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립
자주
자활
자유
해방
분리
이탈
d라이브러리
"
독립
"(으)로 총 1,297건 검색되었습니다.
DBTI로 내 동물 부캐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사는 가족들은 식사를 하는 등 협력 생활을 하지요. 반면 사막여우는 같은 사막에 살지만
독립
적인 성향이 커요. 야생에서의 생태를 이해해야 동물원에 사는 동물이 행복하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알 수 있어요. 동물이 본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해주는 게 행복의 첫 번째 조건이거든요. 그래서 마승애 ... ...
[신 기후체제] 당신은 늙어 죽지 못할 수도 있다...지구 온도 1.5℃를 지켜라 파리협정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배출=흡수, 탄소중립을 달성하라세계기상기구와 유엔환경계획이 공동으로 설립한
독립
기구인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2018년 10월 인천 송도에서 개최된 제48차 총회에서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를 채택했다. 이 보고서에서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수준 ... ...
당근 효과는 있어도 채찍 효과는 없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자료 분석 기법인 선형 혼합 모형 및 로지스틱 회귀 모델에 대입했다. 이 기법들은 여러
독립
된 자료들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수학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도구다.그 결과, 채찍질은 말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채찍질을 한다고 해서 기록이 더 좋아지지 않았다. 이와 ... ...
작은 ‘탈 것’을 위한 시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이겨낼 수 있는 양력도 만들어내야 하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배터리를 이용해서
독립
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의미 있는 수준의 비행시간을 유지하려면 비행체의 크기가 매우 작아지기는 어렵다”며 “동력원과 구동 기구를 얼마나 작게 만들 수 있는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박 교수는 초소형 ... ...
노벨물리학상│20년간 우주 뒤져 블랙홀을 찾아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1호
못 보지만, 블랙홀 주위 별은 본다! 안드레아 게즈 교수와 라인하르트 겐첼 소장은 각각
독립
적으로 연구팀을 이끌어 우리은하 중심의 거대질량 블랙홀을 관측했어요. ‘거대질량 블랙홀’은 태양보다 100만 배 이상 무거운 블랙홀이에요.두 과학자가 우리은하 중심을 살핀 것은 1974년 관측된 전파 ... ...
[시사과학] 호박 화석, 연구 윤리 문제에 휘말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7호
년간 정부군과 내전을 치러왔어요. 카친주에 사는 ‘카친족’은 지난 1961년부터 ‘카친
독립
군’이라는 단체를 결성해 미얀마 정부군과 싸우고 있어요. 잠깐 멈추었던 이 내전은 2011년부터 다시 시작되어 현재도 진행 중이지요. 그 와중에 많은 사람이 죽거나 다치고, 10만 명이 넘는 난민이 ... ...
[헥!헥!핵물리학자] 쪼개고 또 쪼개면 세계의 근본을 알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6호
입자들이 기본입자가 아니며 더 작은 기본입자들로 이뤄져 있다는 가설을 1964년에
독립
적으로 냈어요. 그리고는 그 기본입자에 각각 ‘쿼크’와 ‘에이스’라는 이름을 붙였지요. 이후 ‘쿼크’가 더 많이 사용돼 공식 용어가 되었답니다. 쿼크의 존재, 실험으로 증명되다쿼크는 언제 처음으로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새로운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여기에 걸맞게 국가핵융합연구소는 올해 11월 20일
독립
연구기관인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으로 승격됐다. 초대 원장을 맡게 된 유석재 원장을 인터뷰했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으로 승격했습니다. 이번 승격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미래 에너지원으로써 ... ...
[2020 노벨상] 물리학상│보이지 않는 블랙홀이 생길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떨어져 있다. 겐첼 소장이 이끄는 독일 연구팀과 게즈 교수가 이끄는 미국 연구팀은 각각
독립
적으로 우리은하 중심에 있는 별들을 추적했다. 이 별들은 매우 빠르게 운동하는데 가령, S0-2(혹은 S2)라는 이름을 가진 타원형 궤도를 도는 별은 약 16년 만에 한 바퀴 공전한다.다른 별들의 운동도 ... ...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 비법 공개 질문이 위대한 발견 낳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어떤 현상이 나타날까?’라는 질문에 ‘더이상 보이지 않게 된다’는 답을 각각
독립
적으로 얻습니다. 수학적으로 계산해보니 강력한 중력 때문에 빛조차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는 결론이었습니다. 질문② 별이 수명을 다하면 어떻게 될까?1930년대에 이르러 미국 물리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는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