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혹
의문
불안
반신반의
염려
반신 반의
회의
d라이브러리
"
의심
"(으)로 총 963건 검색되었습니다.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
과학동아
l
201510
종이 먼저 아시아에 퍼진 뒤 거기에서 아시아의 호모 에렉투스가 진화한 것은 아닌가
의심
하기도 한다.2003년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에서 발견된 작은 인류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역시 이 가설과 잘 맞는다. 플로레시엔시스는 두뇌가 작고 신체도 작은 인류다. 뼈 화석 역시 현대인보다는 ... ...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과학동아
l
201509
(뒷걸음질 치며) 아아! 잠깐만요. 아쉽게도 이 물질은 혈액에서 발견된 건 아니에요.그: (
의심
의 눈초리로) 그럼 어디서 발견된 건데요?기: 근육줄기세포에서 발견된 miRNA예요. 연구팀은 노화된 쥐의 근육줄기세포에 이 miRNA의 양이 현저히 적다는 걸 발견했어요. 그래서 늙은 쥐에게 인위적으로 해당 ... ...
PART1. 공포의 대상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508
. 여자들이 부당하게 차별 받는 일이 부지기수였죠. 저처럼 부정하게 아이를 가졌다는
의심
만으로도 죽임을 당하던 시대였으니까요. 그래서 다 여자들밖에 없어요. 그것도 어린 여자. 그래서 여전히 귀신하면 까맣고 긴 머리에 흰 소복을 입은 처녀귀신을 떠올리는 것 같아요. 1960~1970년대한국의 ...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
수학동아
l
201508
유전자를 찾아내는 방법으로 이뤄진다. 우선 열이 나거나 호흡기 이상과 같은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서 가래를 얻는다. 여기에 메르스 바이러스의 유전물질(RNA)을 탐지하는 시약을 넣고 RNA를 복제, 증폭한다. 환자의 가래에 메르스 바이러스 조각이 있다면 메르스 바이러스에 감염됐다고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08
생각했다.하지만 도그마라는 표현은 오해를 불러 일으키기도 했다. 어떤 이들은 이것을
의심
할 수 없는 진리라고 받아들였다.”_프랜시스 크릭의 자서전 ‘열광의 탐구’ 중DNA 이중나선 구조를 처음 발견한 프랜시스 크릭은 1956년 ‘센트럴 도그마’, 즉 중심 이론을 처음으로 제안했다. 센트럴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
과학동아
l
201507
시스템이 체계적으로 갖춰져 있지 않다. 현재 우리나라는 자가 격리 대상자가 감염이
의심
될 만한 증상이 보이면 바로 진단에 들어간다. 하지만 사우디아라비아는 메르스 진단을 할 수 있는 의료기관이 우리나라만큼 많지 않다. 임현술 동국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의료여건이 좋지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07
시끌시끌했다. 정부가 세월호 사고 진상규명을 가로막으려 인양을 미적거린다는
의심
을 품고 있던 사람이 던진 질문이었다. 하지만 세월호 TF가 인양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리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 이유는 따로 있었다. 세월호가 처한 조건에서 인양을 한 사례가 세계적으로 한 건도 없었기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
과학동아
l
201507
무용지물이란 얘기다. 튜링기계로 인간을 빼 닮은 지능을 구현할 수 있을 거라고 추호도
의심
치 않았던 학자들에게는 청천벽력이었다. 연구비는 끊겼고 우수한 인력들은 떠났다. 마지막 열정의 불씨가 찬물을 맞고 완전히 꺼졌다. 인공지능 연구는 첫 번째 암흑기를 맞았다.제2의 암흑기…지식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
과학동아
l
201507
낙타가 수모를 당하고 있다. 메르스(MERS, 증동호흡기증후군)를 퍼트린 범인으로
의심
받기 때문이다. 과연 메르스 집단 발병을 낙타의 탓으로 돌려도 되는 걸까. 가축과 인간의 병원균 평형이론 메르스 바이러스(MERS-CoV)는 코로나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의 일종이다. 표면의 돌기가 마치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
수학동아
l
201507
그로스만의 도움으로 새로운 기하학을 만나게 됐어요. 아무도 딱딱한 뉴턴의 공간을
의심
하지 않던 시절이었어요. 아인슈타인은 여기서 벗어나 중력에 의해 휘어진 시공간을 생각해냈죠. 아인슈타인이 자유로운 평면의 모습을 몰랐다면, 여러분도 인터스텔라를 만나지 못했을 거에요.평면 세상을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