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스위치"(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비행사 비서 로봇 ‘아일라’ 개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모습을 보고 학습도 할 수 있다. 최근에는 국제우주정거장을 모방한 실험 공간에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연구진은 “아일라에 적용한 동작 방식은 다른 형태의 로봇을 만들 때도 그대로 쓸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수학동아 l2015년 10호
- 1946년 2월 ‘에니악(전자 숫자 적분 및 계산기)’이라는 이름의 컴퓨터를 선보였다. 전원 스위치가 켜지면, 에니악 내부에 있던 1만 7468개의 진공관이 깜빡이며 계산을 시작했다.에니악이 이끈 컴퓨터의 미래다행히 에니악은 전쟁 이후에도 수소폭탄 설계, 날씨 예측, 우주선 연구, 열 폭발 감지, 임의 ...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구멍을 내고, 대회 당일 아침에 주어지는 △깜짝 과제(레버 당기기, 전선 연결하기, 벽 스위치 누르기 중 한 가지)를 수행한 후, △잔해물을 돌파해 건물을 빠져 나와야 한다. 마지막으로 4칸의 △계단을 성큼성큼 걸어 올라가야 과제가 종료된다. 과제 하나를 완수할 때마다 1점씩 총 8점을 받는다 ... ...
- 화재 막는 과학 우리 집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것을 바이메탈이라고 해요. 열을 가하면 적게 팽창하는 금속 쪽으로 바이메탈이 휘면서 스위치를 누르고, 그 결과 회로 전체에 전류가 통해 경보기가 울리지요.그런데 화재감지기는 잘못 울리는 경우가 많아요. 센서가 고장 나거나 예민한 센서가 작은 불빛 등을 화재로 잘못 감지하기 때문이에요. ... ...
- PART3. 4D 프린팅의 마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이렇다. 체인의 각 요소에는 두 가지 값이 있는 스위치가 내장돼 있다. 손으로 흔들면 스위치 값이 변하면서 각 관절이 정해진 방향으로 뒤틀린다. 마치 DNA를 구성하는 4개의 염기(A, C, T, G)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조합되는 것과 같다. 4D 프린팅은 머지않은 미래에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 ...
- [Knowledge]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언제나 정말로 새로운 것을 찾고 싶어 하기 때문에, 다시금 이 거대한 기계의 스위치 앞에 서서 그동안 스스로가 해왔던 노력과는 모순된 소망을 품고 있다. 재가동된 LHC에서 표준모형으로 설명할 수 없고 아무도 이해하지 못하는 현상을 보는 것이다. 그러면 그것은 우리가 알지 못하는 물리학 ... ...
- 배달하고 사진 찍고, 지금은 드론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조종하고 있었어요.로봇은 주먹 쥔 손가락의 검지를 펼쳐 10개가 넘는 조종석 스위치를 하나씩 모두켜고, 엔진을 작동시킨 뒤 이륙하는 데 성공했어요. 그리고 양손에 조종대를 잡고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안정적으로 비행을 했답니다.명예기자들은 이 로봇과 비행 대결을 해 보았어요. 그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때문이다. 레이저는 핵융합을 단번에 일으키는 게 아니라 엑스선을 발생하기 위한 ‘스위치’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방식에는 문제가 있다. 나용수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수소폭탄의 원리와 정확히 같다”고 말했다. 수소폭탄은 핵융합이 일어날 수 있는 초고밀도, 초고온 상태를 만들기 ...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켜진다. 나갈 채비를 마치고 학생이 집을 나서면 자동으로 문이 잠기고 집안에 있는 모든 스위치도 꺼진다.SF영화에서나 볼 수 있었던 일이 5G 기술로 현실화되는 것이다. 스마트폰에서 홀로그램과 입체 영상도 볼 수 있다. 이런 5G 기술이 당장 상용화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는 2020년 세계 최초로 ... ...
- [가상인터뷰] 손가락 형성의 비밀, 수학으로 풀다!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결합해, DNA로부터 RNA를 만들어 내도록 유전자를 활성화하는 조절 단백질입니다. 스위치를 켰다 껐다 하는 것처럼 다른 단백질들의 신호 전달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죠. 여기서는 손가락 형성과 관련된 유전자들을 활성화하겠죠?샤프 교수님, 그럼 교수님이 만든 수학 모델이 실험적으로도 입증이 된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