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답변"(으)로 총 463건 검색되었습니다.
- SNS에서 '핫'한 MBTI의 진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MMPI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인터넷에 무료로 제공되는 일부 MBTI 검사가 리커트 척도로 답변을 요구한다면 올바르지 않은 셈이다. 김 연구부장은 “약 78억 명의 인구를 93개 문항과 단 16가지 성격 지표로 정확하게 구분짓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정확한 MBTI는 검사지를 통한 문답 전문가와의 ... ...
- [에디터노트] Why Explore Space?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왜 우주 탐사에 나서는지, 왜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연구개발을 멈추면 안 되는지에 대한 답변의 정석으로 여겨진다. 그는 “달로, 또 화성으로의 탐사는 지금 해야만 하는 모험”이라며 “비록 눈에 보이는 결과물은 매우 천천히 나오겠지만, 결국에는 지금 세계가 당면한 큰 문제의 해결책을 찾는 ... ...
- [스쿨리포트 A+] 쉽고 재미있게 과학 영상 소개하기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포함된 과학적 내용을 충분히 이해해야 합니다. 이어지는 학생들의 질문에 성의있게 답변하는 모습도 중요합니다. ※편집자 주 과학동아는 과학교사 모임인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신과람)’ 소속 교사들과 함께 중·고등학교 수업에서 실제로 진행되는 대표적인 수행평가 사례를 ... ...
- [통합과학 교과서] 정전기를 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건 누군가 저를 음해하려 하는 것 같은데, 탐정님이라면 쉽게 해결해 주시겠지요?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임금 드림 편지를 다 읽을 때쯤, 꿀록의 사무실로 임금님이 뛰어 들어왔어요.“탐정님! 헉헉! 제 이메일 보셨나요? 점점 심해지고 있어요. 도대 체 범인이 누굴까요? 해결해 주실 수 있나요 ... ...
- [일본유학일기] ‘고등학교 4학년’ 거쳐야 비로소 시작되는 전공생활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모은 뒤, 그 내용과 관련된 연구를 하는 학내 교수들에게 e메일을 돌렸다. 그리고 답변을 보내준 교수님에게 연구실 방문 허가를 얻어 학교 수업이 끝나면 찾아갔다. 덕분에 전기과뿐만 아니라 건축학과, 물리공학과, 의학과 등 다양한 분야의 교수님들과 이야기할 기회가 생겼다. 그리고 이렇게 ... ...
- [사이언스 보드] “로봇은 여러분의 일자리를 뺏지 않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들을 수 있었는데요. 오 교수님이 어떤 얘기를 했는지, 그리고 멤버들의 질문에는 어떤 답변을 내놨는지 하이라이트로 다시 한번 짚어 볼까요. 하이라이트1. 구조화된 공장, 구조화되지 않은 바깥세상 지금까지 개발된 많은 수의 로봇은 제조공장이나 물류창고 등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
- [이달의 수학자] 이 시대의 진정한 폴리매스, 데이비드 멈퍼드수학동아 l2020년 06호
- “학문의 발전은 얼마나 자유롭게 학술 자료에 접근할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고 믿습니다. 따라서 저는 제 모든 연구를 대중에게 무료로 공개하겠습니다.” ... 사태 등에 대한 석학의 생각을 엿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댓글을 달거나 e메일을 보내도 충분히 답변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
- 미 NC와 NC 다이노스, 연결고리는 공룡?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생명과학과 교수에게 e메일을 보냈습니다. 다음날 슈바이처 교수의 e메일 답변이 도착했습니다. 슈바이처 교수는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에서 수행하는 공룡 연구의 대부분은 노스캐롤라이나주 이외의 지역에서 발굴된 화석을 바탕으로 한다”며 “미국에서 공룡 화석이 주로 발견되는 지역은 ... ...
- [과학동아 키즈] 네이처, 사이언스 표지도 제 손에서 탄생했어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어렵고, 구구절절 설명을 해도 정확히 이해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럴 때마다 나는 답변 대신 직접 표지 작업을 한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를 건네곤 한다.“이런 그림 만드는 사람입니다.” 국제학술지 표지 만드는 디자이너 굳이 한마디로 말하자면 내 직업은 ‘과학 분야 시각디자이너’, ... ...
- [이달의 책] 틀림의 두려움 떨쳐낸 과학적 상상력과학동아 l2020년 05호
- Serious Scientific Answers to Absurd Hypothetical Questions’으로 황당한 질문에 과학적으로 진지하게 답변해주는 형태다. 이번에 ‘더 위험한 과학책’은 이를 뒤집어 ‘How To: Absurd Scientific Advice for Common Real-World Problems’라는 제목을 달고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