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청
대청마루
바닥
홀
청사
마루높이
높이
d라이브러리
"
마루
"(으)로 총 168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음파 가습기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그뿐만이 아니다. 건조한 공기는 실내 온도를 실제보다 더 차게 느껴지게 하거나 목재
마루
나 가구를 손상시킨다. 이쯤 되면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장치를 들여놔야 할 듯하다.겨울철 실내 건강의 파수꾼 가습기 원리를 살펴보자.초음파 가습기의 원리 초음파로 물을 작은 알갱이로 쪼갠 뒤 ... ...
마당과 대청
마루
에도 생태학은 숨쉰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증명하면 되는 것이다. 이 교수는 유체역학의 원리를 이용해 전통가옥의 마당과 대청
마루
에 약 4℃의 차이가 난다는 것을 밝혀냈다.이 교수는 올바른 생태학은 자연과 그 속에 사는 인간의 모습까지 모두 담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사람이 만든 구조물과 사람의 행위까지 포함한 연구라야 ... ...
개성만점 별난 나무목재 이야기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새롭게 수피를 만드는 형성층이 없기 때문에 풀로 분류된다. 하지만 최근 친화적인
마루
용 소재로 목재 외에 대나무가 손꼽히고 있다. 나무가 아닌 풀임에도 성장속도와 나무적 특성 때문이다. 대나무는 바닥재에 많이 쓰이는 적참나무보다 더 단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직접 수분에 많이 노출되면 ... ...
용액으로 만드는 거울의 마술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하나를 넣으면 거울의 개수에 따라 정사면체, 정팔면체, 정이십면체로 보일 수 있다.
마루
나 욕실 바닥, 상품 포장지와 같은 평면이나 공간을 반복된 무늬로 겹쳐지지 않게 완전히 덮는 것을 테셀레이션이라고 한다. 디자인에서 자주 이용되는 테셀레이션도 이와 같은 만화경의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 ...
괴물처럼 거대한 태양 폭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자유도는 3n-m이 된다전자기파나 음파 등의 파동에 있어서 파동의
마루
에서 다음
마루
까지 혹은 파동의 골에서 다음 골까지의 거리 보다 엄밀히 말하면 주기적인 파에 있어서 위상이 2π만큼 다른 두점 사이의 거리로 정의된다파동의 특유한 현상의 하나 매질 내를 전파하는 파동이 장애물의 뒤쪽에 ... ...
인간형 로봇으로 후끈 달아오른 일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산요는 돌아다니면서 먼지를 제거하는 귀여운 애완동물 모양의 청소기 로봇 ‘지수지-
마루
’(JISOUJI-MARU)를 내놓았다.태권V와 마징가Z가 싸운다면? 최근 모 CF에서는 어렸을 적 누구나 한번쯤 가져봤을 만한 호기심을 일본의 전자산업을 상징하는 도쿄 아키하바라 한복판에서 묻는다. 우리나라 ... ...
주름살은 골과
마루
의 물리적 파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물리학자가 주름살에 대한 법칙을 발견했다. 이를 통해 보톡스 시술을 하지 않고도 눈가의 주름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새로운 방법이 만들어질 수 있다.영국 케임브리지대 앙리크 세다 박사 연구팀이 인간 피부, 사과 껍질, 플라스틱 가방에 생기는 주름에 대한 이론을 세워 물리학 저널인 ‘피 ... ...
혜성 핵을 향한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자유도는 3n-m이 된다전자기파나 음파 등의 파동에 있어서 파동의
마루
에서 다음
마루
까지 혹은 파동의 골에서 다음 골까지의 거리 보다 엄밀히 말하면 주기적인 파에 있어서 위상이 2π만큼 다른 두점 사이의 거리로 정의된다파동의 특유한 현상의 하나 매질 내를 전파하는 파동이 장애물의 뒤쪽에 ... ...
문화재 아름답게 노화시키는 보존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흰개미가 출현한 것도 보일러 시설 탓이었다. 영천 은해사 영산전에서도 건물 보수시
마루
를 뜯어내고 비닐 매트를 깔아놓아 습기가 차면서 흰개미를 불러들인 꼴이 되고 말았다.흰개미들이 목재 내부를 갉아먹기 때문에 겉으로는 표시가 잘 나지 않지만 지진 등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한 순간에 ... ...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건축물’의 생김새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인체를 구성하는 ‘창문’과 ‘벽돌’ ‘
마루
’ 등은 유전자가 아닌 단백질이기 때문이다. 유전자는 세포 내에서 어떤 단백질을 만들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을 뿐 세포의 기능을 실제로 좌우하는 것은 유전자로부터 만들어지는 단백질이다.이에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