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르포
실화
실록물
다큐멘터리
d라이브러리
"
실록
"(으)로 총 106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르메니아의 대참사를 계기로 다시 알아본다 지진은 왜, 어떻게 발생하나
과학동아
l
198901
지진계가 설치되었으며 그 이전에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들은 삼국사기 고려사 이조
실록
등의 사료(史料)에 기록되어 있다.서기 1세기부터 1982년까지 한반도와 그 주변에는 대략 2천3백80여회의 지진발생기록이 있다. 여기서 가장 주목할만한 현상은 15~18세기의 매우 높은 지진활동이다. 이 기간중에 ... ...
"설계도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로킷"
과학동아
l
198804
세종 때부터 더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와 개발에 힘입어, 세종 29년(1447)의 세종
실록
(世宗實錄)의 기록에는 소 중 대주화의 세가지 종류로 나뉘어 제작되었음을 밝히고 있다.세종 때에는 한글과 측우기 등의 발명과 물시계 등의 제작에서 말해주듯이 과학 국방 사회 예술의 여러분야에서 그 전례를 ... ...
PART3 초신성 폭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8707
일이다. 한편 이 초신성은 케플러에 앞서 한국인이 발견했다는 견해도 있다. '조선왕조
실록
' 및 '천문전고'(天文典故)에는 '모양은 태백성과 같고 빛은 누르고 붉은' 새로운 별이 나타났다가 점차 작아졌다는 기록이 있다는 것이다. 초신성의 발견 연도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을지 모른다. 왜냐하면 ... ...
PART ① 수중보 설치와 물고기의 환경변화
과학동아
l
198610
잡았었다. 이런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서울시민 중에 적지 않다. 또 같은 세종
실록
에는 경기도 광주(廣卅)에서 은어가 나온다는 사실도 지적하고 있다. 이것은 어린 은어가 바다에서 올라와 서울을 통과했었음을 뜻하는 것이다. 이행(李荇)등 30여명이 1530년에 편찬했다는 '신증동국여지승람' ... ...
지진·화산폭발 왜 일어나나?
과학동아
l
198601
제주도에 검은 연기가 치솟아 항해를 못했다는 기록이 '동국여지승람'에 나온다. 또 '이조
실록
'에도 1597년 1668년 1702년 1724년에 백두산 일대의 지역이 화산재에 뒤덮여 햇빛조차 볼 수 없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보통 지난1백만년간 화산활동이 있었으면 휴화산으로 보고있음을 감안하면 우리나라도 ... ...
습속으로 본 한국인
과학동아
l
198601
이르면 많은 족보가 발간되었고 족보가 없는 성씨도 많이 늘어나게 되었다. '세종
실록
지리지'에 2백65성이었던 것이 조선후기에 이르면 이의현(李宜顯)의 '도곡총설'(陶谷叢說)에 2백98성, 이덕무(李德懋)의 '앙엽기'(盎葉記)에 4백86성, 호적에 보이는 성이 4백55성으로 늘어났고 일제시대 성씨조사에 ... ...
이전
7
8
9
10
11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