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원
무한
영겁
d라이브러리
"
무궁
"(으)로 총 19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생물유전체 활용기술 개발사업단 미생물 게놈 월드컵 4강 진입의 사령탑 오태광 단장
과학동아
l
200304
핵심 생물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오 단장은 미생물 연구의 매력으로 높은 효율성과
무궁
무진한 활용 가능성을 꼽는다. 미생물 유전체를 이루는 염기쌍은 1백만-4백만개 정도로 인간의 염기쌍이 30억쌍 정도인 것과 비교하면 미미하다. 최근 게놈 분석기술이 발달하면서 이 정도의 염기쌍은 하루 ... ...
제품·환경 접점 연구하는 소프트 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0303
대상이 작은 옷핀에서부터 실내외 환경은 물론 우주를 비행하는 인공위성까지
무궁
무진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점차 디자인이 세상을 바꾸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고, 디자인이 세상을 비추는 거울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그러려면“이제는 잘 그리기보다 잘 생각하는 디자이너를 길러야 ... ...
반도체 나노소재기술
과학동아
l
200302
가져올 것이다. 그만큼 나노 세계에는 일반인뿐만 아니라 연구자를 매료시키는 가능성이
무궁
무진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자그마한 핀 머리에 24권의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을 쓸 수 있고, 손바닥만한 크기의 슈퍼컴퓨터가 가능할 수 있다.그러나 그전에 나노세계에 대해 좀더 이해하고 알아야 한다. ... ...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302
나노 물질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개발은 현재 초기 단계지만, 앞으로의 발전가능성이
무궁
무진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전세계의 주도권 잡는다정보디스플레이 관련 산업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대만이 세계 3대 경쟁 구도를 형성하면서 승부를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반도체 기술의 뒤를 이어 ... ...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01
주관하는 각종 화학반응이 단백질로 인해 이뤄진다. 따라서 인체 내 단백질의 수는
무궁
무진할 것으로 예상된다.하지만 단백질의 정확한 개수는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고 있다. 과학자에 따라 10만개니, 15만개니 말들이 많지만 ‘최소 3만개 이상’이라는 표현이 가장 정확할 것이다. 지난 2001년 2월 ... ...
참을 수 없는 호기심과 정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211
그들 덕분에 우리는 소리내어 웃을 수 있는 과학책을 종종 발견하게 된다. 어린시절의
무궁
무진한 호기심과 과학에 대한 순수한 열정이 담긴 멋진 책들이 여기에 있다.펭귄의 발은 왜 동상에 안걸릴까‘놀랄 만큼 간단한 과학의 역사’는 제목 그대로 과학사를 간추린 책이다. 그런데 보통의 과학사 ... ...
기상천외한 곤충의 감각
과학동아
l
200208
여러 종류의 술을 섞어 흔들어 만든다. 이것은 화학적 의사소통 수단이 경제적인 동시에
무궁
무진한 다양성을 창출해낼 수 있는 수단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현재까지 여러 동물에서 다양한 화학적 의사소통이 밝혀져 있다.어떤 동물은 이런 페로몬을 갖고 있고, 또 어떤 동물은 저런 페로몬을 갖고 ... ...
하드디스크는 오늘 무엇을 기억하는가
과학동아
l
200207
본질을 파고든다. 기억이란 기록이라는 편린으로 잠시 내보내는 일로는 어찌할 수 없는
무궁
한 영역임을 알아차린 것일까. 하드디스크 레코더는 지정한 만큼 기록하는 녹화기의 틀을 벗어나 하드디스크의 본능에 따라 기억을 감행한다. 백그라운드에서 시청자가 보고 있는 영상을 기억하고 있다가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07
구체적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라 개념 수준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그 응용가능성 만큼은
무궁
무진해 보인다.생명이란 무엇인가?인공생명 로봇은 아직 그 구체적 성과물이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인공지능의 한계를 극복하고 생물체에게 좀더 가까이 다가서려는 인공생명 로봇은 인간의 위치와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02
기사 ‘만능 줄기세포 어디서 얻어야 하나’를 참조).이처럼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그
무궁
무진한 이용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윤리적, 사회적 문제로 인해 실현되기 쉽지 않다. 새로운 대안은 배아가 아닌 성체에서 제시되고 있다. 골수를 비롯한 신체 여러 곳에서 줄기세포를 얻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