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망자"(으)로 총 3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안전모를 쓰지 않으면?수학동아 l2016년 11호
- 9년부터 2014년까지 우리나라에서 자전거를 타다가 숨진 사람이 1400명이나 된다는 거예요. 사망자 대부분은 머리를 다쳤고, 86%는 안전모를 쓰지 않았어요. 안전모 쓰면 사망 위험 65%까지 줄어지난 9월에는 안전모를 왜 써야 하는지 통계적으로 밝힌 연구가 발표됐어요. 제이크 올리비에 호주 ...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90%가 집중되는 시기다. 5년 전 18명의 사망자를 낸 서울 우면산 산사태(사진)와 13명의 사망자를 낸 춘천 마적산 산사태도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진 7월에 일어났다. 사전 예측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지만, 자연재해 예측은 변수가 너무 많아 성공 사례가 거의 없다. 그런데, 그 어려운 걸 반드시 ... ...
- Part 2.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죽은 사람이 부활해 좀비가 되기 때문에 사망자에서 좀비가 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또 사망자에는 죽은 좀비도 포함된다. 연구팀은 좀비의 머리를 자르거나 뇌에 큰 손상을 입히면 좀비가 죽는다고 가정하고 전염병 모델을 만들었다.[미분방정식★ 풀면 미래를 예측할 수 있어 변화율을 구하는 데 ... ...
- [Knowledge] 화성 탐사? 여성 우주비행사 연구부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NASA는 우주비행사가 우주정거장 등 지구 저궤도에서 우주방사선으로 인해 3% 초과사망자가 발생하는 시점을 여성은 18개월, 남성은 24개월(태양활동이 가장 강할 때 기준)로 보고 있다.성별 차이는 선발에 적용 가능이런 차이를 알면 뭐가 달라질까. 한국인 최초 우주인 이소연 씨의 주치의였던 ...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바이러스(H1N1)가 실험실에서 합성된 적이 있다. 1997년 미국 워싱턴DC의 연구진이 1918년 사망자의 조직에서 바이러스 유전체의 염기서열을 알아냈고, 2005년 H1N1을 부활시키는 데 성공했다.2) 상세한 염기서열은 ‘네이처’에, 바이러스를 다시 살려내는 과정은 ‘사이언스’에 각각 발표됐다. 문제는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뼈인지 등을 조사한답니다. 게다가 이빨이나 두개골 뼈가 붙어 있는 정도를 분석해 사망자의 나이를 추정하거나 팔과 다리뼈로 키를 계산해 내기도 하죠. 척! 보면 동물뼈인지 사람뼈인지 안다?!2012년 6월, 수원지방검찰청은 끔찍한 살인을 저지른 오원춘의 집을 조사하던 중 뼛조각 11개를 ... ...
- [Career] 에너지계의 ‘홀드왕’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안 교수는 “연간 국내 교통사고 사망자만 5000명 가량”이라며 “원자력공학으로 인한 사망자는 훨씬 적다. 원자력공학이 인류에 덜 해로운 셈”이라고 말했다. 또한 후쿠시마의 원자로인 비등수형원자로 (BWR)와 달리, 우리나라는 안전성이 더 좋은 가압수형원자로(PWR)를 사용하고 있다. 안 교수는 ... ...
- [가상인터뷰]박쥐 VS 에볼라, 승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나와 지구를 정복하자!박쥐 : 에볼라 바이러스는 현재까지 감염자가 2만 명이 넘고, 이 중 사망자도 만 명이 넘어요. WHO는 2015년 12월 29일에 에볼라 종식 선언을 했지만, 90일 간의 집중 감시 기간이 주어져 아직까지 완전히 마음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에요. 카르틱 찬드란 교수님은 이번 연구결과를 ... ...
- [Tech & Fun] 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❷ 소년탐정 김전일의 ‘이진칸촌 살인사건’ (上)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있어도 키 알 수 있어 법의학 서적이나 인터넷을 조금만 찾아봐도 시체의 뼈를 이용해 사망자의 키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전체 뼈가 모두 남아있지 않더라도, 혹은 두개골이 없어도요. 뼈의 일부로 키를 추정하는 공식이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쓰이는 공식은 1958년에 나온 ‘트로터와 글레저 기법 ... ...
- [지식] 설문조사의 함정수학동아 l2016년 02호
- 2번의 발생 확률이 더 높다고 대답했습니다. 지진을 재난의 원인으로 판단했기 때문에 사망자가 많을 거라고 여긴 겁니다. 그런데 이는 착각이 낳은 틀린 답입니다. 1번이 더 많은 원인을 품고 있기 때문이지요. 기록적인 폭우나 화산 폭발로 대홍수가 일어날 수도 있을 뿐더러 미국 전역에서 일어난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