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학
문예
자료집
문필
작품
학예
기록
d라이브러리
"
문헌
"(으)로 총 355건 검색되었습니다.
버릴 곳 없는 국민생선 명태
과학동아
l
200901
이태원 교사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세포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우리나라 전통
문헌
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기행문식으로 정리한 ‘현산어보를 찾아서1~5’(청어람미디어) 등이 있다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7
검색한다.
문헌
의 양이 워낙 많기 때문에1~2년이 걸리기도 한다.가장 비슷한 생물이 담긴
문헌
과 비교하여 이미 발견된 종인지 아닌지 확인한다.형태가 다른 새로운 종류라면 논문을 작성해 발표한다. 이후 논문이 심사를 받고 새로운 종을 발견한 것으로 인정받기까지는 몇 년이 걸리기도 한다.앗, ... ...
설립 700주년_서운관의 잠 못 드는 밤
과학동아
l
200812
계보를 책으로 엮어 놓았을 정도다. ‘삼력청선생안’(三曆廳先生案)이 그것이다. 이
문헌
에는 삼력관의 본관, 출신, 생년월일,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간단한 계보, 역임한 관직 등이 기록돼 있다. 또 새로 삼력관이 되면 요즘의 ‘신고식’에 해당하는 허참례를 했다. 이 허참례에 참여한 사람들의 ... ...
고릴라 고환이 사람보다 작은 이유
과학동아
l
200812
저자는 ‘자연선택’을 통한 진화라는 혁명적인 이론을 세운 다윈의 진면목을 방대한
문헌
연구로 재현하는데 성공했다.지금 생각하면 상식일수도 있지만 인간도 동물의 하나일 뿐이라는 그의 주장은 기독교 문화가 뿌리깊었던 당시로서는 과격한 사상이었다. 이런 주장를 편 다윈이라는 인물은 ... ...
종이 없는 지구의 주인, 전자문서
과학동아
l
200811
놓고 논쟁이 일고 있다.그렇다면 전자문서에도 원본과 사본이 있을까. 덕성여대
문헌
정보학과 이소연 교수는 “종이문서와 달리 전자문서에서는 원본 개념이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이 학계 정설”이라고 말했다.가령 문서를 하나 작성해 e메일로 여러 사람에게 문서를 보냈다고 하자. 그 중 누가 ... ...
애교덩어리 말티즈 듬직한 리트리버
과학동아
l
200808
0% 정도가 꼬리가 짧아 이무렵 이미 경주에 동경이가 살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이런
문헌
과 유물에 흥미를 느낀 최 교수는 2005년부터 경주 일대를 뒤져 꼬리없는 개를 찾았고 마침내 세대가 지나도 이런 특징을 안정적으로 보이는 혈통을 확립한 것. 현재 동경이보전연구소는 동경이 135마리를 ... ...
오일러 앞지른 최석정
과학동아
l
200808
직교라틴방진을 들면서 최석정의 ‘구수략’이 직교라틴방진을 기록한 최초의
문헌
이라고 소개했다. 직교라틴방진을 이해하려면 먼저 라틴방진을 알아야한다. 라틴방진은 n개의 서로 다른 숫자(또는 문자나 그림)를 n행 n열(이를 ‘n차’라고 부른다)의 체스판 같은 공간 즉 방진에 배열한 구조다. ... ...
유럽, 우주화물선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05
짧은 털이 나 있으며 줄기는 곧게 자란다 고생대에 서식했던 대형 물고기 고대 참고
문헌
에 기재되어 있는 유명한 물고기이며 최근에 와서 당클레오스튜스라는 속명으로 바뀌었다두부와 흉부는 두껍고 단단한 골판(骨板)으로 싸여 있고 턱에는 이빨이 없이 악골판(顎骨板)이 파형(波形)을 이루며 ... ...
부르델 조각 속 주인공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05
태산을 끌어안듯 시위를 당기고 호랑이가 꼬리를 치듯 시위를 놔야 한다’는 국궁 관련
문헌
자료를 예로 들었다. 그는 “팔이나 어깨가 아니라 등의 큰 근육인 등배근이나 견갑근을 사용해야 활시위를 충분히 당길 수 있다”며 “조각상의 주인공이 등과 허리를 편다면 등 근육을 이용해 화살을 더 ... ...
숭례문 무너진 자존심 금강소나무가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0805
조선재로 널리 사용됐다. ‘고려사’ ‘동국여지지’ ‘증보
문헌
비고’ 등의 옛
문헌
에는 소나무가 궁실의 건축재, 우리 재래식 배(조운선)의 조선재로 널리 사용됐음을 밝히고 있다.지금부터 140여 년 전 고종 때 시행된 경복궁 중건 공사의 기록에도 전국의 소나무가 사용됐던 흔적을 찾을 수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