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유주
소유인
주인
임자
점유자
보유자
마스터
d라이브러리
"
소유자
"(으)로 총 15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 지문과 주름,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09
백70억분의 1이다. 세계 총인구를 53억으로 추정했을 때 실질적으로 지구상에 같은 지문의
소유자
는 없는 셈이다.손금에서 말하는 생명선은 표피만의 주름이므로 얼마든지 변한다. 그러나 지문은 그 아래 피하층에서부터 형성된다. 3개월된 태아일 때 이미 만들어져 일생 변하지 않는다. 손끝을 ... ...
문화 전승 발전 두뇌는 '좌뇌형'
과학동아
l
199406
구성된 사회를이상적인 안정된 사회란 소수의 우뇌형 지도층(창의적 종합적인 사고의
소유자
)에 다수의 좌뇌형 대중(고지식하고 근실하고 합리적이며 사려깊은)으로 구성된 피라미드 모양일 것이다. 그러나 우뇌형 지도층이 많고 좌뇌형 중산층이 적으며 우뇌형 무식대중이 많은 장구형이 되면 ... ...
미남·미녀기준 서구형으로 대변신
과학동아
l
199405
될 수 있는 것이리라.큰 눈을 순진하다거나 맹하다고 보는 것은 순전히 편견일 뿐 큰 눈
소유자
의 인격과 거의 무관하다. 아인슈타인은 한국인보다 눈이 크지만 '맹하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눈썹이 진하면 성격이 강한 것으로 여기는 것도 같은 종류의 선입견에 의한 판단인 것 같다. 우리가 보통 ... ...
(1) 컴퓨터로 인간 5감(五感)입력 가상공간을 현실로 느낀다
과학동아
l
199402
비린내를 맡고, 집안에 앉아서 화성으로 여행을 떠나며 선천적 저능아를 놀라운 지능의
소유자
로 뒤바꿈시키는 기술인가. 붐을 이루고 있는 가상현실의 실제를 살펴보도록 하자.3차원으로 표시되는 대상물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이란 말이 일반인들에게 거부감 없이 들리기 시작한 것은 그리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01
원예 고공점프에 능숙하다. 전에는 해병대원, 베테랑 우주인으로도 활약한 이색 경력의
소유자
이다. 이외에 4명의 우주인들이 첨단장비로 가득찬 우주왕복선 엔데버(Endeavour)호의 승무원들이다.무스그레이브의 임무는 현재 해상도가 무척 떨어졌을 뿐 아니라 앞으로 치명적인 고장의 가능성을 지닌 ... ...
3. 혈액형따라 성격·질병 다른가
과학동아
l
199307
B형 및 AB형 : 키난(Kinane) 등의 연구에 따르면 여성 B형과 AB형중 비분비성인 ABH혈액형의
소유자
에게 비뇨기감염이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비뇨기감염을 잘 유발하는 세균이 혈액형의 B항원과 유사한 물질을 세균의 항원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O형이나 A형은 정상적으로 항B항체를 ... ...
천문관측
과학동아
l
199304
주는 평온함, 별빛이 주는 느낌이 한없이 맑고 신비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강한 성격의
소유자
라도 어둠과 별빛이 내뿜는 신비 앞에 고개 숙이게 된다"고 말한다.아마추어지만 프로아마추어 천문가들은 별에 대한 낭만과 감동에만 젖는 것이 아니라 이론적으로도 우주를 이해하려 노력하고 있다. ... ...
특허받은 동물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304
산업화가 가속화될 것이며 엄청난 수요의 세계시장은 자연히 이들 특허권이나 판매권
소유자
들에 의해서 지배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에서도 현재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장기적인 대처방안을 마련하여 생명공학 연구를 활성화하려는 노력을 강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특허동물의 배경약 ... ...
황천과 지상을 잇는 죽음의 강
과학동아
l
199212
별빛이 주는 느낌이 한없이 맑고 신비하기 때문이리라. 밤이 되면 아무리 강한 성격의
소유자
라도 잠시나마 긴장을 풀고 낭만적인 감상을 느끼게 되며 어둠과 별빛이 내뿜는 신비한 힘 앞에 고개 숙이게 된다.우리가 보는 세상의 반은 땅이요, 나머지 반은 하늘이다. 또한 우리가 보내는 시간의 반은 ... ...
칼 J 신더만 「과학자의 기쁨과 영광」
과학동아
l
199209
기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과학자들 중에서 개인적으로는 세계적 수준에 있는 능력의
소유자
가 꽤 많다. 그러나 아직까지 한국내에서 이루어진 과학분야 연구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경우는 매우 적은 편이다. 이는 한마디로 짧은 과학전통에 기인된 구조적인 비효율성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현재 모든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