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까닭
사유
근거
동기
원인
사연
연고
d라이브러리
"
이유
"(으)로 총 8,351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
과학동아
l
201708
때 웃거나 울지 못하게 감정을 억제하면 영화에 대한 기억력이 떨어졌죠. 감정이 중요한
이유
는 감정중추가 기억중추인 해마와 붙어있기 때문입니다(92쪽 아래 그림). 감정을 부자연스럽게 억제하면 소수의 신경세포만이 기억 과정에 참여하기 때문에 기억력이 떨어집니다. 해마는 전두엽에 있는 ... ...
[Origin] ‘지질조사 어벤져스’의 한라산 비밀의 숲 탐험기
과학동아
l
201708
울릴 뿐 사방이 고요했다.조사팀이 오염되지 않은 퇴적층을 찾아 비밀의 숲에 들어간
이유
는 제주도와 한라산의 과거를 밝히기 위해서다. 퇴적층이 옛 기후(고기후)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 세계유산본부 한라산 연구부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조사팀은 작년부터 2년째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708
산재해 있음에도 계속해서 DNA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
는 DNA 정보를 활용할 경우 범인을 검거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2013년 제주지역에서 10대 미성년자 성폭행범을 검거하기 위해 DNA를 대량 검색했습니다. 사건 현장 주변에 사는 ... ...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708
이를 이용해 조직을 식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조직을 식별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
는 현장에서 발견된 조직이 뇌나 심장처럼 생명에 큰 지장을 주는 기관의 것인 경우, 시체가 없더라도 피해자의 사망을 증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체가 없는 사건의 경우 살인을 증명하기가 매우 어렵다. ... ...
Part 5. [거대로봇]은 어디에 쓰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7
거대로봇을 만들어 발표할 거라고 말했지요. 이렇게 거대로봇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이유
는 우리 생활에 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에요.거대로봇의 큰 장점은 인간이 낼 수 없는 어마어마한 힘을 쓸 수 있다는 거예요. 미래에 인간이 우주나 깊은 바다 속, 지하에 도시를 건설하는 시대가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
수학동아
l
201707
바꿔도 잘 넘어지지 않는다. 또 우리나라가 쇼트트랙 대회에서 매번 좋은 성적을 얻는
이유
도 서양 선수보다 무게중심이 낮아 방향전환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골치 아픈 장애물, 공기 이겨내기우리에게 공기는 숨을 쉴 수 있게 해주는 고마운 존재지만, 슈퍼카에게는 앞을 가로막는 장애물이다.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
수학동아
l
201707
수는 없습니다. 저는 많은 세계 해석 대신 우리에게 더 익숙한 ‘한 세계 해석’으로 그
이유
를 설명하고 싶습니다. ‘코펜하겐 해석’은 가장 유명한 한 세계 해석입니다. 1920년대에 양자역학의 기틀이 완성될 무렵 코펜하겐에서 활동한 닐스 보어,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같은 물리학자가 활발하게 ... ...
[에디터 노트] 백신 불신이라는 미신
과학동아
l
201707
하지요. 우리가 지금처럼 거대한 도시에 모여 서로 살 부딪히며 살아도 멀쩡한
이유
에는 백신의 지분도 꽤 클 겁니다. 이번 특집은 그 내용을 조목조목 담았습니다. 백신 불신이라는 미신을 비판적으로 보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 ...
[과학뉴스] 미어캣의 사향 냄새는 박테리아 작품
과학동아
l
201707
미국 듀크대 진화인류학과 크리스틴 드레아 교수팀은 미어캣이 독특한 냄새를 풍기는
이유
가 유전적인 요인이 아닌, 박테리아 때문이라는 사실을 ‘사이언티픽 리포트’ 6월 1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남아프리카 칼리하리 사막 쿠루만 강보호구역에 서식하는 야생 미어캣 36마리의 향낭 분비물을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
과학동아
l
201707
밀리지 않는다는 증거다.후각신경구의 크기가 서로 다른 데도 신경세포의 수가 같은
이유
는 무엇일까. 맥건 교수는 “그저 (후각신경구를 이루는)근섬유 개수가 많기 때문”이라면서 “기관의 크기와 감각을 느끼는 능력은 아무 상관이 없다”고 설명했다. 사람과 동물마다 잘 맡는 냄새가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