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리없는 전쟁의 새로운 국면들... 인간vs.곤충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그렇지 못한 곤충은 죽는다. 이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살충제에 내성이 있는 곤충만 남아 저항성 곤충 집단이 형성된다”면서 “새로운 살충제를 개발하기까지 약 10년이 걸리는데, 진딧물이나 총채벌레, 응애 등 생애주기가 짧은 곤충은 2~3년 만에 살충제 저항성을 갖출 수 있다”고 했다. 적으로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진화된 로봇 군단 현실에서 얼마나 구현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밝혔습니다. 미니 치타가 영화 속 치토처럼 시속 140km로 달리기 위해서는 많은 장애물이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불과 10여 년 전만 해도 로봇이 계단을 오르는 것이 큰 기술적 난관이었던 것을 떠올려 보면 영화 속 치토가 눈앞에 등장할 날도 머지않았습니다. 차에서 발사되는 미사일? 비행기에서 ... ...
- [SF 소설] 그라비토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뭔데요?”“궁금하냐?”선재가 뜸 들이다 고개를 끄덕였다. “궁금해할 기력은 남아있구나. 다행이다.”“그래서 뭐냐니까요?”“몰라. 네가 알아봐. 내가 그걸 어떻게 알아?”선재의 표정이 일그러지는 걸 보며 제니가 크게 웃었다. 제니는 선재의 손을 잡고 손가락을 하나씩 천천히 굽혔다 ... ...
- [Reth?king] 2000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에서 새로운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이집트에서 발굴된 기원후 1세기경 파피루스에도 학생들이 을 공부한 기록이 남아있어요. 9세기에는 이슬람의 학자들에 의해서 아랍어로 번역되었다가 12세기 스페인 톨레도에서 라틴어로 번역됩니다. 1482년 최초의 인쇄본이 나온 뒤, 이 책이 급격히 퍼지기 시작하면서 16세기에는 여러 ...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점차 약해지기 시작해, 현재는 지구 800분의 1 수준의 아주 약한 세기의 자기장만 남아있다. 태양풍을 막아줄 방패를 잃은 셈이다. 대기부터 시작해서 지표면의 물까지 모두 태양풍에 휩쓸려갔다. 부동산 업자의 말을 철썩 믿고 땅을 산 다음, 집 앞 자그마한 운석 충돌구에 물을 채워 연못을 꾸민다고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AI 기자와 기사를 써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있습니다”라고 위로(?)했습니다. 그런데 AI가 대체할 수 없는 인간 기자의 고유한 역할이 남아있긴 할까요?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했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AI 기자와 함께 기사를 써봤습니다. AI 기자 vs. 인간 기자 특징이 곧 장점은 아니더라고요 Round 1. 감정 챗GPT는 인간적인 감성을 ... ...
- [과동키즈] 누구나 자신만의 북극성이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도전했던 영재학교 추억들 영재학교의 경험들 중에서도 첫 물리학 수업이 특히 기억에 남아요. 중학생 때 읽은 책 ‘번쩍번쩍 빛 실험실’의 저자 분이 눈앞에서 강의하신다는 사실이 일단 신기했어요. 그날 주제는 ‘과학이란 무엇인가’였어요. 과학은 과학적 방법으로 체계화된 지식 체계이고, ... ...
- ‘기적의 다이어트약’ 출시, 이번엔 진짜 기적 맞아?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지방을 갈색 지방으로 바꾸는 방식은 약물 투여를 중단해도 달라진 지방 세포의 조성이 남아있기 때문에 체중 감량 효과를 오래 지속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현재 연구하는 건 트립토판 수산화효소 1(Tryptophan Hydroxylase 1) 저해제”라고 소개했습니다. 이어 “원래 세로토닌을 활성화하는 약인데, ... ...
- [뉴스&인터뷰] 도전, 우주로 가는 길을 만드는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폭발한 나로호를 보며 ‘세금으로 비싼 불꽃놀이를 한다’는 댓글은 아직도 기억에 남아요.” 하지만 그로부터 10여 년이 지난 지금, 당시의 실패는 다르게 읽힌다. 조 책임연구원은 “만약 재수가 좋아서 당시 한 번에 성공했더라면 절대 배우지 못했을 경험이 있었다”고 힘주어 말한다. 2013년 1월 ... ...
- [5년 후, 과학은] 인체의 면역을 이용해 암까지 치료하는 면역관문억제제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가능성도 낮습니다. 암세포를 제거하도록 학습된 메모리 면역세포들이 수년 간 몸속에 남아 효과가 지속됩니다. 면역관문억제제로 치료받으며 발병 이후에도 5년, 10년 이상 사는 환자들이 나오는 중입니다. 물론 면역관문억제제도 어두운 면이 있습니다. 효과를 보이는 환자가 전체의 20~30%입니다.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