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평정
안정
무욕
안전
관대
안심
d라이브러리
"
무사
"(으)로 총 140건 검색되었습니다.
털모자 눌러쓴 에스키모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위해 그녀들의 삼촌들과 결투를 하게 됐다. 이 싸움에서 불사신의 몸을 가졌던 폴룩스는
무사
했지만, 카스토르는 심한 부상을 당해 죽고 말았다. 동생 폴룩스는 형의 죽음을 슬퍼하며 아버지 제우스에게 찾아가 자신을 죽여 달라고 간청했다. 제우스는 쌍둥이 형제의 우애에 감동받아 하늘에 나란히 ... ...
1. '노벨상 후보감' 쇤 박사의 논문 날조 충격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특히
무사
무욕의 항목은 여러가지 예외가 생기기 시작했다. 김교수는 “쇤의 경우도
무사
무욕의 관점에서 예외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쇤은 자신의 연구 결과가 어떤 효과를 가져올지 잘 알고 있었다. 독일의 무명대학(콥렌츠대)을 나온 그가 세계 물리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위한 방법은 ... ...
집까지
무사
배달 위한 포장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모든 일에는 마무리가 중요하다. 전자제품 개발에서도 마찬가지다. 아무리 좋은 성능을 발휘하고, 잔 고장 없이 일정 기간 동안 수명이 보장되는 제품을 생산한다고 해도 소비자의 집 앞까지 안전하게 배달되지 못한다면 도루 아미타불이 되고 만다. 따라서 배달과정에서 아무 탈이 없으려면 제품 ... ...
팔만대장경 기적의 보관 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수십 차례의 화재가 더 있었을 것이다.그러나 그 수많은 화재에도 불구하고 대장경판은
무사
히 보관돼 왔다. 특히 대장경판을 보관하는 건물은 해인사에서 높은 산 쪽으로 지어져 화재가 일어나면 쉽게 불길에 휩싸일 위치에 있다.산 속은 산 아래에서 위쪽으로 바람이 불기 때문에 불길도 위쪽 ... ...
춤추듯 이온채널 통과하는 물분자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출입을 통제하는 수문인 셈이다. 그런데 물분자는 이 수문을 통과할 때 아무 검문없이
무사
통과다. 그 동안 과학자들은 이에 대한 제대로 된 해답을 내놓지 못했다.슐텐 박사팀이 주목한 대상은 아쿠아포린이라는 채널이다. 아쿠아포린은 세포막을 가로질러 삽입돼 있는 단백질로 이뤄진 ... ...
3. 복잡성 속 숨은 질서 찾는 확률과 통계 우주선 예비부품 몇개가 필요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부품의 개수를 정해야 한다. 대개는 4개보다 훨씬 많게 된다. 이렇게 할 때, 우주왕복선의
무사
귀환이 확률적으로 거의 확실히 보장된다.그러나 실제 문제는 좀더 복잡하다. 부품과 부품 사이의 관계에서 오는 사고발생 원인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부품 A의 기능 저하가 부품 B의 기능에 영향을 ... ...
미르의 사고일지와 태평양 수장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14분만에 분말소화기로 곧 진화돼 당시 미르에 탑승했던 러시아와 미국의 우주인 3명은
무사
할 수 있었다.같은 해 6월에는 우주선끼리 충돌하는 초유의 사고까지 발생했다. 이 사고는 미르의 승무원들이 무인화물선 ‘프로그레스 M-34’를 무선조종장치로 도킹시키는 과정에서 일어났다. 화물선이 ... ...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나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그가 할 수 있는 답변은 지구보다 더 빨리 도는 천체들은
무사
하지 않느냐고 반문하는 정도였다. 당시는 관성의 원리도 만유인력의 원리도 알려지지 않은 시대였기 때문에 태양중심설이 옳다고 믿었지만 이것을 완전하게 설명할 수 없었던 것이다. 만약 지구가 움직인다면 ... ...
공룡 번성과 몰락의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사라졌지만 새는 살아남았을까. 상당한 수의 바다생물이 전멸했지만 바다거북과 산호가
무사
한 이유는 무엇일까.6천5백만년 전 대전멸의 사건을 밝히기 위해 노력하는 동안 기억할 것은 만일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결코 이 사건의 진상을 밝히고 있는 우리 인간이 존재하지 않았으리란 ... ...
콜레라균을 마시고
무사
했던 과학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똑같은 실험을 하다가 콜레라에 걸려 죽고 말았던 것이다. 후대에 사람들은 페텐코퍼가
무사
할 수 있었던 것은, 화를 내며 흥분한 상태에서 위액이 많이 분비되는 바람에 콜레라균이 다 죽었기 때문이라고 짐작하고 있다. 어쨌든 페텐코퍼는 1901년 83세의 나이에 권총자살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