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취
부식
감화
소량 가미
옮겨 붓기
주사
포화
d라이브러리
"
주입
"(으)로 총 78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
과학동아
l
201309
또 치료할 수 있다.현재 기술로는 살아있는 사람의 뇌에 단백질이 부착된 바이러스를
주입
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단백질이 발현된 줄기세포를 뇌의 특정 부위에 이식한 다음 원하는 신경세포로 분화시키는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이 기술이 성공한다면 머릿속에 거미줄처럼 설치된 미세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
과학동아
l
201309
이용해 시냅스를 추적하는 기술에는 그밖에도 신경세포에 다양한 형광색소를
주입
한 뒤 무작위로 붙여 개별 신경세포를 확인하는 ‘브레인보우’ 기술(결과 영상을 보면 세포 하나하나가 각각 빛나 알록달록한 무지개 빛으로 보이기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과 최근 네이처에 실린 정광훈 미국 MIT ... ...
20시간 만에 완성하는 극지 얼음
과학동아
l
201309
얼릴 때 수조 바닥에 설치된 ‘마이크로 버블 시스템’으로 40분~1시간 정도 공기방울을
주입
해 밀도를 낮춘다. 시간이 길수록 얼음의 밀도가 낮아진다.마찰력은 쇄빙선과 얼음의 표면 성질에 따라 결정된다. 얼음이 완성되면 모형선 표면에 얼음 조각을 올려놓고 사방으로 움직여 마찰력을 ... ...
“인간 유전자는 특허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307
만든 인공 박테리아는 특허로 인정받았다. 차크라바티 교수는 특정 DNA를 박테리아에
주입
해 여러 원유 성분을 분해할 수 있는 세균(박테리아)을 만들었다. 대법원은 차크라바티 교수가 만든 박테리아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만큼 박테리아를 만드는 방법뿐만 아니라 박테리아 자체도 특허를 ... ...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
과학동아
l
201307
남기고, 불투명한 지방만 빼내는 원리다.먼저 저온(4℃)에서 투명한 하이드로겔을 뇌에
주입
해 단백질과 결합시킨다. 3일 후 체온(37℃) 정도로 온도를 올리면 하이드로겔이 굳어서 단단해진다. 며칠 더 지난 후 전류를 흘려 지방질을 녹여 낸다. 남아있는 하이드로겔이 단백질, 즉 신경섬유의 모양을 ... ...
왜 황우석은 실패하고 미탈리포프는 성공했을까
과학동아
l
201306
겪을 수 있다.게다가 인간 복제에 대한 우려도 상당하다. 이론상으로는 체세포를
주입
해 만든 복제 배아를 대리모의 자궁에 착상시키면 복제 동물을 만들수 있다. 최초의 복제 포유류인 ‘돌리’가 그렇게 태어났으며, 뒤이어 쥐, 소, 돼지, 개 등에서 체세포를 이용한 동물 복제가 성공했다.그러나 ... ...
박테리아도 커피 애호가!
과학동아
l
201305
이 효소와 관련된 네 가지 유전자를 떼어낸 뒤 다루기 쉽고 번식력이 강한 대장균에
주입
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대장균도 카페인을 분해하는 능력을 갖게 됐다.연구팀은 이 대장균을 이용한 카페인 제거 실험과 음료 속 카페인 함량 측정 실험에도 성공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친환경적으로 카페인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
과학동아
l
201304
연소 도중 통제가 가능하지만 연료가 부식성이라 발사가 미뤄지면 연료를 다시 빼내고
주입
해야 한다. 관측 장비는 보통 로켓 꼭대기에 실리며, 페어링으로 덮어 보호한다. 경우에 따라서 분리되기도 하고 그대로 함께 땅에 떨어지기도 한다.사운딩 로켓은 대기권이나 전리권 관측에 특히 유리하다. ... ...
한국형 발사체와 은하 3호는 이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201303
이동해 가스를 발생시킨다. 이 가스로 터보펌프가 100% 회전을 하며 추진제를 연소실로
주입
한다. 한국형 발사체에 사용할 액체엔진과 너무나 닮아 있다.각 단의 엔진 구성도 닮았다. 은하3호 엔진은 러시아의 이사예프(Isayev) 설계국에서 제작한 13t 추력의 소형 엔진을 2배로 발전시킨 27t 추력의 ... ...
빛을 쬐면 뇌세포 자극하는 삽입물
과학동아
l
201302
폭이 0.1mm에 지나지 않는다. (빛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유전자 조작을 위한 물질을
주입
할 수 있고 뇌 안에서 빛을 발산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전기자극 효과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