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성"(으)로 총 43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천문대 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새벽에는 샛별이라고 부르는데 정확하게는 별이 아니고 행성이에요. 바로 금성이지요.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같은 행성도 하늘에 떴을 때 맨 눈으로 보면 별처럼 보인답니다. 그런데 밤하늘에 떠 있는 밝은 별이 행성인지 별인지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답니다. 뭐냐고요?그건 말이죠.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아무리 계산을 해도 움직임을 예측하기가 힘들었다.이에 케플러는 당시 알려진 6개 행성(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이 서로 포개어진 플라톤 입체의 형태로 원형 궤도를 따라 움직인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케플러가 아무리 노력해도 플라톤 입체로는 행성의 움직임을 설명할 수가 없었다 ... ...
- 수학캠핑 - ➎ 마술적인 숫자 배열, 마방진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마방진은 목성, 5차 마방진은 화성, 6차 마방진은 태양, 7차 마방진은 금성, 8차 마방진은 수성, 9차 마방진은 달과 연결시켰다.‘멜랑콜리아’ 치료하는 4차 마방진독일 화가 알브레히트 뒤러(1471~1528)의 판화 작품 ‘멜랑콜리아’에는 가로, 세로, 대각선의 합이 34로 일정한 4차 마방진이 새겨져 있다. ... ...
- 보이저 1호, 혜성의 고향까지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알겠는데, 도대체 태양권은 뭔가요?”라고 물어온다. 태양계는 흔히 알고 있는 대로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 8개의 행성과 태양으로 이뤄진 계다. 명왕성은 최근 ‘소행성 134340’으로 지위가 떨어져 태양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반면, 태양권은 태양계를 넘어 태양이 영향을 ... ...
- 항성 VS 행성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내지는 못하지만 항성으로부터 빛과 열에너지를 공급받지요.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은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입니다. 태양계의 행성은 밀도와 크기에 따라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으로 나누는데, 지구형 행성은 암석으로 이루어진 단단한 행성이고, 목성형 행성은 ... ...
- 변 기자의 우주에서 가장 추운 취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더위 사이를 오르내린다.금성 최저 -45℃지구 최저 -89℃화성 최저 -140℃목성 최저 -163℃수성 최저 -183℃토성 최저 -191℃해왕성 최저 -218℃천왕성 최저 -224℃추워도 너~무 추운 이곳!우주에서 가장 추운 곳은 지구에서 1500광년 떨어진 부메랑 성운이다. 중심별에서 초속 164km로 가스가 뿜어져 나오며 ... ...
- PART 3. 중력이 수상하다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측정한 프랑스의 천문학자 위르뱅 르 베리에는 낡은 중력 법칙을 버리지 않기 위해서 수성 안쪽에 미지의 행성이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 행성이 ‘벌칸(Vulcan)’이라는 암흑행성이다. 그 뒤 무려 50년 동안 과학자들은 태양의 흑점을 암흑행성으로 오인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이지 ... ...
- 호빗이 사는 외계 행성?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물론 인간이 찾아낸 행성 중에서다.NASA 에임스연구센터는 최근 “달보다 조금 크고 수성보다 작은 외계행성을 케플러37이라는 별 주위에서 발견했다”고 ‘네이처’ 2월 21일자에 밝혔다.외계행성의 이름은 케플러37b다. 케플러37은 백조자리에 있는 별로 우리 태양과 비슷한 크기에 조금 차가운 ... ...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얼음은 수십 cm 두께의 어두운 물질로 덮여 있다. 그뿐만 아니라 수성의 대기 외곽층에 상당한 양의 수증기가 있다는 사실도 드러났다.이제 반대로 태양에서 먼 쪽으로 가 보자. 화성에는 이미 탐사로봇이 여러 대 착륙해서 물의 존재를 조사했다. 마침내 2008년 화성에 착륙한 ... ...
- 고독한 우주의 방랑자, 외톨이 행성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움직이면서 소행성을 이리저리 흩어지게 해 많은 충돌이 일어났다. 그때의 흔적이 수성이나 달 표면의 충돌구로 지금까지 남아 있다. 그런데 태양계가 지금의 모습으로 안정되기 위해서는 당시에 거대 행성인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외에 제5의 또 다른 거대 행성이 있었어야 했다. 그 미지의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