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힘"(으)로 총 6,293건 검색되었습니다.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침습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난도가 높아 신경외과 전문의조차도 힘들어하는 수술이다. 또한 내시경뿐만 아니라 수술용 X선 조영장치(C-arm)를 통해서도 수술 부위를 확인하며 진행하기 때문에 의사를 비롯한 의료진이 방사선에 노출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닥터 허준은 이런 ... ...
- [과학자의 부엌] 진공과 온도의 효과적인 만남 수비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는 한 폭의 수채화가 연상됩니다. 평소 닭 가슴살은 뻑뻑해서 소스 없이는 먹기가 힘듭니다. 하지만 이 요리는 다릅니다. 수비드(sous-vide) 조리법을 썼기 때문입니다. 수비드로 조리한 스테이크는 정말 촉촉하고 부드럽습니다. 감자 퓨레는 감자로 만든 것이 맞나 싶을 만큼 부드럽고, 피클은 ...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아름다움과 닮았다고 생각했어요. 수학동아 : ‘수학 잘하는 법’을 그리면서 가장 힘든 점이 있다면? ‘수학 잘하는 법’ 팬들은 저보다 수학을 잘 아시는 것 같아요. 그래서 만화를 올릴 때마다 채점 받는 기분이에요. 캐릭터의 감정 표현이나 만화 구성뿐 아니라 수학적인 내용의 팩트 체크도 ...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김 교수팀은 의수 안에 투명한 초박형 실리콘 나노입자를 심어 온도, 압력, 습도는 물론 힘에 의한 피부 변형까지 감지하는 전자피부를 개발했다. 김 교수는 같은 해 피부에 부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나노소자도 제작했다. 이 나노소자는 마치 반창고처럼 얇아 피부에 붙일 수 있고, 파킨슨병, 간질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2] 왜 대학은 독서를 중요하게 생각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자녀가 국어·영어·수학을 공부하는 시간의 반이라도 독서하는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힘써주시기를 당부 드린다. 독서와 관련한 서울대의 답변을 통해 마지막 인사를 갈음하고자 한다. “어떤 분야의 책이든지 읽고 또 읽어가는 사이에 생각하는 힘, 글쓰기 능력, 전문 지식, 의사소통 능력, 교양이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평행한 직선 도체가 진공 중에서 1m 간격으로 유지될 때, 두 도체 사이에 m당 2×10-7N의 힘을 생기게 하는 일정한 전류’라는 정의를 써 왔다. 이는 1948년 제9차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정의됐다. 하지만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 만큼’이라는 말은 주관적이다. 그래서 이번 총회에서는 절대 변하지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방법이 잘못됐다는 문제가 제기되면서 밀가루에 엽산을 첨가하는 법을 제정하는 쪽으로 힘이 실릴 듯 합니다. 영국의 사례에서 알 수 있는 점은 과학은 사회와 동떨어져 있는 학문이 아니라는 겁니다. 사회가 어떤 연구를 활성화할지를 결정하기도 하고, 반대로 연구가 사회의 발전 방향을 정하기도 ... ...
- Part 3. 구름, 파도 같은 구름을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부소처럼 혼자서 대단한 발견을 해낸 아마추어 과학자도 있지만, 여럿이 힘을 합쳐서 활약을 펼치는 아마추어 과학자들도 있어. 이번엔 구름 추적자들을 소개할게! 물결 모양의 새로운 구름을 발견한 구름 추적자들2017년 3월 23일, 세계기상기구(WMO)는 ‘세계 기상의 날’을 맞아 30년 만에 ... ...
- [가상인터뷰] 장내미생물이 정신에도 영향을 미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사람을 조종하기 위해 드는 노력이 너무 크다고 주장했지. 신경전달물질을 만드는 데 힘을 쏟다가 다른 미생물과의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는 거야. 연구진은 대신 인간의 기분이 장내미생물에 영향을 받는 이유는 장내미생물의 몸에서 만들어지는 대사활동의 부산물 때문이라고 주장했어. ... ...
- 초콜릿 강에서 찾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수학동아 l2018년 11호
- 그래서 많은 수학자가 실제 현상을 좀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연구에 힘쓰고 있습니다. 영국의 수학자 아담 타운센드도 그중 한 사람입니다. 타운센드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이용해서 초콜릿 분수에서 돔을 타고 내려오는 초콜릿 폭포의 두께, 속도, 떨어지는 방향을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