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의신"(으)로 총 526건 검색되었습니다.
- Bridge. 튤립은 어떻게 세상에 퍼졌나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발 없는 꽃이 천리를 가기’ 위해서는 이들을 사방으로 실어 나르는 매개가 필요하다. 움직이지 못한다는 이유로 꽃이 동물보다 못하다는 견해가 있는데 곰곰이 따져보면 그렇지 않다. 동물이나 사람은 A지점에서 B로 이동해 버리면 오직 B에만 존재한다. 다시 A지점에 존재하고 싶으면 힘들게 왔 ... ...
- Robot 수학으로 생명을 불어넣다 !수학동아 l2014년 03호
- 헬로우! 마이 네임 이즈 로보캅. 여러분, 저 로보캅이 돌아왔습니다! 새로 개봉한 영화는 물론 보셨지요? 지난 1987년, 제가 처음 영화에 등장했을 때 사람들은 저와 같은 사이보그는 있을 수 없는 가상의 이야기라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2014년 현재, 로봇공학자들은 사이보그를 만드는 일이 불가능하 ... ...
- 2014 설 특집 목욕의 신이 알려 주는 목욕의 비밀 5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어과동 친구들! 반가워~! 내가 누구냐고? 나는 청결을 사랑하는 뽀득뽀득 ‘목욕의 신’이라네~! 이제 곧 설날이잖아~. 설날 아침에는 몸과 마음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목욕을 해. 그래서 이 목욕의 신이 어과동 친구들에게 목욕에 숨은 비밀 다섯 가지를 알려 주기 위해 왔다는 사실~! 엥? 다들 왜 ... ...
- 2014 말의 해 멸종 대신 사람을 선택한 말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2014년은 푸른 말띠 해!2014년 갑오(甲午)년은 푸른 말 청마띠 해야. 병오년은 붉은 말 적마띠, 무오년은 노란 말 황마띠, 경오년은 흰 말 백마띠, 임오년은 검은 말 흑마띠 해지. 2002년 임오년에 태어나 올해 우리 나이로 13살이면 흑마띠인 거고, 1990년 경오년에 태어나 25살이면 백마띠인 거야.같은 말 ... ...
- 옥토끼, 달에 중국 국기를 꽂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12월 15일 일요일 새벽(중국 시간) 달 표면에 착륙한 중국의 무인 달 탐사선 ‘창어3호’가 이동로봇 ‘옥토끼’ 위투호를 조심스럽게 내보냈다. 부드럽게 굴러간 위투호는 달 지면에 선명한 바퀴자국을 찍으며 나갔다. 아시아에서는 처음, 세계에서는 구 소련과 미국에 이어 세 번째로 인류의 손길 ... ...
- 자석과 부력으로 오르락내리락 정신없이 바쁜 자석 바람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우와악! 박사님, 왜 자꾸 끌어당기시는 거예요?도망가려고 해도 자꾸 박사님께 끌려가요~. 붙어 버리면 밥도 못 먹고 화장실도 못 가고….음하하! 그건 내 몸 주변의 자기장과 너희에게 있는 자석 때문이지.자석? 자기장? 아, 자기력 때문이군요!난 아직 1학년이라 무슨 소린지 모르겠어~! 설명해 주세 ...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태양계 세 번째, 아름답고 푸른 행성 ‘지구’. 우리 모두가 사는 곳입니다. 공기와 물이 있고, 태양으로부터 거리도 알맞은 ‘천혜의 환경’을 갖춘 이곳에서 어느 날 생명체가 태어났습니다. 작디 작은 미생물에서 시작된 생명은 약 30억 년이 넘는 진화를 거쳐 인류에까지 도달했지요. 그런데 문 ... ...
- 큐리오시티, 화성에서 물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뇌에 문제가 생긴 지구방위 그랜파를 이용해 자금을 확보하나…, 했는데! 자동차 사고로 인해 일을 다 망친 닥터 그랜마예요. 부상은 당하지 않았지만 경찰을 피하느라 기껏 훔친 돈을 다 버려두고 몸만 도망 와야 했답니다. 흑흑.역시 지구 정복은 무리일까요. 다른 행성을 알아보는게 좋을 지도 모 ... ...
- 물놀이 안전, 명예기자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야호~! 드디어 우리가 기다리고 기다리던 여름방학이야! 방학을 맞아서 이번 취재 장소도 워터파크! 신난다~!파도풀에 미끄럼틀까지 정말 재밌겠다~. 워터파크로 취재간다는 얘기를 듣고 내가 얼마나 기대했다고!수영복도 갈아입었고 구명조끼도 잘 입었지?당연하지! 이제 얼른 물에 들어가서 놀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김장은 겨울에 담가야 제맛김치의 대표는 역시 배추김치다. 배추를 다듬고 한 나절을 소금에 절인 뒤, 고춧가루와 파, 마늘, 생강, 젓갈을 넣은 양념으로 버무린다. 그러나 오늘날 먹는 것처럼 고춧가루에 버무린 빨간 김치가 만들어진 것은 채 400년도 안됐다. 고추가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은 조선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