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력
지능
이성
d라이브러리
"
두뇌작용
"(으)로 총 284건 검색되었습니다.
두뇌발달 따라 교육법 달라야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뇌와 교육은 깊은 관계가 있다. 교육은학습에서 비롯되는 것이고 인체에서 이런 일을담당하는 곳은 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 교육은 뇌 발달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커진 최근조차도 어떻게 하면 많이 학습시켜 높은 점수를 받을 것인지가 효과적인 학습을 ... ...
컬럼비아호 참사와 관련된 내열타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2만개 이상의 내열타일은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는 동안 발생하는 극심한 열로부터 동체와 날개를 보호한다. 타일이 느슨해지거나 손상을 입거나 사라진다면 우주왕복선의 공기역학이 바뀌고, 열로 인해 알루미늄 기체가 뒤틀리거나 녹기 때문에 인접한 타일이 연쇄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컨트롤 ... ...
장거리 여행객 위협하는 이코노미클래스 신드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비행기로 장거리를 여행하는 승객의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이코노미클래스 신드롬이 최근 화제가 되고 있다. 현재 피해자들은 브리티시항공과 델타항공, 아메리칸 에어라인 등 30여개 항공사들을 상대로 거액의 손해배상 소송을 청구한 상황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패킷인 작은 덩 ... ...
공항 검색대 X선이 찾아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아프가니스탄에 있다가 오셨군요.”영국 런던에서 사립탐정으로 일하는 셜록 홈즈가 훗날 자신의 가장 친한 친구이자 조수가 될 존 H. 왓슨을 처음 보고 한 말이다. 그걸 어떻게 알았느냐는 왓슨의 말에 한참 지나고 나서야 자신이 추리한 내용을 설명해준다.왓슨에게 의사 같으면서도 군인 같은 ... ...
이모티콘 탄생 20주년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감정을 표현하는 기호인 이모티콘을 누가 최초로 사용했을까. IBM의 스콧 팔만은 자신이 1982년 인터넷 채팅 중에 스마일을 나타내는 :)을 처음으로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그후 12살짜리 소녀들과 회사 법률가들이 자신의 e메일에 사용했다. 이모티콘의 원조는 아직 논란중이다. 암컷의 2개 X염색체 ... ...
바이러스 복제 차단하는 새로운 에이즈 치료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7월 제14차 세계에이즈총회에서 미국 생명공학전문기업 트라이머리스와 스위스 다국적 제약회사인 호프만 라로슈가 새로운 에이즈 치료제 T-20의 임상시험결과를 발표했다. T-20은 3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인공 단백질로, 바이러스 감염 첫단계에서 바이러스와 숙주세포의 결합을 차단해 HIV의 양 ... ...
知의 놀이터, 검색엔진 구글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 ● 어린이에게 놀이와 학습의 구분은 모호하다. 온몸으로 견문을 넓히는 놀이가 어찌나 재미있는지 자신이 무언가를 배우고 있다는 사실조차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언젠가 어른이 되어 일상의 굴레와 생활의 한계를 인지해 버리기 전까지는 말이다.● ● 어린 시절 놀이에 의한 도취적 학습에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기계와 인간의 싸움으로 지구의 태양은 이미 사라졌고, 인간과의 싸움에서 승리한 기계는 자신만의 시스템 안에서 사람을 지배한다.’영화 ‘매트릭스’의 배경이다. 영화 속 얘기처럼 과연 기계들은 사람의 도움 없이 자기 스스로 시스템을 만들어 인간을 지배할 수 있을까. 또 기계는 변하는 ... ...
질문에 즉각 답해주는 인터넷 두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인간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인터넷 두뇌’가 개발됐다는 소식이 영국 BBC 방송에 지난 6월 20일 보도됐다. ‘메타팩’(Metafaq)이라 이름 붙여진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e메일 질문에 즉각적인 답장을 보내주고, 웹사이트 서핑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기존에는 사용자의 질문을 관리자가 직접 확인한 ... ...
가상현실 스튜디오에서 유럽 여행 만끽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SF 영화나 소설의 소재로 등장하는 가상현실은 많은 사람들이 경험해보고 싶어하는 첨단기술 중 하나다. 진짜보다 더 ‘진짜’같은 세계를 보여주는 기술. 가상현실은 어떤 학문이며, 기술적 구현 원리는 무엇일까.인공 두뇌를 가진 컴퓨터(AI)가 지배하는 2199년. 인간들은 태어나자마자 인공자궁 안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