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잔돌
자갈
돌
석재
스톤
돌맹이
짱돌
d라이브러리
"
돌멩이
"(으)로 총 157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만: 세계적인 주요 건강 문제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것이다 양자효과의 일예로 에너지준위를 들 수 있다 고전적으로 웅덩이 속에 있는
돌멩이
는 어떠한 에너지 준위에도 존재할 수 있다(총에너지는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합) 그러나 전자와 같은 모양의 위치에너지(워낙 작음)에 구속되어 있다면 이때 전자의 에너지는 아무 에너지준위에나 ... ...
A4용지의 변신 2가지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동시에 떨어지는 것으로 증명됐다. 달에는 공기가 없어 공기저항이 0이기 때문에 깃털과
돌멩이
가 동시에 같은 속도로 떨어진 것이다.뚝딱 실험 2 구멍 뚫린 손바닥■ 왜 그럴까?!우리의 양눈은 보는 것이 다르다. 양눈이 각각 보는 내용을 뇌에서 종합해 물체로 인식한다. 이 실험은 바로 양눈에서 ... ...
협곡 사이로 흐르는 물리학 '래프팅'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가라앉는다. 그러나 물이 있는 경우와 아무 것도 없는 경우를 비교해보면 물이 있는 경우
돌멩이
가 바닥으로 가라앉은 속도가 훨씬 느리다는 것을 알 수 있다.따라서 물에서는 중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존재한다는 말이다. 이것이 바로 중력과 반대방향으로 물체를 떠받치는 힘으로, 부력 ... ...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둥근 모양을 하는지 잘 설명할 수가 없었다. 우리에게 익숙한 충돌현상이란 던져진
돌멩이
가 모래판에 떨어질 때와 같은 경우다. 그럴 때 수직으로 떨어지지 않는 한 좀처럼 원형의 흔적이 생기지 않는다.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은 달 표면에 떨어지는 운석의 속도에서 찾을 수 있다.LA 다저스에서 ... ...
바이러스 걸러주는 필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쉽다. 고운 모래는 체의 균일한 구멍을 쉽게 빠져나가지만 입자가 큰 자갈이나 작은
돌멩이
들은 빠져나가지 못하고 체에 걸리게 된다.다행히도 우리가 호흡하는데 필요한 순수한 공기들은 대부분 산소, 질소와 같은 작은 분자로 돼있고, 먼지와 각종 세균들은 입자의 크기가 공기에 비해 상당히 ... ...
달까지 거리는 얼마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그러던 어느 날 하늘 한구석에서 갑자기 새로운 별이 나타난다. 잔잔한 호수에 던져진
돌멩이
가 파문을 일으키듯 새 별에 사람들의 관심이 모아진다. 변하지 않는 것으로 믿었던 밤하늘에서 갑작스런 별의 출현을 어떻게 기록해야 할까? 그리스의 천문학자 히파르코스(Hipparchos, B.C190?-125?)는 별의 ... ...
만약 마찰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아무리 세게 불어도 우리 몸의 속도는 그리 크지 않을 것이다. 더 빠르게 가고 싶으면
돌멩이
를 주워 반대 방향으로 던지면 될 것이다.4. 스카이다이빙? Oh no!유체 안에서 물체가 움직일 때 물체의 뒷부분에는 와류라고 부르는 불안정한 유체의 흐름이 생긴다. 이것은 일종의 저항력을 만든다. 와류 ... ...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얻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즉
돌멩이
처럼 떨어진다 해도 끝까지 따라가서 진짜
돌멩이
인지 아니면 밤나방이 속이는 것인지를 확인하는 습성이 생긴 것이다. 천적으로부터 피하기 위한 또다른 방법은 거짓으로 자신이 강한척 허세를 떠는 일이다. 동물 가운데 최고의 허세가는 오스트레일리아 사막에 ...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맺게 된다. 질소는 뿌리를 통해 얻고 탄소는 잎을 통해 들어온다. 가지 사이에 끼워놓은
돌멩이
는 나무가 성장하면서 나무의 형성층 주변을 파고 들어가 물과 양분이 흐르는 관다발을 파괴한다. 통로가 제한되면서 질소는 위로 가지 못하고 탄소는 아래로 가지 못해 나뭇가지와 잎 속에는 탄소가 ... ...
태백으로 떠나는 화석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잘 보존된 곳이다. 그만큼 당시 살았던 동물화석이 많이 발견된다. 특히 삼엽충화석은 ‘
돌멩이
반 삼엽충 반’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많이 난다.그렇다면 태백지역에는 어떻게 바다에서 살았던 삼엽충화석이 많은 것일까? 바다에서만 살다 보니 답답해서 태백산 관광이라도 나왔다가 ‘불의의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