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층"(으)로 총 1,59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파랑을 만드는 마법사들수학동아 l201608
- 바꿀 수 있다. 카멜레온은 피부를 느슨하게 이완시키거나 팽팽하게 당기는 방법으로 위층에 있는 나노 크리스털의 구조를 바꾼다. 그래서 반사하는 빛의 색깔이 달라진다. 사람이 만든 파랑파랑은 지금도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색깔 중 하나이며, 자연에 흔하지 않다는 점에서 연구대상이다. ... ...
- [과학뉴스] 심근세포로 움직이는 가오리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608
- 구조를 본뜬 수많은 소프트로봇을 만들어 실험했다. 최종적으로 두 개의 평평한 실리콘 층 사이에 금으로 만든 골격을 넣은 샌드위치 형태의 로봇을 선택했다. 이렇게 만든 로봇은 길이가 16mm, 몸길이 21mm, 무게는 10mg으로 100원짜리 동전보다 작았다.파커 교수는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도 딸에게서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07
- 충전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깨닫고 내려놓았다. 충전, 사람의 충전. 로봇은 교양관 2층에 있는 자판기를 작동시켜 오렌지주스를 가지고 왔다. 윤정은 오렌지주스를 한 번에 통째로 다 마셔버렸다.다행히 로봇에게 가장 쾌적한 환경은 윤정에게도 가장 쾌적한 환경이어서, 윤정의 울음이 조금씩 ... ...
- [수학동아클리닉] 공간 감각을 키우는 쌓기나무수학동아 l201607
- 때 위에서 본 모양으로 1층의 모양을 알 수 있고, 앞이나 옆에서 본 모양은 가장 높은 층이 보인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다음 예시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쌓기나무 대신 연결 큐브를 쓰면 모양이 더 복잡하고 다양한 입체도형을 만들 수 있습니다 ... ...
- [과학뉴스] 뜨는 소재 흑린, 그래핀도 뛰어 넘을까과학동아 l201607
- 흑린에 산화실리콘 기판을 접촉시켜 흑린 내부의 전자들을 기판에 가까운 몇 개 원자 층에 가뒀다. 그 결과 기판 표면의 불순물들이 전기장을 만들어내 흑린의 전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이 관찰됐다.연구팀은 온도를 바꿔가며 흑린의 열전현상을 추가로 관찰하는 과정에서 흑린의 전하가 불순물의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07
- 모두 보여 줬어요. 프로그램은 뽀로로에 나오는 단어들과 캐릭터, 장면, 배경 등을 각 층별로 따로 학습한 뒤 서로 관련 있는 것끼리 묶어가며 정보를 계속 얻어갔지요. 예를 들어 ‘뽀로로’란 단어와 ‘안경 쓴 펭귄’ 캐릭터가 서로 같이 나오는 확률이 매우 높을 경우, ‘안경 쓴 펭귄’이 ... ...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과학동아 l201607
- 급격히 증가하면서 하수도관 곳곳에 가라앉아있던 퇴적물을 휘젓고, 이것이 슬라임 층과 만나 악취가 배가된다. 장마철을 앞두고 매년 지방자치단체가 준설차를 동원해 하수도관을 정비한다는 기사가 나오는데, 관 곳곳에 쌓인 퇴적물을 미리 꺼내 악취를 줄여보려는 시도다.-장마철 하수도 악취는 ... ...
- [가상인터뷰] 단단한 소라 껍데기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06
- 사실을 알아냈어요. 연구팀이 이 결정에 충격을 주자, 충격으로 인해 발생한 균열이 각 층의 경계면에서 뚝 끊겨 버렸어요. 균열이 끊긴 소라 껍데기는 더 이상 파괴되지 않고 처음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었지요.이런 구조 덕분에 소라 껍데기는 같은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광물인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06
- 잠시 주고 받았고 같이 아파트 안으로 들어갔다. 은성은 3층에서 내렸고 윤정은 6층으로 올라갔다. 쌍둥이들은 아직도 게임 중계를 보느라 정신이 없었다.안방에서 태블릿으로 유도라 웰티 전집의 마지막 권을 읽던 윤정은 9시 정각을 치자 욕실로 들어갔다.물에 젖은 흐릿한 욕실 거울을 바라보며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수학동아 l201606
- 구를 촘촘하게 배열한 다음 그 위로구와 구 사이의 움푹 들어간 곳에 구를 쌓아 올려층을 만드는 겁니다. 이렇게 해야 3차원에서 공을 가장 많이 쌓을 수 있지요.378년 난제, 컴퓨터로 증명케플러의 추측이 옳다고 증명하는 일은 결코 만만치가 않았습니다. 무려 378년이나 미해결 난제로 남아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