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늘
침
잔뼈
강모
침상 결정
구더기
구데기
d라이브러리
"
가시
"(으)로 총 1,073건 검색되었습니다.
[헥!헥!핵물리학자] 쪼개고 또 쪼개면 세계의 근본을 알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6호
핵물리학자는 핵과 같은 미시세계를 탐구하며 물질의 근본을 찾아왔어요. 가속기와 검출기로 물질을 쪼개 더이상 나뉘지 않는 기본입자가 무엇일지 알아 ... 기본입자를 발견하며 표준모형의 마지막 퍼즐이 맞춰졌답니다. 용어정리*
가시
광선 : 전자기파(빛) 중 눈에 보이는 영역 ... ...
[한 장의 과학] 우리가 엑스선을 볼 수 있다면 우주의 모습은 어땠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4호
에너지가 높아요. 뜨거운 천체일수록 엑스선을 많이 내뿜어 이로시타는 지금껏
가시
광선 우주망원경이 보여주던 것과 달리 뜨거운 천체들이 더 밝게 빛나는 풍경을 보여주지요.이로시타는 독일 막스 플랑크 외계물리학 연구소에서 개발돼 지난해 7월 러시아 연방우주공사의 스펙트럼-뢴트겐-감마 ... ...
[질문하면 답해 ZOOM] 껌 씹을 때 찬물을 마시면 왜 딱딱해지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이런 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키면 빛이 파장별로 나뉘어지며(분산) 무지개처럼 보여요.
가시
광선에서 파장이 긴 것은 빨간색이고, 짧은 것은 파란색이죠. 빛의 흡수와 산란은 빛의 파장에 따라 달라져요. 빛은 파장이 짧을수록 많이 산란을 일으켜, 파란 빛은 붉은 빛보다 많이 산란돼요. 햇빛이 ... ...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18.62km에 달한다. ITER 넘어 더 큰 목표를 향해그동안 어려움을 겪던 ITER의 건설이 점점
가시
권에 들어오면서 회원국들은 ITER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간 핵융합실증로(DEMO·데모) 건설을 위한 기술개발 로드맵을 세우고 있다. DEMO는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실제 전기 생산까지 실증 가능한 시설이다 ... ...
꼭꼭 숨은 카메라, 과학이 검거한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우리 눈으로 보는 것과 동일한 이미지를 얻기 위해 적외선 영역의 파장은 반사시키고,
가시
광선 영역의 빛만 들어오도록 설계돼 있습니다. 송 교수는 “붉은 셀로판지를 통과한 적외선은 숨겨진 카메라 렌즈의 적외선 반사 필터에 반사된다”며 “반사광을 감지하면 숨겨진 카메라를 찾을 수 ... ...
세계 최강 울트라블랙 생명체는?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Idiacanthus antrostomus)의 빛 반사율은 약 0.1%로 그 뒤를 이었다. 데이비스 연구원은 “
가시
광선 영역의 모든 파장대로 확대 분석하면 오네이로데스의 평균 빛 반사율은 0.051%”라며 “지상의 극락조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울트라블랙을 띠는 심해어들의 피부 시료를 가져와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수 있게 됐다. 물론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한계도 있다. 아리랑 2호, 3호, 3A호처럼
가시
광선과 근적외선을 이용해 북극을 촬영하는 광학 원격탐사의 경우 태양의 고도나 구름의 양에 따라 광량이 달라진다. 그 결과 똑같은 지표를 촬영하더라도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현장 조사는 인공위성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당시 위성에는 광학 카메라만 탑재돼 있어
가시
광선만 감지했기 때문이다. 오늘날에는
가시
광선 이외의 파장을 활용해 구름이 잔뜩 낀 날이나 캄캄한 밤에도 극지를 관측할 수 있다. 우리나라 위성 중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운용하는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5호가 마이크로파를 지상에 쏴 ... ...
대식세포...바이러스 전쟁의 지휘관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시칠리아 북동부로 피신한 일리야 메치니코프는 1882년 배아 상태의 불가사리 유충에
가시
를 찔러넣고 그 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실험을 하고 있었다.이때 한 무더기의 세포가 찔린 부위로 이동해 손상된 조직을 먹어 치우는 것과 같은 장면이 목격됐다.초기 칩입자에 대한 방어작용을 담당하는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가시
주위에 몰려든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했다. 유충의 면역세포가 외부 침입자인
가시
를 공격하는 과정이었다. 메치니코프는 이 현상을 관찰하고 일기에 ‘나는 갑자기 병리학자가 됐다’고 적었다. 그는 물벼룩과 토끼, 개구리에서도 같은 현상을 확인했다.메치니코프는 외부 침입자를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