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력자
보조자
통역
어학 선생
비서
서기
친구
d라이브러리
"
조수
"(으)로 총 250건 검색되었습니다.
7.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는?
과학동아
l
200501
바로 상대성이라 카이.” “그라문, 갸는 그걸로 밥 벌어 묵고 사나?”아인슈타인의 연구
조수
중에는 1948~ 1949년에 일했던 헝가리 출신 존 케메니가 있었다. 아인슈타인은 자기가 즐기는 유머를 되풀이해 얘기했기 때문에 케메니는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를 들을 수 있었다고 한다. 그건 ... ...
9. 진동하는 끈이 만물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200501
책을 펴냈다. 힘과 물질을 통합하는 ‘통일장 이론’에 대한 책이었다. 당시 연구
조수
였던 존 케메니(훗날 미국 다트머스대 총장이 됨)는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모든 정열을 다 바쳐서 우주의 법칙을 찾으려 했다”고 회고했다.아인슈타인에게는 상대성이론의 큰 성공만이 아니라 실패도 있었다. ... ...
“자연을 알면 더 사랑하게 돼요!” 최재천 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0
곤충을 연구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미국의 하루살이 권위자 조지 에드먼즈 박사의
조수
노릇을 하게 된 것이었죠. 하지만 에드먼즈 박사와 일주일 동안 전국의 개울을 돌아다니던 학생 최재천은 에드먼즈 박사의 모습을 도대체 이해할 수가 없었습니다. 정말 하찮아 보이는 하루살이를 몇 ... ...
새만금 갯벌에 기댄 어민들의 삶
과학동아
l
200411
주로 연근해 어장에서 이뤄지던 시절, 어찌 보면 원시적이랄 수 있는 이 어살이야말로
조수
간만을 따라 회유해 들어오는 고기떼를 한번에 다량 포획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였다. 그러기에 “좋은 목에 있는 어살은 못자리하고도 안 바꾼다”는 옛말도 생긴 것이리라.변산반도 앞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08
대학에서 수학한 후 1829년 런던으로 나와 선반의 발명자 H 모즐리의 공장에 들어가
조수
가 되었다 이 공식을 적용하면 구면삼각법의 탄젠트(正接) 정리가 증명된다 네이피어의 방정식 또는 네이피어의 정리라고도 한다 이 중 두 식은 J 네이피어가 발견했고, 다른 두 식은 H 브리그스가 발견했으나, 그 ... ...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최재천
과학동아
l
200408
대학 4학년이던 그에게 1976년 한국을 찾은 하루살이 권위자 조지 에드먼즈 박사의
조수
역할이 우연히 맡겨진 것. 한달 가까이 산천을 헤매며 하루살이 채집을 도우면서 최 교수는 좀 엉뚱한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산천을 마음껏 돌아다니면서 연구를 하는 모습이 참 행복해 보였어요. 나도 그렇게 ... ...
만약 불 뿜어내는 개가 있다면?
과학동아
l
200407
분양하기 시작했다고 가정해보자.입에서 불을 뿜는 우리집 강아지는 나만의 훌륭한
조수
가 된다. 가스레인지가 없어도 개가 뿜은 불에 프라이팬을 데울 수도 있으니 말이다. 그렇게 달궈진 프라이팬에서 계란후라이를 해먹는다면, 여태껏 맛보지 못한 ‘재밌는 맛’ 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
사무엘 모스, 유선 통신 시대를 열다
과학동아
l
200405
관한 지식을 모스에게 알려줘 모스가 자신의 구상을 개선할 수 있게 도와줬다. 게일과
조수
알프레드 베일의 도움을 받아가며 밤낮으로 매달린 덕분에 모스는 4년 후인 1836년 전자석을 이용한 전신기를 만들었다. 이듬해 9월에 뉴욕대에서 5백m 길이의 전선줄을 설치해 이 전신기로 문자를 전송하는 ... ...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05
갖추어 20년 이후에는 전자기의 실험연구에 몰두했다 1850~1918 독일의 세균학자 R 코흐의
조수
이자 그의 후계자로서 코흐를 따라 콜레라 연구위원회의 일원으로 이집트 · 동인도에 갔고(1883), 후에 인도의 페스트 연구위원회 회장이 되었다(97)1778~1850 프랑스의 화학자 · 물리학자 23세 때 기체의 온도에 ... ...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혜의 갯벌
과학동아
l
200404
크다. 이와 함께 서해안이 경사가 완만하다는 것도 넓은 갯벌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됐다.
조수
간만의 차가 같더라도 해안가의 지형이 완만하면 바닷물이 잠겼다 빠지는 폭이 넓기 때문이다.이처럼 서해의 독특한 지형 덕분에 한반도에 넓은 갯벌이 형성됐다면 같은 서해바다를 사이에 둔 중국의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