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충동
충격
원동력
동기
정력
추력
d라이브러리
"
추진력
"(으)로 총 326건 검색되었습니다.
자동차 타고 떠나는 물리 여행
과학동아
l
200901
마찰이 아니라 기체를 분사하면서 얻는 작용-반작용 힘이기 때문에 마찰에 의한
추진력
보다 훨씬 더 큰 힘을 낼 수 있다.마찰_스파이더맨 발바닥의 비밀영화 얘기가 나온 김에 한편 더 살펴보자. ‘스파이더맨’ 3편에서 스파이더맨이 브레이크가 고장 난 전동차를 세우는 장면은 매우 인상적이다. ... ...
파닥파닥~, 물고기가 하늘을 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
가슴지느러미를 활짝 펴서 하늘을 난다. 나는 동안 꼬리지느러미로 수면을 때리며
추진력
을 다시 얻거나, 나는 방향을 바꾼다.➍ 다시 바다 속으로 들어갈 때는 가슴지느머리를 몸에 바짝 붙인다. 공기의 저항을 작게 해 물 속으로 빠르고 안전하게 들어가기 위해서다.사건 해결 - 날치가 나는 ... ...
표면장력이 지배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811
공급되지 않으면 자동차는 멈춘다. 잘 정비된 자동차의 경우 엔진으로부터 바퀴축까지
추진력
을 전달하는 내부 동력전달장치의 마찰은 매우 작으며,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는 타이어와 외부 도로면 사이의 마찰은 굴림 운동으로 이어질 뿐 자동차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결국 평지를 달리는 ... ...
유인 우주탐사의 산실, 존슨우주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11
화이트 샌즈 로켓 실험장, 뉴멕시코존슨우주센터 산하의 로켓 실험장.우주왕복선 로켓의
추진력
이나 연료의 독성을 연구한다.차세대 로켓 아레스도 이곳에서 시험하고 있다.[11] 존슨우주센터, 텍사스NASA의 유인우주탐사 프로젝트가 이뤄지는 곳.우주환경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뿐만 ... ...
아름다운 올림픽 챔피언 몸매
과학동아
l
200810
비결이다. 전문가들은 여자 장대높이뛰기의 한계는 5m 10cm 정도로 보고 있다. 더 강한
추진력
을 낼 수 있는 남자는 6m 30cm 가량이 마의 벽으로 평가된다.높이뛰기에는 무게중심이 높은 장신선수가 유리하다. 예를 들어 남자 높이뛰기 선수들의 평균 키는 193cm에 이른다. 하지만 스웨덴의 스테판 홀름은 ... ...
[물리]유체의 운동 원리
과학동아
l
200810
사용한다. 워터제트 추진기관은 배 밑에서 빨아올린 물을 뒤쪽으로 분출해 반작용으로
추진력
을 얻는 장치다. 워터제트를 사용하면 고속에서도 안정적인 항행이 가능하다. 문제 3 파이프에서 피스톤을 빼낸 뒤 물을 채우고 그림과 같이 수직으로 세웠다. 그러자 두 파이프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높이 ... ...
[생물]곰팡이도 물총 쏴서 포자 퍼뜨린다
과학동아
l
200810
마치 끝에 마개가 달린 물총을 꼭 쥐고 있다 놓으면 마개가 벗겨지며 분출하는 물의
추진력
으로 날아가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머니 교수는 “18만g라는 가속도는 자연계에서 관찰된 것 가운데 가장 큰 값”이라며 “이들 곰팡이는 숙주인 초식동물로 옮겨가기 위해 주변의 풀로 이동하려고 이런 ... ...
스크린 속에 살아난 세종시대 로켓 신기전
과학동아
l
200809
폭발기능까지 갖추고 있었다. 약통에서 연소되던 불꽃이 발화통(탄두)으로 옮겨 붙어,
추진력
이 사라질 무렵 자동으로 폭발하도록 제조됐다. 현대의 지연신관 개념까지 도입된 첨단무기였던 셈이다. 발화통 내부에 철가루가 포함돼 있어 제한적이지만 적군에 부상을 입히는 효과도 있었다 ... ...
1. 두께 1m 얼음 깨며 나가는 북극 첨병
과학동아
l
200808
약 30년 늦게 첫 쇄빙선 ‘파일럿’을 만든 러시아는 1959년 세계 최초로 원자력을
추진력
으로 사용하는 쇄빙선 ‘레닌’을 만들었다. 그리고 지난 2007년 핵추진 쇄빙선 ‘승전 50주년 기념호’를 출항했다. 이 쇄빙선은 2만 5000t 급 규모에 선체 길이가 159m, 선폭이 30m로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크다 ... ...
PART2 과학으로 무장한 태극전사
과학동아
l
200808
장거리 경기에서는 풀동작이 중요하다. 팔을 앞으로 뻗었다가 뒤로 물을 걷어낼 때 몸이
추진력
을 얻기 때문이다. 팔 모양은 일(1)자에 가까울수록 좋다. 팔이 굽었을 때(S자)보다 물을 더 빠르고 깊게 걷어낼 수 있다. 송 박사는 “박태환의 풀동작은 세계적인 수준”이라고 밝혔다.돌핀킥(양발을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