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태
상황
현황
정세
사정
페노메논
실태
d라이브러리
"
현상
"(으)로 총 7,70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PICK] 새해 계획 성공하려면? 뇌가 조종하는 도파민 경로의 비밀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알려져 있다”며 “해롭다는 판단이 부족하고 도파민이 주는 쾌락만 추구하다보면 중독
현상
에 쉽게 빠진다”고 말했다. 2006년 아드리아나 갈반 미국 코넬대 의대 교수팀이 7~29세의 실험참가자 37명을 대상으로 보상 회로가 작동할 때 전전두엽과 NAc가 얼마나 활성화되는 지 기능성 자기공명영상 ... ...
‘메이드 인 코리아’ 75t급 액체로켓엔진 대한민국을 들어 올렸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걸렸다. 엔진 지상 연소시험설비에서 최초로 시험할 ‘*KRE-075-001G’ 엔진은 연소불안정
현상
이 있는 그 연소기를 사용해 조립한 엔진이었기 때문에, 엔진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최대한 많은 시험을 진행하는 것이 핵심 과제였다. *KRE-075-001G : 시험에 사용된 엔진. KRE은 ‘Korea Rocket Engine’의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이성질’ 또는 ‘카이랄성’이라고 한다. 단백질의 기본 구조인 아미노산을 포함해 생명
현상
에 관여하는 모든 유기 분자는 카이랄 구조를 하고 있다. 카이랄 구조의 재료는 촉매, 광학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차세대 핵심 재료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초박막 디스플레이나 센서를 만들 때 꼭 ... ...
Part 5. 우리은하 - 미지의 세계를 향해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많은 양의 암흑물질이 섞여 있을 거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답니다. 오헤어 박사는 이
현상
에 ‘암흑물질 허리케인’이라는 이름을 붙였지요. 암흑물질 허리케인은 초속 500km의 속도로 수백만 년 동안 지구를 통과할 예정이에요. 지구는 암흑물질 허리케인에 휩쓸려 큰 재앙을 맞이할까요? 다행히 ... ...
[헷갈린 과학] 흰개미가 개미가 아니라니! 흰개미 vs 개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이름 탓에 오해가 많지만 ‘흰개미’는 개미가 아니에요. ‘개미’는 벌목 개미과에 속하는 곤충을 모두 가리키는 반면, 흰개미는 바퀴벌레와 함께 바퀴목 ... 살았기 때문이에요. 서로 다른 종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형태나 기능이 비슷해지는 진화
현상
을 ‘수렴진화’라 한답니다 ... ...
[이투스 입시정보] 수학과, 이 세상 모든 과학적 발견의 시작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세상 모든 과학적 발견의 시작 수학과는 여러 자연
현상
뿐만 아니라 사회
현상
까지도설명하고 분석하는 데 기초가 되는 학문입니다.수학과에서는 현대 기술 사회의 복합적인 문제들을수학적 사고로 해결할 수 있는 유능한 인력을 키웁니다.또한 수학적 창의성과 사고능력에 대해 공부합니다.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01 유병언은 언제 사망했나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속 혈액이 부패 과정에서 발생하는 황화수소와 반응해 혈관을 따라 짙은 녹색을 띠는
현상
을 말한다. ● 2014. 06. 29 유효적산온도로 사망 시점 추정 드디어 유효적산온도가 나설 차례였다. 우선 수사팀은 부패지수 16점을 이용해 유효적산온도를 산출했다. 유효적산온도는 ‘TBS1.6=(125×log10ADD)- ... ...
[시사기획] 2019 미세먼지 전망 어디까지 알아냈나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코로 들어간 미세먼지는 비교적 오랫동안 체내에 남아 있었다. 다른 장기로 이동하는
현상
도 확인됐다. 미세먼지가 기도를 거쳐 폐로 들어가기까지는 30분이 걸렸고, 이틀 뒤에는 처음 양의 60%가 여전히 폐에 머물렀다. 약 30분~4시간 뒤에는 미세먼지의 약 1%가 간에서 발견됐고, 4시간이 지났을 때 ... ...
[수셰프 피터팍의 맛있는 수학] 스파게티 면 난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첫 번째 절단이 일어날 때 반동 효과를 낮춰줬던 겁니다. 아이디어를 찾은 연구팀은 이
현상
을 설명하고 정확히 계산할 수 있는 수학 모형을 세우기 위해 또 다른 MIT 수학자 비샬 파틸을 팀에 들였습니다. 직접 만든 기계로 꼬임 각도와 간격을 분석하길 수백 번, 연구팀은 드디어 스파게티 ... ...
Part 4. 태양계 밖 -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사실을 밝혀냈어요. GJ 3470b는 20억 년 만에 전체 질량의 1/3을 잃어버렸으며, 이는 비슷한
현상
을 겪고 있는 GJ 436b보다 100배나 빠른 속도지요. 연구팀은 이렇게 빠른 속도로 증발하는 이유를 밝혀내면 행성의 수명이 무엇에 영향을 받는지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답니다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