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동"(으)로 총 1,9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왜 내게 이런 일이!- 스마트폰 잔혹사-수학동아 l201601
- 정확하게 완성시켜주지 않아도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쓰는 사람들도 있지만, 자동 수정 기능 같은 경우는 대부분 쓰지 않는다.그건 한국어에 맞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국어는 띄어쓰기를 불규칙하게 해도 잘 소통이 되는 편이다. 예를 들어 ‘물 좀 갖다주세요’를 ... ...
- 리만가설수학동아 l201601
- 소수 추측을 증명하기 위해 이 논문을 썼다. 실제로 리만 가설이 참이라면 소수 추측은 자동으로 증명된다. 리만 가설이 소수 추측보다 더 강력하기 때문이다. 소수 추측으로 예측하는 소수 개수의 근삿값은 오차가 크지만, 리만 가설이 제시한 공식은 매우 정확하다.그렇다면 이렇게 중요한 리만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로봇이 알아서 척척! 사물 인터넷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01
- 장치를 만들 수 있어요. 빛 센서를 이용해 방에 들어오는 햇빛이 너무 강하면 커튼을 자동으로 치게 만들 수 있고, 소리 센서를 이용해 박수로 조명을 켜고 끌 수도 있지요. 물론 이 장치들은 사물 인터넷을 이용해 스마트폰으로도 움직일 수 있답니다. 이경미과장님은 이런 장치들을 원하는 대로 ... ...
- 부르르르~, 자석으로 켜는 진동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01
- 되고, 스위치가 꺼지게 된답니다.리드스위치는 문이 열리고 닫히는 것을 감지하거나 자동판매기에 물건의 남은 양을 감지하는 등 다양한 센서에 사용되고 있어요. 자석을 가까이 해서 리드스위치가 켜지면 진동 모터가 부르르르~ 진동을 만들어 내요. 사진 속 진동 모터의 끝부분을 자세히 보세요. ... ...
- 영화를 더욱 생생하게! 비주얼 미디어랩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23
- 이용하면 마커의 움직임과 위치 정보가 컴퓨터 그래픽 캐릭터에 적용돼 애니메이션을 자동으로 만들 수 있어요. 하지만 모션 캡쳐 데이터가 있다고 무조건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는 건 아니에요. 여기에 수학의 확률이 중요하게 사용돼요. 확률이란 하나의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말해요 ... ...
- 변신 로봇이 뚝딱! 종이접기 과학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19
- 컴퓨터에 자동차 이미지를 넣으면 자동으로 종이접기 도면이 디자인 되고, 실제로 그 자동차와 똑같이 접혀서 만들어지는 거예요. 이 기술이 발전하면 스스로 접혀서 자유자재로 변신하는 로봇도 만들 수 있답니다. 친구들도 저처럼 재미있고 신나는 일을 계속 찾아서 해 보세요. ... ...
- 순간포착 세렝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519
- 카메라 앞에 서서 살짝 움직이면 이 센서가 열과 움직임 변화를 감지해서 사진이 자동으로 찍혀요.이렇게 찍힌 사진은 카메라의 메모리카드에 저장돼요. 그래서 순간포착 세렝게티 연구원들은 6~8주에 한 번씩 카메라를 찾아 메모리카드와 배터리를 갈아 준답니다. 그리곤 메모리카드 속 세렝게티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 (科學)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15
- 과거에는 사람이 직접 눈으로 보고 측정했다면, 요즘에는 무게와 부피를 이용해 자동으로 강수량이 측정된답니다.颱風 태풍 (태풍 태, 바람 풍)태풍은 태풍이라는 뜻의 한자 ‘颱(태)’와, 바람 ‘風(풍)’자로 이루어졌어요.태풍의 영 어 이 름 역시‘Typhoon(타이푼)’으로, 한자와 발음이 비슷하지요 ... ...
- 나는 드론 위에 막는 안티드론 기술과학동아 l201512
- 영월(덕포리)과 전남 고흥(고소리) 등 4곳. 앞으로 이곳에서는 드론으로 야간 비행과 무인 자동 비행을 시험할 수 있다. 또 충돌 시 받는 충격도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다.“드론이 사람의 눈에 안 보이는 곳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야간에도 안전하게 비행하려면 미리 연습하고 시험해볼 수 있는 곳이 ... ...
-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과학동아 l201512
- “자동기록기의 자료를 이용해 두 종을 비교연구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➊ 자동기록기를 부착한 젠투펭귄. 털에 붙인 것이라 몸에 아무런 상처를 남기지 않는다. 젠투펭귄이 물속에서 다른 펭귄(➋,➌)과 먹이인 크릴(➍)을 촬영한 모습(➋~➍번은 2008년 일본 국립 극지연구소 아키노리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