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
스승
선생님
스승님
d라이브러리
"
교수님
"(으)로 총 502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립수목원과 함께한 여름 숲캠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7
바로 구멍 속으로 대피하고 암컷은 죽은 척을 하는 버릇이 있지요.탐사대원들은 장이권
교수님
의 안내에 따라 야간 곤충을 빛으로 유인한 뒤, 직접 잡아서 관찰해 보며 특징을 배웠어요. 잡아서 관찰한 뒤에는 모두 살던 자리에 놔 주는 것도 잊지 않았죠. 민재네 자연연구소팀의 박민재 대원은 ... ...
출동! 일일 과학수사관 돈을 훔쳐간 범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6
놀랍게도 검은색 필름에는 발자국으로 생긴 먼지만 선명하게 붙어 있었어요.홍
교수님
은 “필름에 약 1만 V의 정전기를 흘려 주면 바닥에 약하게 달라붙어 있던 먼지가 양전하를 띄게 되면서 필름으로 이동한다”라고 설명해 주셨어요.이를 통해 바닥면이 모자이크 모양인 운동화를 신은 사람이 ... ...
서민
교수님
이 들려주는 기생충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6
교수님
은 한 명 한 명 모두 사인해 주셨어요. 이날 강연을 들었던 유다은 친구는 “서민
교수님
덕분에 기생충은 나쁘기만 할 거란 선입견이 사라졌다”고 말했답니다.특별 인터뷰“기생충과 사랑에 빠졌어요.” 서민(단국대 의과대학 기생충학과 교수)Q 가장 좋아하는 기생충과 가장 싫어하는 ... ...
세계 최고의 재난대응로봇 휴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4
효율적인 시스템은 이번 대회의 우승 비결이 됐다.특.별.인.터.뷰휴보의 아버지, 오준호
교수님
오준호(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교수)고희권 : 휴보의 아버지라는 별명 마음에 드세요?당연히 마음에 들지요. 로봇 중에 아버지가 있는 건 휴보밖에 없어요. 휴보의 아버지라니 정말 자랑스럽습니다 ... ...
지사탐, 탐사기록 5000개가 우르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3
어려워요. 하지만 친구들이 녹음한 우리의 노래는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
연구팀에서 열심히 듣고 분석할 거예요. 그 결과는 우리 수원청개구리가 어디에 살고 있는지, 또 수원청개구리가 멸종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아내는 귀중한 자료로 쓰일 거랍니다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12
게 그렇게 큰 죄인지 모르겠지만, 불가능해 보였다.그럼 석사만 하고 졸업하겠다고 했다.
교수님
은 집요하게 박사까지 하라고 강요했다. 나중에는 석사학위를 인질로 잡고 협박을 했다. 제1저자로 진행하고 있던 논문에서 내 이름을 빼고 동시에 학위를 주지 않겠다고 했다. 그래도 박사 진학을 ... ...
수학자 열전 한국 근대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512
왜 그랬냐고요?연희전문학교 졸업 후 일본 도호쿠제국대학에서 수학을 공부했어요. 여기
교수님
중에 후지하라 마쓰사부로라는 분이 있는데, 일본과 중국의 수학사에 정통했죠. 과거를 아는 것도 중요하다면서 선진국에서는 수학사 연구를 활발히 한다고 알려줬어요. 그런데 이 말을 듣는 순간 ... ...
매력적인 날개를 펴다
수학동아
l
201512
2015년 마지막 게임카페예요. 아주대학교 산학협력원에서 만난 오규환
교수님
과 학생들은 먼저 지난 시간에 만들었던 게임 기획안을 다시 살펴봤어요. 캐릭터가 적을 피해 아이템을 먹는 게임에 각자 스토리를 입히고, 어울리는 캐릭터도 그렸어요. 특히 비오는 날 번개를 피해 집에 무사히 도착하면 ... ...
[참여] 게임카페 2기, 두 번째 수업 스마트폰으로 내가 만든 게임을 즐기자!
수학동아
l
201511
직접 디자인했다는 뜻이에요. 게임카페 수업을 진행한 오규환 아주대 미디어학과
교수님
은 “4시간이란 짧지 않은 시간 동안 집중하는 모습이 인상 깊었습니다. 학생들이 직접 그린 그림을 적용한 게임을 스마트폰에 담아가는 기회가 돼서 좋았습니다”라고 말씀하셨어요.기안초 6학년 최서원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23] ‘오지라퍼’가 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201511
버려서 이를 처음 겪는 사람들이 느낄 충격을 과소평가하기 때문이다. 대학 수업시간에
교수님
이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천연덕스럽게 “그걸 왜 몰라”라고 묻는 것이 좋은 예다.도움을 줄 때는 내가 어떤 것을 해줬느냐가 아니라 상대가 어떻게 받아들였냐가 중요하다도움,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