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각"(으)로 총 116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형의 마술과학동아 l1992년 10호
- 60°+90°, 즉 정삼각형과 정사각형의 만남) 등 4가지가 된다. 변의 수가 최대가 되려면 모든 내각은 1백50°가 돼야 하며 변의 개수는 12개가 된다. 3 ③크기가 꼭 같다는 조건은 없었다. 그러므로 네조각을 크기가 같게 자르려고 애썼다면 풀기 어려웠을지 모른다. 다시 만든 깃발은 다음과 같다. 4 ... ...
- 새로운 완전수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2년 09호
- 자연수)되어 있다. 그리고 가장 큰 내각이 가장 작은 내각의 2배이다. 이때 이 가장 작은 내각의 코사인(cos) 값은 얼마일까?① $\frac{3}{4}$ ② $\frac{7}{10}$ ③ $\frac{2}{3}$ ④ $\frac{9}{14}$(3) 한 물체가 z=$\frac{h}{2}$와 z=$\frac{h}{2}$ ...
- 노벨의 권위에 도전한다과학동아 l1991년 11호
- 주식회사의 1천만주에 달하는 주식출연으로 탄생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84년 일본 내각이 이 상의 적극 지원을 결의했고 이후 시상식이 펼쳐지는 4월의 한 주간은 아예 '일본국제상주간(Japan Prize Week)'으로 정할만큼 국민적인 지지와 관심도가 높다.1991년도에는 의료영상기술에 선구적인 업적을 남긴 ... ...
- 스웨덴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다녀와서과학동아 l1991년 09호
- 소수이거나 2의 거듭제곱이다.제32회 IMO 출제문제첫째날1. Δ ABC의 꼭지점, A, B, C에서의 내각의 이등분선이 대변과 만나는 점을 각각 A', B', C'라 하자. ΔABC의 내접원의 중심을 I라 할 때, (수식)임을 보여라.2.n>6인 자연수 n에 대해 n보다 작으면서 n과 서로소인 자연수들을 모두 모아 a₁, a₂, ……, ${a ...
- 비유클리드기하학이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1991년 08호
- 합은 두 직각 보다 작고 각 변의 길이가 커질수록 작아지며 길이가 무한대로 되면 마침내 내각의 합은 0이 되고 만다"고 했다.로바체프스키가 설정한 공리는 종래의 상식적인 기하학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이상스러운 감을 준다. 그러나 이것을 곡면상의 현상으로 생각하고 직선을 '곡면상의 직선', ... ...
- 북경 수학올림피아드 출제문제 및 풀이과학동아 l1990년 09호
- 반복해서 택할 수 밖에 없고 둘은 비긴다.(답)(a) ${n}_{0}$≦8(b) ${n}_{0}$≦5(c) ${n}_{0}$≦6,76. 내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한 외각의 크기는 α=$\frac{2π}{1990}$이다.구하는 1990각형을 ${A}_{0}$${A}_{1}$${A}_{2}$…${A}_{1989}$라 하고 벡터$\overrightar ...
- 영국 최초의 과학학위 가진 수상「대처」과학동아 l1989년 07호
- 교육·과학장관에게 있으며 다른 장관들은 소관부서와 관련된 과학정책만을 다룬다'고 내각의 과학문제에 대한 일처리 방식을 설명한바 있다.이말에서 보듯 대처수상은 대학이나 연구소에 대한 자금지원등 과학 진흥에 대해 수상으로서 별로 관심을 갖고 있지 않으며 이에따라 영국의 우수한 ... ...
- 컴퓨터가 블랙홀의 정체 밝혀과학동아 l1989년 05호
- ² (1a)가 성립하게 된다. 그러나 (b)의 경우는 구면상이므로 식 (1a)는 성립되지 않고, 세 내각의 합도 1백80˚가 아니다. 이 경우에는 대신(△r)²=(1+δx)(△x)²+(1+δy)(△y)² (1b)와 같은 식이 성립될 것이다. 여기서 δx,δy는 등식이 성립하도록 조절하는 임의의 계수들이다.(그림3)은 평평한 2차원 공간(평면 . ...
- PARTⅡ 사례로 본 4차원과학동아 l1989년 04호
- 합이 정확하게 1백80˚라면 우주공간은 유클리드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내각의 합이 1백80˚이상 된다면 플러스(+)의 곡률을 가지는 우주가 되고, 1백80˚이하면 마이너스(-) 곡률을 가지는 우주가 될 것이다. 즉 둘다 비유클리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그러나 이 가정은 이론적으로는 ... ...
- 상대성이론의 모든것과학동아 l1988년 12호
- 두 평행인 빛이 결국에는 만나게 된다. '닫힌 우주'를 나타내며 표면에 그린 3각형의 내각의 합은 1백80˚보다 크다.우주의 최후는 그 기하학적인 모양과 관련이 있다. 공간이 공모양이라면 우주는 팽창하는 일을 언젠가는 멈추고 수축하기 시작할 것이다. 평평한 공간이라면 겨우 팽창하지만 영원히 ... ...
이전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