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말마디"(으)로 총 1,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웅하! 지난 7월 15일 자 기사 인기 투표에서 ‘닥터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이 1위를 차지했소! 이것 참 감격스러운 순간이 아닐 수가 없소. 재미있게 읽어 준 친구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소. 앞으로도 재밌는 과학 영상들을 소개해 주겠소! ‘눈에 보이는 것이 모두 진실은 아니다’라는 말을 ... ...
- Let’s dance 인공지능, 안무가로 화려한 데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지난 6월 26~28일, 국립현대무용단은 인공지능이 만든 안무로 공연을 열었어요. 인공지능이 불러온 미지의 세계 ‘블랙’을 뛰어넘는다는 의미를 담은 작품이었지요. 온라인으로 상영된 이번 공연에서 선보인 안무는 미디어아트 그룹 슬릿스코프의 김근형 공학자가 개발한 인공지능 ... ...
- 과학자? 예술가? 현대미술과 과학의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과학과 현대미술은 상상력을 더해 결과물을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아주 닮았어! 이 둘이 만나면 과연 어떤 새로운 모습을 보여줄까? 지난 7월 11일, 기자는 과학 실험실을 연상케 하는 김윤철 작가의 영종도 작업실을 찾았어요. 현대미술에 과학 기술을 더해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는 김 작가의 작 ... ...
- [시사과학] 올해도 불가마 더위 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후…. 2018년 여름을 기억하나요? 숨이 턱! 하고 막히는 살인적인 폭염이 있었어요. 우리나라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하면서, 폭염에 대한 역사를 새롭게 썼지요. 잠깐만 밖에 나가도 땀이 주르륵~ 흐르던 찐득찐득한 무더위. 올해도 반복될까요? 올여름 날씨, 전문가들은 어떻게 예측할 ... ...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케이스타)와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이터)를 거쳐 핵융합실증로(DEMO·데모) 건설까지. 핵융합 상용화를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플라스마는 고삐 풀린 말처럼 난류를 일으키고, DEMO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설계를 위한 수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 여기에 에너 ... ...
- [인터뷰] 핵융합 에너지는 후손에게 남길 자랑스러운 유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ITER는 1988년부터 시작해 무려 수십조 원의 예산이 투입된 초장기, 초대형 프로젝트다. ITER 회원국 7개국을 대표해 2015년부터 프로젝트를 이끌어가고 있는 베르나르 비고 ITER 사무총장을 e메일 인터뷰했다. Q. 현재 ITER의 건설은 얼마나 진행됐나?→ 건물을 건설하는 작업은 2007년 시작해 공사가 ... ...
- 엉뚱하지만 엄청난 우주 연구들, NIAC로 보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기상천외 우주 탐사 계획의 이름은 ‘첨단혁신연구프로그램(NIAC)’! 나사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인데 이름만 봐서는 엄청 어려울 것 같지? 지금까지 어떤 연구가 있었는지 알아보자! 화성을 날아다니는 벌떼 로봇? 태양계 밖 항성으로 진출하기 위한 레이저 추진 장치? SF 소설처럼 들리지만, 나사 ... ...
- [일본유학일기] 체감 물가 한국의 2~3배 물가 폭탄 도쿄 생존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유학을 준비한다면 생활비가 구체적으로 얼마나 드는지 궁금할 것이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물가가 비싸기로 유명한 미국 뉴욕, 영국 런던, 일본 도쿄 등에서 유학을 생각한다면 말이다.일본에 오기 전 나는 인터넷에서 일본 물가와 관련된 무수한 괴담(?)을 접했다. ‘도쿄는 땅값이 너무 비싸 다들 ... ...
- [과학동아 X 긱블] 물수제비 기계과학동아 l2020년 11호
- ◇ 안어려워요 ‘깨톡’"기자님 안녕하세요! 저희가 이번에물수제비 기계를 다 만들기는 했는데요…." 불길했습니다. 모바일 메신저 알람으로 뜬 메시지 첫 문장에 ‘는데요’라니. 분명 그 뒤에 좋지 않은 말이 붙을 게 뻔했습니다. 메시지를 클릭해 마저 열어봤습니다. "장마가 길어져서 저수지 ... ...
- [인터뷰] 수학 증명 과정은 롤러코스터 타는 것과 같이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김상현 교수는 미분동형사상군의 특이정칙성을 모든 실수 범위에서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유한생성군을 발견해 위상수학의 난제를 해결했다.’ 2020년 7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 선정 이유를 본 기자는 8월 고등과학원에서 진행한 인터뷰 자리에서 첫 마디를 고백으로 시작할 수밖에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