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필
저작
저술
작문
d라이브러리
"
쓰기
"(으)로 총 1,151건 검색되었습니다.
[어수동 찐팬을 만나다] (2)수학으로 동물을 구할 거예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2호
있지요. 어과수 기자단 게시판에 ‘펫샵에서 동물을 사면 안 되는 이유’라는 기사를
쓰기
도 했어요. 앞으로도 동물을 보호하는 활동을 많이 하고 싶어서 수의사가 되고 싶어요. 수의사가 되려면 수학도 잘해야 한다고 들었어요. 을 통해 수학과 점점 친해지고 있는 것 같아요 ... ...
도쿄올림픽 여자배구 4강 이끈 숫자대작전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1호
걸 통계 분석을 통해 알고 있었어요. 감독님은 서브로 득점을 만드는 전략을 5세트에
쓰기
로 결정했어요. 그래서 1~4세트까지는 결정적인 서브가 필요한 순간에만 교체돼 들어오던 박은진 선수가 5세트에서는 처음부터 뛰었지요. 첫 서브도 박은진 선수가 했고 이것이 첫 득점으로 이어졌어요.박은진 ... ...
식물, 공장에서 키웁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뽑아 수확한다. 파종 후 약 40일이 지난 시점이다. 더 키울 수도 있지만 샐러드용 채소로
쓰기
엔 식감이 억세진다. 식물이 노화하며 끝이 타들어가는 ‘팁 번(tip burn)’도 나타날 수 있다. 식물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LED 색 조합, 배양액의 영양분 조성, 수확까지 걸리는 기간이 조금씩 달라진다. 이를 ... ...
[인터뷰] “수학이 우리를 자유롭게 하리라”
수학동아
l
2021년 11호
어떤 역할을 했는지 엿볼 수 있어요. Q. 감독님이 AI 회사를 설립하셨다고요? A. AI 소설을
쓰기
위해 2015년에 만들었어요. 2014년 우리나라에서 열린 서울 세계수학자대회(ICM) 기간에 AI 소설가에 대한 아이디어가 떠올랐거든요. ICM은 전 세계의 내로라하는 수학자들이 모여 최신 수학 연구를 발표하는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0화. 해롱 선장이 페가수스 선장을 싫어하는 진짜 이유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0호
둘째 판이 시작 되기 전에페가수스 선장이 해롱 선장에게 말했어.‘자네는 밭다리걸기를
쓰기
전에 왼쪽 발가락을 꼼지락거리는 습관이 있더군. 이제 공격을 예측할 수 있어.’ 해롱 선장은 코웃음 치며 경기를 시작했는데, 갑자기 그 말이 계속 떠오르는 거야. 그때부터 발가락에 신경이 쓰여서 ... ...
글꼴에 세상을 담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2006년에 나온 세로
쓰기
전용 서체다. 그는 “세로
쓰기
는 한국의 문자 생활에서 가로
쓰기
보다 훨씬 더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다”며 “꽃길체를 보며 글꼴 디자인을 할 때 당장 필요한 것이나 앞으로 유용할 것뿐만 아니라 이전부터 존재했던 문화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 ...
한글꼴 · 로마자꼴을 해부하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가장 굵다. 과거 세로
쓰기
한글에서는 기둥의 위치에 따라 글자의 가지런함이 결정됐다.
쓰기
방향 변화로 글줄 흐름에 대한 기여도는 줄었지만 시각적 안정감을 잡아주는 중심 역할을 한다.❷ 부리: 획 끝의 돌기 모양이 새의 부리처럼 생겼다 해서 붙여졌다. 과거 붓으로 글씨를 쓸 때 획에 붓끝의 ... ...
[인터뷰] 떴다 떴다 종이비행기~♬ 멀리, 오래 날리는 비법은?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0호
앞으로 나아가는 힘이 커지기 때문이에요. 또 표면에 미세한 주름이 있는 특수한 종이를
쓰기
도 해요. 표면에 작은 주름이 있으면 공기가 이리저리 흩어지지 않고 곧게 흘러서 종이비행기를 잘 날게 해줘요. 2 양쪽 날개가올라가 있어야 잘 날아요.날개가 위쪽으로 살짝 올라가 있으면 바람이 옆에서 ... ...
기술의 변화 글꼴의 변신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전역으로 가로
쓰기
가 퍼졌지만 신문에 도입한 것은 1988년 창간한 한겨레가 최초다.세로
쓰기
용 글꼴은 글자를 같은 높이로 맞추기 위해 네모꼴 안에 짜여야 했다. 네모꼴 글꼴을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자음과 모음 28자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1만 1172자를 모두 만들어야 한다. 1900년대 중반 타자기가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수 있는 줄과 카메라가 달린 스마트폰만 있으면 할 수 있을 정도로 간단하지만, 기사를
쓰기
는 쉽지 않았어요. 당시 기사 담당이었던 이창욱 기자가 방사능을 눈으로 확인하는(!) 대단한 실험에 도전했지만 장렬하게 실패해서 다시 진행한 실험이었거든요. 아아, 실험이 쉽다고 그 누가 말했나? (눈물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