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급담임
학급
d라이브러리
"
담임
"(으)로 총 14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바타 학교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오늘 전학 왔어.”또 네가 또박또박 말했어.‘알고 있어.’나는 속으로 생각했어. 어제
담임
선생님이 새로 전학생이 온다고 말씀해 주셨거든. 게다가 네가 창밖을 보고 있을 때, 보조 모니터를 이용해 네 정보를 찾아봤는걸. 난 컴퓨터 사용에 능숙한 편이라구. “만나서 반가워.”네 정보를 ... ...
에너지 독립국가 건설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주어졌다고 한다. 사실 그의 전공은 화학이었다.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싶었지만
담임
선생님의 조언으로 좀더 실용적인 학문인 화학을 택했다. 고려대에서 학사와 석사 과정을 마친 후 1969년 캐나다 온타리오대 화학과로 유학을 떠났다.바로 이곳에서 그의 운명을 결정짓는 ‘사건’이 ... ...
레고 블록같은 분자를 디자인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있는 교수님에게도 잊혀 지지 않는 선생님이 있답니다. 바로 초등학교 5학년 때의
담임
선생님입니다. 언제나 열정적이셨던 선생님은 직접 눈으로 보고, 만질 수 있는 재미있는 수업을 해 주셨어요. 한 달 동안 거미를 키우면서 관찰 일기를 쓰고, 음악 시간에는 직접 오동나무를 깎아 거문고를 만들어 ... ...
나노 세계의 마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해요. 그러나 언제나 자유로운 분위기로 수업을 이끌어 주셨던 초등학교 3학년 때
담임
선생님의 영향으로 자신감을 키울 수 있었어요. 교수님은 언제나 새로운 생각이 떠오를 때 면 궁금증이 해결될 때까지 직접 만들어 보며 고민을 했어요. 손님이 올 때마다 일일이 나가지 않아도 도르래와 줄을 ... ...
황사박사 전영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눈이 한곳에 꽂혔어요. 바로 기상학과였죠.왜 하필 기상학과였을까요?초등학교 6학년
담임
선생님의 영향인 거 같아요. 그때 선생님이 하루 한번 하늘을 좀 보고 살아라고 말씀하셨어요. 그게 나에게는 상당히 좋은 인상으로 남았던 거 같아요. 하늘 보며 사는 사람이 바로 기상학자잖아요.기상학과로 ... ...
'수학의 제후' 가우스, 19살에 수학 난제 풀어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발휘시켜주고자 했던 어머니 덕분에 가우스는 7살에 학교에 들어갈 수 있었다.그를 맡은
담임
뷔트너는 쌀쌀하고 권위만 내세우는 선생으로, 자신의 학생들에게 그들이 얼마나 무식한지를 보여주기를 즐기는 사람이었다. 가우스가 10살 때던 어느 날, 뷔트너는 학생들에게 1에서 1백까지 더하라고 ... ...
전산수학 개척자 마이크로소프트의 김정한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때도 김치는 어디에 놓고 찌개는 어디에 놔야 좋은지를 설명하셨죠.초등학교 4학년 때
담임
선생님이 장래희망을 써서 내라고 하셨는데, 그때 수학자라고 적었어요. 우리나라에 유명한 수학자가 아직 없는데 제가 그러고 싶다고 덧붙였죠. 그렇다고 계속 수학을 고집했던 건 아니에요. 대학 때는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혼자서 공부하는 습관을 기르기 시작했다.고등학교 때도 독학의 길을 걸었다. 다행히
담임
선생님이 그에게 특별한 관심을 보여 대학생용 물리학 교재를 권했는데, 혼자 읽고 소화해내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당시 상대성이론에 대한 글을 읽었는데 도무지 이해가 안돼 대학에서 물리학을 공부하기로 ... ...
소똥을 사랑한 복제동물의 아버지 황우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하겠다’고 결심했다. 그 시절 생각한 직업이 수의사나 동물농장 주인이었다.고3때
담임
선생님은 공부를 잘하던 그에게 의대를 권했다. 그러나 그는 주저없이 수의학과를 선택했다. 그때만 해도 수의학은 국내에서 황무지나 다름없었지만, 어머니와 소에 대한 사랑이 황 교수를 그리로 이끌었다 ... ...
수능 실력 진단해줄 도우미 수학 모델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알고리듬)을 통해 수험생의 현재 실력을 정확히 판단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실제
담임
선생님의 머리 속에서 일어나는 복잡하고 다양한 상황 판단을 그대로 흉내내는 것이다.수험생의 학업성취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수없이 많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시험 문제의 성격. 문제의 난이도나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