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삭감
d라이브러리
"
감축
"(으)로 총 16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온실가스
감축
과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세계 공동사업인 청정개발체제(CDM)가 점차 확장되고 있다. 각 나라는 자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대기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다른 곳에 저장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북반구의 열대 대양상에서 북동 무역풍의 영향을 ... ...
이제 시간이 없다, 행동하라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그린 독재 정부가 등장할 수도 있다는 암울한 예측까지 내놓는다.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에 반대하는 선진국 기업들에 대해서도 신랄하게 비판한다. ‘기후 변화가 그리 급한 문제는 아니다’는 주장은 인류의 미래를 담보로 한 무책임한 억측이라는 것이다.또 태양열 온수기를 설치하거나 연료 ... ...
한국 숲은 이산화탄소 청소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유럽 수출을 자제해 달라는 공문을 받았다. 자동차협회는 1999년 EU와 CO₂
감축
협정을 맺었다. 이 협정에 따라 유럽 수출용 자동차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04년까지 170g/km, 2009년까지 140g/km로 줄여야 한다. 그러나 기아차의 CO₂ 배출량은 175g/km, 쌍용차는 243.5g/km로 모두 목표치를 넘었다. 수출에 .. ...
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배출하지도 않는다.경유 대신 바이오디젤 1L를 사용할 때마다 이산화탄소 2.2t이
감축
된다고 한다. 바이오디젤은 식물에서 기름도 얻고, 환경도 보호하는 일석이조의 ‘남는 장사’인 셈.하지만 바이오디젤에도 약점은 있다. 국내 바이오디젤의 95%를 생산하는 신한에너지의 채영선 연구원은 “가장 ... ...
풍력, 제2의 벤처 바람 몰고 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벗어나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 영덕풍력단지가 가동될 경우 연간 9만3600t의 이산화탄소가
감축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런 추세라면 국내에서도 더 이상 IT 벤처 갑부들이 아니라 풍력발전 벤처 기업들이 1000억대 갑부 반열에 오르는 일이 요원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풍력으로 ‘신바람’ 전기를 만들 ... ...
효소 이용해 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것이다.“먼 미래의 일이 아닙니다. 이미 선진국은 연구가 활발합니다. 온실가스
감축
협약 등 지구적인 환경규제가 강화될게 뻔하므로 우리도 준비해야 합니다.”한편 김 교수팀은 개별 단백질뿐만 아니라 단백질의 상호작용이나 세포내에 존재하는 전체 단백질, 즉 단백체(proteome)에 대한 연구도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현재의 30% 이하로 떨어뜨린다는 계획이다. 결과적으로 화학농약과 비료 사용량의 급격한
감축
에 따른 농산물 생산량 감소와 농민 소득저하를 막을 유일한 수단은 생물농약이 될 것이다.생물농약은 본래 자연상태에 있는 토착화된 미생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다. 또 ... ...
CO₂
감축
약속 교토의정서 사장될 위기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새로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들리고 있다. 그동안 미국과 러시아는 개발도상국들도
감축
해야 한다고 불만을 제기했기 때문에 불똥이 우리나라에 튈 가능성도 있다 ... ...
2 미생물을 이용해 생산하는 21세기 청정연료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수소로 변환하는 기술로, 청정에너지 생산과 아울러 폐기물 처리 및 이산화탄소량
감축
가능한 환경기술이다. 특히 이 과정에 고부가가치 의약품과 식품원료가 부산물로 생기기 때문에 매우 큰 경제성을 갖는다. 더욱이 우리나라와 같이 자원이 빈약한 국가에서 효율적인 생물학적 수소생산기술을 ... ...
3 레이저빔 발사해 안개를 거둔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활용하면 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회항 또는 감속에 따른 연료와 시간
감축
으로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다. 미래에 보다 큰 전력을 얻을 수 있는 에너지원이 개발돼 좀더 싼값에 공급될 수 있다면 지속적인 안개소산이 가능할 것이다. 새로운 에너지원 개발이 근 미래에 이뤄질 것으로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