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리지날
원시
최초
고유
자체
정통
원조
d라이브러리
"
본래
"(으)로 총 646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을 키우면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307
있어 키우는 재미를 더한다. 호랑나비는 아름다운 날개로 인기가 많다. 개미귀신은
본래
명주잠자리의 유충인데, 함정을 만들어 개미를 잡아먹는 독특한 사냥 방법을 갖고 있다. 동양달팽이는 우리나라 고유종 중 가장 큰 달팽이고, 도둑게는 나무에 오르는 유일한 게로 등딱지에 웃는 표정이 있어 ... ...
세계 최고 재난구조로봇 뽑는다
과학동아
l
201307
로보티즈에 맡기고 있다. 현재 경협에 나갈 로봇 토르도 거의 완성단계다.토르는
본래
미국 해군 연구과제로 개발하던 ‘사파이어(SAFFiR)’라는 인간형 로봇을 DRC용으로 재차 개발하고 있다. 전기모터로 움직이는 휴보와 달리 주사기처럼 피스톤이 앞뒤로 움직이는 전동식 인공근육(리니어 ... ...
무인항공기 만드는 땅 위의 파일럿 항공로봇비행단
과학동아
l
201307
등 각종 비행기를 척척 날린다. 취재를 간 날도 조 군의 주도로 비행 시범을 보였다.
본래
파일럿을 꿈꿨던 조 군이지만 이제는 땅 위의 파일럿으로서 무인 항공기를 만들겠다는 꿈을 가졌다.항공 촬영으로 벤처 창업 꿈꾸다모형항공기를 날린다는 목표로 모인 이들이지만 이들의 꿈은 자신의 ... ...
두 얼굴의 글자를 해독하라!
수학동아
l
201307
8+8+8+8+8)=(8+8+8+8+8)-19❷ 98×99-(609+6969+111) =(111+6969+609)-66×86❶, ❷는 각각 모두 180도 회전해도
본래
의 식과 같은 앰비그램 수식이다.종류도 모양도 가지각색 앰비그램! 용의자 중 범인을 찾아라!랭던을 죽인 범인은 분명 두 얼굴의 글자인 앰비그램과 어떤 관련이 있을 거야. 그런데 그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
과학동아
l
201306
무려 에 달했다. 마그마가 빠져나간 빈자리는 무너져 내려 지름 5km의 칼데라가 형성됐다.
본래
백두산 화산의 해발고도는 3500m로, 화산체 모양도 꼭대기가 살아있는 원추형이었지만, 상부가 무너지면서 높이 2750m의 칼데라 화산체인 현재의 모습으로 바뀌었다. 백두산은 이후에도 26번 이상 분화했다. ... ...
[수학뉴스] 선생님을 위한 똑똑한 수학 교구 선택법
수학동아
l
201306
활동보다는 교구 자체에 관심을 더 많이 갖는 모습을 보였다. 수학 활동 대신 교구의
본래
용도에 따라 블록 쌓기나 장난감 놀이 등을 하기 시작하는 것이었다. 특히 이미 교구의 원래 용도에 대해 알고 있는 경우 더 빨리 관심이 옮겨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구의 원래 용도를 파악하기 ... ...
PART 1. 촬영 현장의 두뇌 싸움
과학동아
l
201305
연구하며 프랑스 과학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형인 오귀스트의 행보는 특별했다.
본래
생화학과 의학에 관심이 있었던 오귀스트는 암 연구로 일생을 보내며, 이에 대한 공로로 프랑스 최고 훈장인 레종도뇌르 훈장을 받았다.뤼미에르 형제에서 시작된 이 싸움의 첫 번째 관전 포인트는 ...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
과학동아
l
201305
뼈의 강도는 수술 전과 같으며 축구나 격투기 등 모든 운동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본래
이 수술은 성장판을 다치거나 소아마비로 사지의 길이가 달라진 경우, O형 다리 등을 교정하기 위한 수술이었다. 그런데 큰 키를 선호하게 되면서 오늘날엔 성형 용도로도 쓰이게 됐다. 김경섭 선정형외과 ... ...
Interview 서거석 대교협 신임 회장
과학동아
l
201305
활성화 등 공교육 활성화 측면에서 나름대로 뿌리를 내려가고 있는 중이라고 봅니다.
본래
취지를 살리는 방향으로 제도를 보완하고 개선한다면 좋은 입시제도로 정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대입전형 계획을 임의로 변경해 시행할 경우, ‘대학입학전형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제재하는 ... ...
산불이 할퀴어도 씨앗은 남는다
과학동아
l
201304
불의 피해를 입지 않은 뿌리 부분의 양분흡수력이 크기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결국에는
본래
소나무가 우세했다고 하더라도 교란과 천이를 거쳐 소나무숲과 참나무숲이 모자이크처럼 섞여있는 숲으로 바뀐다.우리나라는 다양한 수종이 천이하며 자연적인 교란을 통해 상존하기 때문에 숲의 모습도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