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론"(으)로 총 2,137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 과학] 모네의 정원에 핀 꽃은? 수련 VS 연꽃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결과 약 700년 전 고려 시대의 것으로 밝혀졌어요. 연구자들은 이 씨앗이 살아 있다는 결론을 내렸고, 늪지에 싹을 틔우는 데 성공했습니다. 피어난 분홍빛 연꽃에는 ‘아라홍련’이라는 이름이 붙었죠. ●소수성 : 물과 쉽게 결합하지 않는 성질 ... ...
- [기획] “주변 사람들 말에 신경쓰지 말고 하고 싶은게 있다면 도전하세요!”수학동아 l2022년 12호
- 가족들은 지금 있는 곳에서 목적지까지 가려면 대각선으로 가는 게 가장 짧다는 결론을 냈어요. 저는 정확하게 대각선으로 가는 길이 없어 계단식으로 지그재그로 가야 하니 이렇게 가는 것도 언제나 짧은 길은 아니라는 주장했었어요. 부모님이 그 답에 놀라셨던 기억이 나요. Q. 수학을 잘하는 ... ...
- [핫이슈] 뇌과학×작곡×수학, 뇌파로 만드는 나만의 노래!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뇌파를 사용해 각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창작할 수 있을까? 이하린 독일 막스플랑크 뇌인지연구소 연구원과 이용범 작곡가는 이 가벼운 ...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 저작자는 ‘저작물을 창작한 자’로 명시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인간의 창작물만 저작권법의 대상이 된다 ... ...
- 2022 노벨 물리학상 I 벨 부등식 위배 입증 양자역학 논쟁을 끝내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따르면 이 둘은 동시에 정확하게 결정될 수 없어, ‘실재’에 대해 불완전한 이론이라는 결론이 난다. 아인슈타인은 물리 이론으로서 양자역학의 불완전성을 증명한 듯했다. 그러나 EPR 역설의 결정적인 검증 방법(실험)은 오랫동안 존재하지 않았다. EPR 역설이 맞을까 양자역학이 맞을까1964년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 10장. 무한한 사전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성립한다면 선택 공리를 인정하지 말아야 하는 게 아닐까요? 어떤 가정에서 도출해 낸 결론이 말도 안 된다면, 우리는 그 가정을 포기해야 합니다. 구가 두 개로 늘어나는 현상은 분명 이상하니까요. 바나흐-타르스키 정리는 선택 공리를 포기해야 할 충분한 근거처럼 보입니다. ◆ 유용한 선택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 9 장. 역설의 꼬리표 달린 정리수학동아 l2022년 10호
- 탈을 쓴 늑대입니다. 선택 공리를 받아들이는 순간, 바나흐-타르스키 정리와 같이 기괴한 결론이 수없이 많이 도출되기 때문입니다. 선택 공리가 이토록 위험한 이유는 서랍이 무한히 많은 서랍장, 즉 ‘무한집합’에도 선택 공리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선택 공리를 무한집합에 적용한다는 ... ...
- [특집] 닷컴버블의 악몽, 지금 인기도 거품?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개발자 수요도 줄어들 것이라는 예측이다. 개발자 몸값이 폭락할 가능성은 없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그렇지 않을 것 같다. 과도기적 인터넷 기술에 너무 많은 것을 융합했던 닷컴버블 시절과 지금은 분명 다르다. 당시 버블의 대표 사례로 꼽혔던 ‘부닷컴’ 의 경우, 너무 공격적으로 빠르게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8장. 절대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수학동아 l2022년 09호
- 합니다. 이것도 모순이에요. 두 가지 가능성 모두 모순된 결과를 내놓는다면 가능한 결론은 하나뿐입니다. 맨 처음 가정, 즉 정지 문제가 가능하다는 가정이 틀렸던 것입니다! 튜링은 튜링 기계를 이용해 논문 ‘계산 가능한 수와 결정문제의 응용에 관하여’에서 이 내용을 증명했어요. 튜링 ... ...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② 우린 이걸 ‘기후위기’라 부르기로 했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기후모델의 해상도가 높아지면 분명 폭우와 기후변화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을 거란 결론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으로 폭우 더 많아진다문제는 앞으로다. 지금처럼 온실가스를 배출했을 때 폭우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올해 6월 기상청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 ...
- [과학뉴스] 티라노사우루스는 3종이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단일종이 아니라는 증거가 발굴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빈약한 데이터로 나온 결론이 새로운 근거를 통해 다시 재정립되는 과정이 바로 고생물학입니다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