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집필"(으)로 총 1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조셉 니덤 중국의 과학과 문명과학동아 l200111
- 흔히 중국의 문명을 특징짓는 키워드로 ‘자존심’을 든다. 수천년 동안 동부 아시아를 실질적으로 지배했고 스스로 세계의 중심이라고 믿어왔던 까닭일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자 ... 천문학 기구에 관한 책인‘서운관의 천문기구와 시계’(The Hall of Heavenly Records, 1986) 등을 집필했다 ... ...
- 슈뢰딩거의 생명이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200105
- 1955년까지 종사했다. 더블린에서 지냈던 이 무렵 그는 ‘생명이란 무엇인가’를 집필하였다. 오랜 망명 생활을 끝내고 1956년 자신의 모교 빈대학으로 돌아왔지만, 곧 병을 얻고 1961년 세상을 떠났다. 그는 이 책 이외에도, ‘자연과 그리스인’(Nature and the Greeks, 1954)과 ‘나의 세계관’(Mein Weltansich ...
- 스티븐 호킹의 우주과학동아 l200103
- 필킨에게 제작자로서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줬다.이런 성공에 힘입어 이 책을 집필하게 된 필킨은 초고를 호킹에게 꼼꼼히 감수받아 1997년 ‘스티븐 호킹의 우주’라는 제목으로 출간했다. 책이 나오자 청소년과 성인 독자를 불문하고 “독자들을 무시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들 정도로 ... ...
- 중학교 과학교과서 컬러시대 열렸다과학동아 l200103
- 세계무대에서 활동한 유명한 한국인으로서 말이다.왜 과학자는 안된다는 것일까. 교과서 집필의 지침은 교과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현존인물이 등장하는 것을 꺼린다. 현존인물의 남은 생애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는 이유 때문이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꼭 써야한다면, 그리고 그 이유가 ... ...
- 문단의 귀재 이윤기과학동아 l200101
- 그는 분명 독보적인 ‘신화 전문가’로 통한다. 현재 그가 필생의 업으로 삼고 집필을 시작하는 분야가 바로 신화다. 그는 50권 분량의 ‘세계신화전집’, 그리고 세계신화와 한국문화의 관계를 풀어내는 저술작업을 준비하고 있다.여기까지가 세인에게 흔히 알려진 이윤기의 정체다. 하지만 ... ...
-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과학동아 l200012
- 년 양자역학(이 책에서는 원자물리학으로 지칭한다)의 발전과정에 대해 자전적 스타일로 집필한 책이다. 원제는 ‘Der Teil und das Ganze, Gespr che in Umkreis der Atomphysik’이며, 1982년 김용준 교수(현 고려대 명예교수)가 우리말로 번역했다. 번역·출판된지 벌써 20년 가까이 됐지만, 지금까지도 꾸 ...
- 곧프레이 하디의 어느 수학자의 변명(A Mathematician's Apology)과학동아 l200011
- ‘과학적 인본주의’라는 자신의 삶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대중계몽을 위한 수학책을 집필했고, 이는 수학의 사회적 유용성을 강조한 것이었다. 순수 수학이 삶의 모든 것이었던 하디에게 호그벤은 분명 수학의 이단자로 비춰졌을 것이다. 하지만 호그벤에 대한 그의 비판은 수학, 특히 ... ...
- 향기속에 살다간 후각의 천재들과학동아 l200010
- 그의 자전적 이야기를 담고 있는 20세기 최고의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집필로 이어졌다.우리의 다양한 감각(오감)은 서로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서로를 방해하기도 한다. 특히 시각의 위력은 대단해서 우리는 맛이나 향을 음미할 때 무의식적으로 눈을 감아 시각 정보를 차단한다. 많은 ... ...
-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Silent Spring)과학동아 l200007
- 카슨 여사는 1958년부터 1962년까지 대부분의 시간을 '침묵의 봄'을 위한 자료조사와 집필활동으로 보냈다. 이 책은 평화롭고 아름다운 한 시골 마을이 어느 날부터 갑자기 원인 모를 질병과 죽음으로 고통받게 된다는 암시적 우화로 시작한다.이 마을은 어떤 나쁜 마술적 주문에 걸린 것 같았다. ... ...
- 스노우의 두 문화과학동아 l200006
- 1940년부터 30년 동안에는 11권에 달하는 대하소설 ‘이방인과 동포(Strangers and Brothers)’를 집필했다.‘두 문화’는 1959년 어느 봄날 캠브리지 대학교에서 열렸던 유명한 연례 강연인 리드(Rede) 강연의 내용을 책으로 엮은 것이며, 당시 강연의 제목은 ‘두 문화와 과학혁명’이었다. 1993년 새로 출판된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