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engineer
앤지니어
기관수
기관사
d라이브러리
"
엔지니어
"(으)로 총 439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 그리드와 함께 멋진 인생
과학동아
l
201109
연구원 생활을 거친 후 지금은 경영전략실에서 근무하고 있다. 오랫동안 익숙했던 ‘
엔지니어
’라는 옷을 벗고 신사업 발굴, 인큐베이팅, 전사 기술전략 수립, 미래 성장 엔진 발굴이라는 다소 생소한 업무를 재미있게 하고 있는 이유 역시 전력시스템 연구실에서 배운 유연한 사고 덕분이다. 우리 ... ...
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1107
토네이도를 만들어 에너지를 생산하려는 과학자도 있다. 석유화학회사 엑손에서
엔지니어
로 일하던 캐나다인 루이스 미처드는 인공토네이도로 발전기를 돌릴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기 위해 하던 일을 관뒀다. 그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케리 엠마뉴엘 박사와 함께 뜨거운 공기가 차가운 ... ...
눈으로 배우는 화학!
과학동아
l
201107
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지만 직업은 공학용 소프트웨어를 만든 회사의 창업자 겸
엔지니어
다. 그는 쉬는 시간을 이용해 ‘취미로’ 화학을 하는 괴짜로, 사재를 털어 원소를 구하고 사진을 찍어 그만의 주기율표를 완성했다.그레이 박사는 그 주기율표를 정리해 책을 냈다. 수집 과정에 얽힌 ... ...
하이브리드 주행 전력 개발기
과학동아
l
201106
환경에서 잊지 못할 추억을 쌓고 왔다. 재생에너지 변환 연구를 비롯해 어느 분야나
엔지니어
는 혼자의 힘으로만 해결할 수 있는 일이 없다. 반드시 협업과 토론이 필요하다. 공학의 길을 가고자 한다면 다른 사람의 생각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줄 알고 협동적인 관계를 즐길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 ...
에너지 변환 공학
과학동아
l
201106
전 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큰 관심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사회적 관심 ... 같은 정부 연구기관에서 연구하기도 한다. 앞으로는 신재생 에너지 산업이 더 각광받고
엔지니어
들의 진출도 더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 ...
ERP/SCM공학
과학동아
l
201105
배려하고 이해하는 따뜻한 마음도 반드시 갖춰야 한다.6 졸업 후 대학원에 가고 싶은데요?
엔지니어
출신의 CEO를 배출하는 것이 산업공학과의 궁극적 목표이다. 이를 위해 최소한 석사과정까지는 밟을 것을 권장한다. 대학원에서는 ‘ERP, 공급망의 기술적 논제’와 같은 과목을 통해 ERP/SCM공학을 더 ... ...
100m를 단번에 오르는 에스컬레이터
수학동아
l
201102
이스라엘의 산업디자이너 미셸 데이비드는 지난해 12월 23일 영국의 공학잡지 ‘더
엔지니어
’에 꽈배기처럼 나선 모양으로 이동하는 에스컬레이터 모형을 공개했다. 이 모형은 비스듬히 움직이는 기존 에스컬레이터보다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더 많은 사람을 이동시킬 수 있다.비스듬히 ... ...
성적이 계속 떨어져서 고민이라면?
과학동아
l
201101
PD가 될 수도 있고, 영화학과를 나와서 무대감독이 될 수도 있지. 공대를 나와서 기술
엔지니어
가 되는 길도 있고. 이 일 역시 지금부터 미리 노력해야 하기는 마찬가지야.” PD가 되기 위해서는 올림피아드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그 일에 맞는 또다른 준비와 노력은 필요하다. 예를 들어 ... ...
먹이사슬 받치는 '천연 소시지'
과학동아
l
201101
먹잇감으로 그들의 생사를 결정짓는 애벌레들이야말로 생태계 수레바퀴를 돌리는
엔지니어
라 할 수 있다. 약육강식의 정글 같은 생태계에서 많은 천적들에 둘러싸여 기적적으로 살아가고 있는 애벌레가 어느 날 갑자기 모두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까. 애벌레의 성충이 줄어들 미래도 문제지만, 당장 ... ...
Best Scientific Inventions in 2010
과학동아
l
201101
충전기서울에서는 곧 버스들이 매우 새로운 방식으로 전기를 사용할 것이다. KAIST의
엔지니어
들은 전기충전장치를 도로변에 심어놓는 방안을 연구 중이다. 이 창치는 자동차 배터리에 에너지를 전달한다. 서울 과천에 위치한 놀이시설에서 시범적으로 운용되는 초기 모델은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