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8,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유전자 조각 맞추기 퍼즐수학동아 l201708
- 비슷한 듯 다르게 되는 것입니다. 표준게놈과 얼마나 겹칠까 고대인의 새로운 DNA를 발견했을 때 우리의 조상인지 아닌지, 우리와 얼마나 유사한지 아닌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먼저 ‘표준게놈’이있어야 합니다. 표준게놈은 유전체 분석의 지침이 되는 염기서열입니다. 종을 대표하는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707
- 여는 순간 우주는 두 세계로 갈라진다네. 지금 이 세계에서 상자를 열면 죽은 고양이를 발견하더라도, 다른 세계에서 상자를 열면 방사성 원소는 안정 상태에 있고 고양이도 여전히 살아 있는 거야. 그 세계에 있는 또 다른 자네는 살아있는 고양이와 만날 테니 너무 슬퍼할 것 없어.”상자를 열기 ... ...
- [과학뉴스] 30만 년 전에 태어난 현생인류!과학동아 l201707
- 이번에 찾은 화석은 약 30만 년 전에 살았던 현생인류의 것이며, 아프리카 북부에서 발견됐다. 현생인류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이정표가 등장한 셈이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6월 7일자에 실렸다. doi:10.1038/nature2233 ... ...
- [과학뉴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버섯 화석 발견!과학동아 l201707
- 수지가 화석화돼 호박이 되면서 그토록 오랜 시간 동안 보존될 수 있었다”며 “이번에 발견한 점토 속 버섯 화석은 보존된 것 자체가 놀라운 일”이라고 말했다.연구팀은 이 버섯을 주름버섯 목(目)으로 분류하고 곤드와나가리시테스 마그니피커스(Gondwanagaricites magnificus )라는 학명을 붙였다. 이번 ...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07
- 후각능력에 대해서는 사람의 뇌가 다른 동물의 뇌에 비해 눈에 띄게 떨어진다는 점도 발견했다. 뇌의 앞부분에서 후각 정보를 인식하는 후각신경구를 관찰했더니 다른 동물은 바깥으로 노출돼 있는 반면, 사람은 전두엽의 안쪽 깊숙한 부분에 들어 있었다. 뇌 전체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를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07
- 유해성을 입증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백신에 안전상의 문제가 있을 경우 이를 빠르게 발견하고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오히려 백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봐야 한다.백신은 거대 제약회사의 이익을 위해서다?백신 개발의 가장 큰 장애물 중 하나는 경제성이다. 결핵, 말라리아, 에볼라 ... ...
-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1840년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처음 발견된 갯지렁이예요.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것과 비교한 결과, 형태와 유전적으로 모두 다른 특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어요. 그 결과 새로운 종으로 인정받게 됐답니다. 파괴된 조간대를 되살려라!높은 파도로부터 배와 시설들을 보호하기 위해 전국 ... ...
- [과학뉴스] 2004년 수마트라 대지진 원인 밝혔다과학동아 l201707
- 결과, 지하 1300m 지점에서 지각을 구성하는 규산염 암석에 탈수 작용이 진행된 흔적이 발견됐다. 연구팀은 탈수 현상이 섭입 전까지 계속 증가하면서 암석이 파괴 임계점에 가까워져 섭입 직후 지진이 발생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가 천부 대지진의 원인을 좀 더 ... ...
- [과학뉴스] 목성 극지에서 발견한 거대한 소용돌이들과학동아 l201707
- 목성의 극지방은 지금까지 알고 있던 목성과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이번 관측에서 발견된 소용돌이들은 크기가 최고 1400km에 달하는 것까지 있었다. 연구팀은 목성의 자기장과 중력 등을 세밀하게 측정한 결과를 함께 발표했다.볼턴 연구원은 “이번에 새로 알게 된 사실들은 지구를 뒤흔들 만한, ... ...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07
- 휘어지면서 전기장이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미국의 물리학자 에드윈 허버트 홀이 1897년 발견했다.홀 효과 추력기는 이 현상을 이용해 플라스마 상태의 전자와 양이온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추진장치다. 양이온이 배출 되면서 생기는 작용반작용의 원리로 추진력을 얻는 것은 이온추력기와 같지만,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