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청
대청마루
바닥
홀
청사
마루높이
높이
d라이브러리
"
마루
"(으)로 총 151건 검색되었습니다.
1. 신기술이 제조해 온 신기록의 변화
과학동아
l
200010
1972년 올림픽이래 역기의 무게추 둘레를 고무로 감쌌다. 이로써 선수는 역기를 안전하게
마루
바닥에 떨어뜨릴 수 있고 다음 시기를 위해 힘을 저장할 수 있게 됐다.낚싯대로 기록경신된 장대높이뛰기선수의 기술보다 장비의 향상으로 신기록이 쏟아진 대표적인 종목은 장대높이뛰기다. 하늘을 나는 ... ...
피아노 도와 바이올린 도가 다르게 들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09
골과
마루
의연속으로 나타날 것이다.이때
마루
와
마루
사이의 수평 거리가 파장이 되고,
마루
의 높이가 바로 수면파의 진폭이 된다.반대로 수면 위의 고정된 한 점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상하로 진동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이 경우에는 수면파의 위치 의존도를 잊어버릴 수가 있으며,1초에 몇번 ... ...
파도와의 절묘한 만남, 서핑
과학동아
l
200007
바닥에서의 원운동은 붕괴되기 시작한다. 이때 파도의 속력이 줄어들게 되고 파도의
마루
들은 합쳐지고, 골들이 합쳐지면서 높이가 더욱 커지게 돼 파도언덕의 경사는 더욱 심해진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바다 한가운데서는 완만하고 부드러워 보이는 파도가 해변에 가까워질수록 가파르고 ... ...
우리 역사 속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06
언급돼 있다. 즉 통영 거북선을 설명하는 부분에 “거북선의 난간을 따라
마루
를 깔고
마루
주위에 방패를 꽂고, 그 위에 또 난간을 설치했다. ... 현측 난간 좌우에 각각 포혈 10개 복판(덮개) 좌우에 각각 포혈 10개와 복판 좌우에 각각 6개의 포혈이 있다”는 것은 거북선의 갑판이 중갑판과 ... ...
용, 아홉가지 동물의 키메라
과학동아
l
200001
닮았지만 실은 용의 새끼인 것이다. 둘째는 이문이다. 먼데 바라보기를 좋아해서 지붕의
마루
끝에 장식하는 동물들이 여기에서 유래했다. 셋째는 포뢰인데 이것은 모습도 용을 닮아 전형적인 새끼 용의 모습이다. 포뢰는 소리지르기를 좋아해서 종의 울림통에 장식을 한다. 또 에밀레종 같은 옛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10
다음과 같다.제1도 - 5가지 금기사항이다. 우선 임신중 머리를 감지 말 것. 또 높은
마루
나 바위, 또는 제기(祭器) 위에 올라가지 말 것. 술을 마시지 말 것. 무거운 짐과 험한 산길을 피하고 위태로운 냇물을 건너지 말 것. 마지막으로 밥을 먹을 때 색다른 맛을 찾지 말 것.제2도 - 말을 많이 하거나 ... ...
외줄 타는 사람은 왜 긴 막대를 가지고 있을까?
과학동아
l
199909
회전하는 경우보다 고난도로 평가된다. 즉 회전 관성이 클수록 점수가 높다는 얘기다.
마루
운동에서 공중제비를 할 때도 선수들은 가능한 팔과 다리를 완전히 감아 쥔 자세로 회전한다. 이 자세가 회전 관성을 최소로 하기 때문에 그만큼 쉽다.피겨스케이팅 선수가 손을 모을 때사각의 스프링 그물 ... ...
9월 8일은 중력의 날
과학동아
l
199909
것을 확인할 수 있다.2. 중력 가속도 측정파형 편집기의 줌(Zoom) 기능을 이용하면 신호의
마루
부분이 오는 순간을 정확히 알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매 2.83mm(빗살 사이의 간격) 이동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맨 아래와 맨 위쪽의 빗살 네 개를 각각 통과하는 평균 속력을 구해 가속도를 ... ...
봄의 불청객 황사
과학동아
l
199903
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황사를 둘러싼 궁금증을 풀어본다.노란 안개가 하늘을 뒤덮고
마루
를 훔치면 누렇게 묻어나는 황토먼지는 해마다 찾아오는 봄의 불청객이다. 작년 4월에 나타난 황사현상이 아시아대륙은 물론 태평양을 건너 미국에까지 영향을 미치더니, 올해는 우리 나라에서 황사현상이 ... ...
열역학의 세계
과학동아
l
199903
마루
에 있던 공이 솟아오르기 위해서는
마루
의 분자들의 엔트로피가 감소해야 한다.
마루
에 있던 공이 튀어 오르면 에너지는 일정하지만 엔트로피는 감소하기 때문에 제2법칙에서 설명하는 자연적인 변화가 될 수 없다. 무의식적으로 제2법칙의 세상에 길들여진 우리에게는 그런 현상이 무서울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