로 길을 찾은 수학자, 클레르 부아쟁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부아쟁 교수는 “그것이 수학자가 될 수 있었던 비결”이라고 말했다. 어린 시절
엔지니어
인 아버지가 곧잘 기하학을 알려줬지만, 부모님 누구도 공부하라거나 수학자가 되라고 강요하지 않았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진로에 관한 결정을 스스로 내리며 수학자의 길을 걸었다.부아쟁 교수는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있다.물론 나틱 프로젝트에도 단점이 있다. 고장이 났을 때 바닷속 데이터센터로
엔지니어
가 들어가서 고칠 수 없다. 수리를 위해서는 데이터센터를 바다에서 꺼내 전체 시스템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나틱 프로젝트의 2단계 실험은 2022년까지 총 5년간 진행될 예정이다. 데이터센터에는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받고 듀폰연구소에서 프레온가스 개발에 참여해 공동개발자로 명성을 얻었다. 최초의
엔지니어
로 부를만한 오하이오주립대 출신의 이병두(세라믹공학)는 인공 치아 연구로 여러 특허를 취득해 경제적으로도 상당한 성공을 거뒀다. 잊혀진 일제강점기 과학역사 발굴해야당시 조선에서는 자신의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