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량
다수
풍부
d라이브러리
"
대량
"(으)로 총 1,604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정체불명의 남자가 놓아준 오작교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역할을 하지요. 질산암모늄은 그 자체로는 안정한 물질이라 창고에 수백~수천 t(톤)씩
대량
으로 쌓아놓고 보관해요. 폭발이 발생한 베이루트의 창고에는 질산암모늄 2750t이 별다른 안전조치 없이 6년 동안 보관돼 있었다고 해요.그런데 질산암모늄은 폭탄으로도 쓰여요. 질산암모늄은 질산칼륨과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캔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때문에 제작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어요. 그러다 1840년대 자동화 기계가 발명되며 캔을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됐어요. 캔은 튼튼하고 음식을 오래 보관할 수 있어 전쟁 중에도 많이 사용됐지요. 제2차 세계대전 때 연합군의 전투식량 중 절반 이상이 캔에 담겨 전달됐을 정도랍니다. 캔을 이용해 ... ...
[통합과학 교과서] 선녀가 원하던 선물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9호
“거울을 사 오다니! 저는 거울이 필요 없어요. 동화나라 백설공주 왕비가 말하는 거울을
대량
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면서 선물로 보내줬단 말이에요.”나무꾼은 억울한 표정으로 꿀록 탐정에게 호소했지요.“탐정님, 제가 아내 말을 귀담아듣지 않은 건 잘못했습니다. 하지만 아내가 달을 닮은 ... ...
불법조업, 해양생물과 인간을 괴롭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8호
“수백 km에 달하는 길이의 그물과 낚싯줄로 먼 바다뿐만 아니라 심해까지 어류를
대량
으로 잡을 정도로 어업 기술이 발달했다”며, “기술은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기도 하지만 자연을 훼손할 가능성도 증가시킨다”고 말했답니다. ● 올해 한국을 들썩인 불법조업 네 종류 -문제1. 멸종위기종 ... ...
[과학뉴스] 태평양 살던 플랑크톤이 북극해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7호
주로 따뜻한 태평양에서 사는 동물성 플랑크톤 ‘유칼라누스 번지(Eucalanus bungii)’를
대량
으로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발견된 개체수는 1m3당 평균 843마리로 북극해에서 발견된 양으로 역대 최대 규모였죠. 연구팀은 2014~2016년 사이 북극해를 항해하며 여름 바다 수온을 측정해온 결과를 토대로 ... ...
[통합과학 교과서] 콩나무 타고 별 보러 슝~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5호
한계가 있었지요. 활동은하핵은 우주에서 가장 밝은 천체 중 하나예요. 다양한 파장에서
대량
의 에너지를 방출하는 특별한 활동성을 보이는 은하의 중심 부분을 말하지요. 활동은하핵 중심에는 태양 질량의 수백만에서 수십억 배 질량을 가진 초대질량블랙홀이 있다고 알려졌어요. 이 블랙홀은 ... ...
[이달의 과학사] 왜 대중음악의 길이는 4분 정도일까? 레코드판 탄생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수 있었어요. 양면을 합치면 한 레코드판에 총 9분의 노래를 녹음할 수 있었죠. 그렇지만
대량
생산이 가능한 덕에 널리 보급되었죠. 그 후로도 SP의 약점을 보완한 레코드가 꾸준히 발명돼요. 그중에서 1948년 6월 21일에 ‘콜롬비아 레코즈’에서 나온 ‘LP’가 가장 성공적이었죠. 음질이 훨씬 ... ...
[긱블 X 과학동아] 올해 최고의 메이커는 누구?!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원격 설정 프로그램까지 코딩해 와이파이로 시계 조작과 색 변경이 가능합니다. 실제로
대량
생산을 해 보자는 연락이 왔을 정도로 완성도가 높았죠. 결국 이 작품이 MOY 투표에서 1등을 차지했답니다. 준형 님은 “MOY로 선정돼 놀랐다”며 “앞으로도 메이킹을 꾸준히 할 생각”이라고 소감을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환경을 훼손하고 만다. 핵융합은 제한된 장소에서 주변 환경에 최소한의 영향을 주며
대량
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다. 1g의 중수소와 삼중수소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시간당 약 10만kW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중수소 100kg과 삼중수소 150kg으로 전기를 만들면 화력발전소에서 ... ...
[2020 노벨상] 얼마나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수상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못했다. 9월 23일 2020년 피인용률 우수 연구자 24명을 발표했고, 여기에는 균일한 나노입자
대량
합성법을 개발한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가 포함돼 화제를 모았으나, 24명 모두 올해 수상자에 들지 못했다. 펜들버리 수석부석연구원은 “우리가 뽑은 후보자는 꼭 올해가 아니라도 어느 시점엔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