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자
사내
남성
장정
대장부
정남
녀석
d라이브러리
"
사나이
"(으)로 총 122건 검색되었습니다.
잠의 건강학 수면시간의 「적정선」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뿐만 아니라 어떤 신체적 부작용도 없었다.기네스북에 기록된 '세계에서 가장 잠에 강한
사나이
'는 영국의 모린 웨스턴. 그는 지난 1977년 흔들의자에서 4백49시간(18일 17시간)동안 잠을 자지 않고 버렸다.미국인 디스크자키 피어스트립도 이 '마라톤' 불면계에서 빠뜨릴 수 없는 사람이다. 그는 ... ...
엠파이어 스테이트빌딩에 매혹된 소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토니 로디'라는
사나이
는 어렸을때부터 뉴욕시 근교 '뉴왁'에 살면서 맨해탄에 우뚝선 엠파이어 스테이트빌딩에 심취해 있었다. 그는 빌딩의 우아하면서 장대한 아름다움에 매혹돼 꿈에서도 자주 빌딩을 만나게 되었다.'로디'는 성인이 되면서 그처럼 큰 빌딩을 짓기는 불가능해 모형이라도 만들어 ... ...
인공장기 시대를 여는 신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생체조직을 복원하려는 인간의 노력은 이제 결실을 맺어가고 있다. 아직 ‘6백만불의
사나이
’ 수준은 아닐지라도 생체내애서 거부감을 일으키지 않고 생명을 유지하는데 최소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만든 장기들이 속속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생체에 이용되는 재료는 금속, 요업재료, ... ...
아메리카 들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줄어들자 이를 보존하려는 노력도 시작되었다. 1873년 ‘펜드 드 오릴’족 인디언중 한
사나이
가 두쌍의 들소를 생포해 길렀다. 두마리는 1884년에 13마리가 됐다. 이들은 백인농장에 팔렸는데 그뒤 3백마리로 불어났다.또 1902년 ‘찰스 존스’대령은 그의 장기인 올가미던지기로 들소를 사로잡아 ... ...
남태평양의 진주 폴리네시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하지만 정확한 표현이라 할 것이다. "이렇게 훌륭한, 이렇게 균형이 잡힌 체구의
사나이
들을 나는 아직 본 적이 없다. 달리 비길 데가 없어 힘이 센 헤라클레스나 군신 아레스(마르스)를 그릴 때 이만큰 적절한 모델을 다른데서 찾을 수는 없을 것이다"축제의 모습남위 17도의 섬에서는 밤이 갑자기 ... ...
전자시대의 새로운 인간유형 실리콘 밸리의 소년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위대한 배우처럼 주어진 역할에 자신의 성격을 맞출 수 있는 관료타이프이다.미래의
사나이
의 이미지와 꼭 맞는 사람은 '로널드 레이건'과 같은 사람이다"맥루한이 이렇게 말한 것은 레이건이 대통령이 되기 5년전이었다. 실리콘밸리의 신체검사맥루한은 미래의 인간은 육체적으로 쇠약하여질 ... ...
과학에세이 인공지능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밖에 없게될 사람들에게는 더욱 쉽게 생각을 바꿀 기회가 오게 될 것이다. '육백만불의
사나이
'같은 존재를 우리는 단순히 기계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편리한 기계의 양면성이런 식으로 생각하는 기계가 우리의 생활을 바꾸어 놓게 된다면 걱정스러운 일도 많이 생길 것이다. 시키는대로 일하는 ... ...
형상기억합금이라는 여의봉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그래서 ‘무쇠같은
사나이
’라고 하면 깨지면 깨졌지 휘어지지 않는 즉 항복하지 않는
사나이
를 뜻하게 되었다. 또 ‘철의 여자’는 영국의 대처수상과 같이 남자 이상의 강인한 여성을 비유할 때 사용하는 말이다.그러나 이와 같은 금속의 기존 통념을 완전히 뒤바꿔 놓을만한 금속이 새롭게 등장, ... ...
입자와 파동의 한판승부 불확정성의 원리와 양자역학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즉 수소보다 무거운 원자일 경우엔 적합하지 않다는 사실을 알고 고민하고 있었다.'밤의
사나이
'의 혜안이때 하이젠베르그의 뮌헨대학 1년선배인 스위스태생 파울리(Wolfgang Pauli 1900~1958)가 나타난다.그는 음악 스포츠를 좋아하는 고상한 하이젠 베르그와는 성격이 달랐다. 술집에서 술만 마시는 ... ...
엎취락 뒤치락의 7라운드 끝내고 다시 불붙은 미·소의 우주경쟁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년 7월 16일에 발사된 아폴로 11호가 5일 후인 7월 20일 달 표면에 도착한 것이다. 최초의 달
사나이
'암스트롱'을 태운 아폴로 11호가 7월 24일 무사히 지구로 귀환함으로써 달선착을 놓고 10여년간 지속되었던 우주경쟁은 미국의 승리로 막을 내린다. 컴퓨터기술의 우세가 결정적당시를 기억해 보면 ... ...
이전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