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투
시대
시샘
투기
새암
선망
기간
스페셜
"
시기
"(으)로 총 1,41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거대 수궁류는 티라노사우르스 때문에 멸종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음식을 저장하고 소화하는 능력이 도리어 극대화됐을 것”이라며 “거대한 수궁류가 이
시기
완전히 사라졌다는 기존의 분석을 재평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 ...
보이저2호, 41년 날아 인터스텔라로 진입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있다는 결정적 증거를 확보해 심우주 진입에 대한 확정 발표를 한 것은 진입추정
시기
(2012년 8월)보다 8개월이 늦은 2013년 4월이었다. 강력한 태양 흑점 폭발이 때마침 발생해 보이저1호의 진동 장비에 그 값이 기록되면서 겨우 명확한 증거를 확보할 수 있었다. 태양계물리학을 연구하는 아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예감이 든다.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분야인 면역항암치료 분야도 사실 언제 받느냐는
시기
의 문제였기 때문에 수상자 발표 때도 의외라는 반응은 없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매년 연말이면 ‘올해의 연구’를 선정하는데, 2013년 면역항암치료를 선정했다. 당시 기사를 보면 “1996년 ... ...
[표지로 읽는 과학]생명체가 처음 등장한 캄브리아기를 탐험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중 고생대를 구분하는 여러 시점 중 가장 앞선
시기
에 해당한다. 인간의 역사시대 이전의
시기
를 선사시대라고 하는 것처럼 지구 탄생부터 골격을 가진 생명체가 나오기 전까지는 선캄브리아기로 불린다. 선캄브리아기를 끝낸 최초의 골격 생명체를 찾는 여정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국제학술지 ... ...
“정부는 왜 남북교류에서 과학기술을 뺐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교류 협력 분야는 농업이다. 기아자가 대거 발생했던 1990년대의 일명 ‘고난의 행군’
시기
를 지났지만, 여전히 북한의 식량 상황은 열악하다. 박효근 서울대 명예교수는 “북한의 비료 농약 우수종자 등 농자재 공급이 어려워 토지생산성이 남한의 60%에 불과하다”며 “이를 끌어올리는 데 남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농부들은 왜 이런 변이체를 선택했을까. GLK2 유전자가 고장 난 변이체는 열매가 일정한
시기
에 한꺼번에 익어 수확하기에 편하고 열매 전체가 예쁘게 빨간색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u 표현형’이라고 알려진 이 특징을 지닌 변이체가 20세기 중반 발견된 뒤 다른 품종에도 빠르게 도입돼(전통적인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FOXP2를 지녀 언어를 구사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즉 인간형 FOXP2가 나타난
시기
가 20만 년 이내라는 말이다. 그리고 2006년 이를 입증하는 실험에 들어갔다.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이듬해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그 결과를 담은 논문이 실렸다. 이쪽 생리(‘네이처’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전갈은 1750여 종이 독액을 지니고 있고 펩티드 종류는 10만여 가지로 추정된다. 비슷한
시기
나온 지네와 약 3억 년 전 등장한 거미에도 많은 종이 독액을 지니고 있다. 2억여 년 전 등장한 도마뱀과 1억5000만 년 전 나타난 뱀도 독액을 즐겨 사용하고 비교적 최근인 5000만여 년 전에 등장한 ... ...
“엄마는 네안데르탈인, 아빠는 데니소바인” 게놈 연구 결과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8.23
중심으로 시베리아 인근까지 살았던 친척 인류 네안데르탈인이었고, 아버지는 비슷한
시기
에 아시아 대륙 일부에 살았던 또 다른 친척 인류 ‘데니소바인’이었다. 데니소바 동굴에서 내려다 본 풍경. 5만 년 전은 빙하기로, 네안데르탈인이나 데니소바인이 내려다 본 풍경은 이보다 황량하고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17
제비 연구를 하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을까? “대학원 입학하고 슬럼프가 찾아왔어요. 그
시기
에 이웃 할머니 댁을 방문했는데, 할머니께서 대뜸 ‘그때 걔 아직도 여길 찾아와’라고 말씀하시는 거예요. 고등학생 때 제가 가락지를 채운 제비를 말씀하시는 거였지요. 그날 밤 둥지를 확인해 봤더니,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