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쾌활
명랑
활동
행동
실행
활기
원기왕성
d라이브러리
"
활발
"(으)로 총 2,370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럽은 전구 세대교체 중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꽃가루를 물 위에 띄우고 현미경으로 그 움직임을 관찰, 꽃가루들이 무질서하고
활발
한 운동을 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브라운 운동이라 하는데, 발견 당시에는 그 원리를 몰랐다가 1905년 아인슈타인이 이를 수리적으로 설명하였다 브라운 운동은 분자가 실제로 존재하며 이들이 열운동을 한다는 ... ...
지구 중심을 들여다보기 위한 항해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궁극적으로 1개망으로 통합한다는 장기계획을 수립했으며, 현재 행정망 금융망 등이
활발
하게 추진되고 있다IBM이 84년 인텔8086마이크로프로세서를 써서 만든 16비트 퍼스널컴퓨터 현재 세계에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으며 이 기종과 호환이 가능한 기종을 만드는 업체들도 수백개에 달한다인텔사가 ... ...
혼천시계, 지상에 구현한 하늘 모습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너무 빠르다.물론 찬성론자들은 당시 네덜란드 상선의 활동으로 동서양의 무역이
활발
하던 시기였기에 상선을 통해 진자가 들어간 최신 시계가 중국이나 일본에 전해졌고 이것이 조선에 흘러들어왔을 가능성을 믿고 있다. 그러나 이런 최신 시계가 조선에 실제 들어 왔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두 ... ...
수소결합에 감사하는 북극곰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커진다. 하지만 온도가 높아지더라도 밀도가 계속 커지지는 않는다. 물분자의 운동이
활발
해지면 분자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이다.대부분 물질은 온도가 낮아지면 분자 운동이 약해져 부피가 줄어들지만, 물은 수소결합 때문에 오히려 입체구조를 만들며 부피가 커진다. ... ...
'미사일 킬러'에 떠는 러시아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해수준면이 하강하였으며 간빙기에는 반대의 현상이 나타났다 또 이 세에는 화산활동이
활발
하게 일어났고, 지구상의 동식물계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 세는 인류의 조상이 나타난 시기이기도 하다대기의 압력(기압)을 재는 단위 기호는 mb ${10}^{6}$다인(1dyn은 1g·cm/sec²)을 ... ...
한반도에도 큰 지진이 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한반도가 아무르판이라는 작은 지각판의 가장자리에 있어서 이 판이 지금보다 더
활발
하게 움직이면 한반도에서도 큰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고 말한다. 아무르판의 존재는 아직 과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엇갈리고 있지만 많은 과학자들은 앞으로 한반도에서 큰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을 연구하고 ... ...
찜질방에서 과학과 숨바꼭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때문이야. 이렇게 원적외선은 몸을 따뜻하게 만들어 모세혈관을 확장시키고 몸의 대사를
활발
하게 해 주며 세포를 활성화시킨단다.하지만 원적외선이 병을 치료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해야. 원적외선의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과학적으로 밝혀진 것이 거의 없거든. 원적외선이 몸을 따뜻하게 해 ... ...
강원도 발 지진파 주말 저녁을 흔들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지헌철 지진연구센터장은 “1970년대 이후 세계적으로 지진을 예측하려는 연구가
활발
했지만 대부분 실패로 끝났다”며 고개를 저었다. 전조현상이 나타나는 지진이 매우 드문데다, 지역과 규모를 예측한다 해도 변수가 너무 많아 정확히 언제 일어날지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지진이 서울 동부에서 ... ...
생리대 변신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더 짧은 기간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생리혈을 몸밖으로 내보내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
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피임의 개발로 여성이 임신의 중압감에서 해방된 것과 마찬가지로 미래에 여성은 생리의 불편함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는 뜻이다.생리는 한 달에 한번 몸밖으로 내보내는 ... ...
PART2 암 발생 20년 전에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달리 포도당 대사가
활발
한 암에만 모인다(단 정상인도 뇌에서는 포도당 대사가
활발
하다).이때 전신을 PET/CT 장비로 촬영하면 암이 어디까지 퍼져 있는지, 재발했는지를 입체적으로 알 수 있다. 컴퓨터로 3차원 영상을 재구성한 뒤 인체내부를 360° 회전시키며 살필 수 있고 크기 5mm의 조직까지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