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콜드워
암투
d라이브러리
"
냉전
"(으)로 총 148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쌓고 있다. 이런 상태가 오랫동안 계속되면 나중에는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될 것이다.
냉전
이란 단어가 구시대의 유물이 되고, 세계의 흐름은 자국의 이익만을 추구하기 위해 과거의 적대국조차도 우방이 되는 현실이다. 우리도 과거에 적대국이었던 중국과 러시아 등과 국교를 맺음으로써 ... ...
1999년 인류 종말은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가능성을 가장 크게 염두에 둔 것은 많은 노스트라다무스 예언에 관한 해설서들이
냉전
이 채 끝나지 않았던 70년대에 집필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식량난이나 공해 등의 문제는 우리가 항상 당면하고 사는 것들이어서 굳이 1999년에 우리를 멸망하게 만들 정도로 문제가 되리라고는 믿어지지 ... ...
Ⅱ 제2, 제3의 지동설 준비하는 유니버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착륙시켰다. 행성 탐사를 향한 NASA의 노력은 이미 60년대부터 활발히 진행돼 왔다. 특히
냉전
시대 옛소련과의 경쟁 덕분에 마리너를 비롯한 많은 탐사선들이 금성과 화성을 향해 발사될 수 있었다. 이 결과 금성과 화성의 모습은 오늘날 과학책을 온통 도배하고 있다.목성과 토성이 처음으로 자태를 ... ...
Ⅰ 머큐리에서 국제우주정거장까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년 5월 미국의 닉슨대통령은 옛소련을 방문해 코시긴 수상을 만났다. 그 자리에서 양국은
냉전
시대의 데탕트(긴장완화)를 조성하기 위해 공동우주실험협정을 체결했는데, 이것이 아폴로-소유즈 시험계획(ASTP)이다.아폴로-소유즈 시험계획은 양국 우주선의 도킹, 인공일식에 의한 태양관측 등 33종의 ... ...
지구 위의 몰래카메라 첩보위성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표지도 없는 사막을 항행할 때 위치를 알려주는 GPS를 이용해 큰 덕을 봤다. 현재는
냉전
시대의 종식과 함께 민간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러시아에는 이와 유사한 글로나스시스템(Glonass)이 있으며, 위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미국의 위성보다 정밀도가 높다고 한다.방위기상위성프로그램(DMSP)으로 ... ...
아편과의 생물학적 전쟁 임박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양귀비를 감염시켜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우즈베키스탄의 유전학연구소는
냉전
기간 동안 옛소련이 적국의 식용 작물을 파괴하기 위한 연구에 참여해 미생물을 개발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연구비는 영국과 미국 정부가 지원하고 있고, 영국의 농업·수산·식품부 소속의 과학자들과 ... ...
과연 인류의 앞날은?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후반 낙관적 전환 모색2차대전 이후 핵전쟁이 발발할 가능성은 인류를 계속 위협해 왔다.
냉전
시대가 끝난 지금은 핵전쟁 못지 않게 원자력에너지의 오염 문제도 심각한 지경이다.석유나 석탄같은 화석연료 역시 주요 오염원이다. ‘클린 에너지’ 즉 태양열처럼 오염물이 발생하지 않는 새로운 ... ...
외계인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공산주의' 양 진영의
냉전
구도로 고착되면서, 미국 중심의 서구 대중문화에선
냉전
공식에 충실한 SF들이 주류를 이루기 시작했다. 이런 경향은 1950년대에 '공포 + SF' 형식의 혼성 장르 영화들이 크게 융성하면서 노골화된다.지금까지 걸작으로 손꼽히는 작품들 중 상당수가 이 시기에 제작됐는데, ... ...
4. 생명 현상의 통일장 이론 세포 자동자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에너지만 있다면 이러한 공장은 번식에 번식을 거듭하게 될 것"이라는 주장이 제시됐다.
냉전
시대의 우주경쟁이 시작될 무렵 '스스로 번식할 수 있는 공장'은 많은 관료와 행정가들에게 매력을 느끼게 했다. 우주개발이 더욱 치열해진 1980년대 나사, 즉 미국 항공우주국에서는 '자기 재생산계 설계팀 ... ...
최다 비행기록 세운 콜롬비아호 해부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시작된 후 7년 후에 처녀비행에 나섰다.그동안 우주왕복선이 무슨 일을 했는지는
냉전
시대가 종식되기 전에는 전혀 알 수 없었다. 1990년대 초가 돼서야 컬럼비아호를 비롯한 우주왕복선의 성과가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했다.초기 컬럼비아호는 자체에 결함이 많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는데 많은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