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강의"(으)로 총 1,284건 검색되었습니다.
- ICM 주요상 수상자의 서재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교수를 이 책을 통해 알게 됐다고 합니다. 학창 시절 재미있게 읽은 책의 저자의 강의를 들은 것이 인연이 돼 수학자 허준이 교수가 탄생했으니, 허 교수를 알려면 일단 이 책부터 봐야겠네요! 허 교수는 최근 데이비드 화이트가 쓴 라는 책을 감명 깊게 읽었다고 합니다. 는 눈에 ... ...
- [에디터 노트] 독자들과 코인을 캐는 상상과학동아 l2022년 07호
- 강의를 듣고 미션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자신이 좋은 시간에 들어와서 강의를 들으면 됩니다.여기에 현장 견학도 추가하려고 합니다. 연세대 컴퓨터과학과 이병주 교수 연구실, 게임데이터 분석기업 OP.GG 등 데이터 분석자들을 직접 만날 기회를 드리려고 합니다. 취미코딩은 게임뿐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빙~빙~ 돌아가는 ‘뫼비우스의 띠’처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가르칠 때였는데, 학생들이 제 수업에 관심이 많지 않더군요. 그래서 무료로 강의를 열어 학생들을 모았어요. 수학과 교수직에 지원했지만 떨어지기도 했지요. 하지만 내 사전에 포기는 없었죠! 계속 수학을 연구해 선과 면 등 도형을 연구하는 분야인 ‘기하학’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답니다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7장. 컴퓨터의 탄생수학동아 l2022년 07호
-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충격적인 발표에 자극을 받은 영국 수학자 막스 뉴먼은 자신의 강의에 불완전성 정리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는데요. 이 수업의 수강생 중에는 앨런 튜링이라는 천재 학생이 있었습니다. 튜링은 영국 수학자로, 훗날 컴퓨터 공학 및 정보공학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 ...
- [출동! 어과동 기자단] 화학 실험실에 로봇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로봇과 결합하면? 서강대로 출동! 서정우화학이 로봇과 어떻게 함께할까 궁금했는데, 강의와 실험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했어요. 크로마토그래피 실험은 종이에서 분자가 분리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코로나19 진단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돼 신기했어요. 사람의 움직임을 ... ...
- [2022 필즈상 예측 ] 버리우 페테르 교수, 아이반 코윈 교수, 제이곱 치머만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버리우 교수는 2010년 필즈상 수상자인 엘론 린덴스트라우스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교수의 강의를 보고 크게 감명을 받은 뒤, 동역학계를 연구하기로 결심했어요. 버리우 교수는 “동역학계에서는 수학의 여러 분야를 결합해 문제를 해결하는 점이 인상 깊었다”라며 당시를 회상했어요. ▲ 2016년 ... ...
- [시사과학] 항생제 중독에 빠진 강 제 2의 팬데믹 일으킬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중윗값보다 무려 47배나 높았죠.우리나라의 한강 또한 안심할 수 없었습니다. 한강의 약물 오염 농도는 중윗값보다 3배 이상 높았어요. 순위를 매긴 137개 지역 중 43위로 약물 오염 농도가 상위권에 속했지요. 약물이 검출되지 않은 지역은 아이슬란드와 현대 의약품이 사용되지 않는 베네수엘라의 ... ...
- [인터뷰] 이산수학 난제 해결한 수학 교사 출신 수학자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보통 수학자는 한 문제를 풀 때 몇 년에 걸쳐 생각하고, 셀 수 없이 많은 논문을 보고, 강의도 들어요. 동료들과 토론해서 한 아이디어를 시도하고, 안 되면 다른 아이디어를 계속 시도하죠.” 앞으로의 목표를 묻자 박 교수님은 수학 공부를 계속하는 것이라고 간단히 답했어요. “저는 거창한 ... ...
- [특집] 수학자 러셀 수학을 논리 위에 세우다수학동아 l2022년 05호
- 수학과를 3년 만에 최우등 졸업생으로 졸업하고, 1895년 모교의 선임 연구원이 돼 연구와 강의를 하며 수학자의 삶을 삽니다. 현대 수학의 기초를 다지다! 러셀은 1900년부터 수리논리학에 몰두합니다.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세계수학자대회에서 이탈리아의 기호논리학자 주세페 페아노를 ... ...
- [2022 필즈상 예측] 필즈상 수상으로 2인자에서 1인자 될까? 기호 7번. 바르가브 바트수학동아 l2022년 05호
- 바트 교수가 기여한 부분이 재조명되고 있어요. ▲2015년 프랑스 고등연구소에서 강의를 하고 있는 바트 교수예요. 2016년 바트 교수는 숄체 교수가 2011년 도입한 기하학 모형인 ‘퍼펙토이드 공간’을 추상 대수학의 한 분야인 ‘가환 대수학’ 문제를 명확히 해결하는 데 이용해 학계를 깜짝 놀라게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